본문 바로가기
브렉시트와 런던의 위상 추락 2020년 12월 31일, 드디어 영국이 유럽연합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었습니다. 수년 간 지속된 브렉시트가 완성되었습니다. 브렉시트가 국민투표로 결정된 이상 그것의 정당성을 어느 누구도 부정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제3자의 시각에서 이 결정이 거대한 자해라는 지적도 많았습니다. 저 역시도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 중 한명입니다. 브렉시트가 영국에서 더 큰 해를 가져올 것이라는 예상은 어렵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영국은 분리 이후의 상황에 전혀 준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오랜 준비를 거쳐도 이익이 될지 안될지 판단하기 어려운 사안인데 준비조차 되어있지 않은 상태에서 강행한 브렉시트가 가져올 결과가 좋을리가 없습니다. 브렉시트가 이루어지고 이제 한달이 약간 더 지났습니다. 벌써부터 이에 대한 결과가 나오고.. 2021. 2. 12.
CCTV의 나라 중국 길거리마다 설치된 감시 카메라는 현대인들에게는 피할 수 없는 삶의 동반자같은 존재가 되었습니다. 나의 사생활이 이 카메라에 노출될 수 있지만 분쟁에 휘말린 경우 이 감시 카메라가 나를 도와줄 수도 있습니다. 이런 점을 잘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은 마음 한편에서 꺼림찍함이 남아 있음에도 카메라 설치를 찬성하거나 오히려 설치를 행정당국에 요청하기도 합니다. 아무튼 현대인이라면 감시 카메라의 시선에서 벗어날 방법은 없고 코로나만 아니었다면 누구나 하루에 수십 번 이상 카메라에 찍혔을 겁니다. 그렇다면 어떤 곳에 감시 카메라가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을까요? 출처 : https://www.statista.com/chart/19256/the-most-surveilled-cities-in-the-world/ 저는 이 .. 2021. 2. 8.
산업 로봇이 가장 많은 나라 4차 산업혁명이란 거대한 전환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이든 로봇이든 간에 인간의 역할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대세입니다. 기계와 로봇들에게 일자리를 빼앗기는 현상은 지금도 진행 중입니다. 식당에는 키오스크가 들어서고 서빙을 하는 로봇이 움직입니다. 로봇이 차지하는 부분만큼 인간의 일자리를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인간과 로봇은 서로 이해관계가 대립하는 관계가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지금 로봇이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나라는 어디일까요? 아마 이 질문은 많은 분들이 답을 알고 계실 것이라 생각합니다만 그래도 아래의 자료를 확인해 보시지요. 출처 : https://www.statista.com/chart/13645/the-countries-with-the-highest-densi.. 2021. 2. 2.
이젠 커플도 온라인이 대세 집안에만 머무르고 있는 요즘 누군가를 만난다는 것 자체가 특별한 이벤트입니다. 사람들 사이에 마주침이 적어지면 적어질수록 새로운 인간 관계 역시 만들어지기 어렵습니다. 인간 관계 중에서도 가장 긴밀한 관계 중 하나인 연인 관계 역시 만들어지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일단 누굴 만나야 뭐든 시작되든 말든 할텐데 말입니다. 예전에는 미팅이나 소개팅처럼 친구나 지인이 연결해주는 기회를 통해 커플이 성사되곤 했습니다만 요즘엔 이런 것도 과거의 것으로 치부되나 봅니다. 최근에는 온라인이 대세입니다. 오프라인의 모든 것이 온라인으로 옮겨가고 있는데 이젠 커플도 온라인에서 만나고 있습니다. 적어도 미국은 그렇다고 합니다. 출처 : https://www.pnas.org/content/116/36/17753/ (via ht.. 2021. 1. 28.
일인당 라면 소비량... 역시 대한민국 라면은 삶의 일부분입니다. 한국인에게 가장 중요한 음식은 역시 밥이겠습니다만 그 다음 순위는 아마도 라면이 차지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최근에는 한국 라면이 세계적으로도 널리 알려지고 있습니다. 저 역시 최근 코로나로 집에만 있으면서 라면 소비가 이전보다 늘었습니다. 아마 다른 분들도 비슷할 것이라 짐작합니다. 아무튼 그만큼 라면의 인기는 점점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라면을 많이 먹는 나라는 어디일까요? 출처 : https://www.statista.com/chart/22865/instant-noodle-consumption-by-country/ 2019년 기준 자료입니다. 국민 일인당 라면을 가장 많이 먹는 나라는 역시 우리나라입니다. 총 39억 개의 라면을 먹었고 일인당으로 계산하면 75.6.. 2021. 1. 27.
우리나라 SNS 이용률 변화 추이 SNS 서비스는 일상 생활에 필수적인 존재가 되었습니다. 특별한 일이 있을 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제는 SNS 위에서 일상 생활이 돌아갑니다. 그러기에 기업들은 더 많은 이용자를 잡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그럼 우리나라 사람들은 어떤 SNS를 많이 이용할까요? 대표적인 몇 가지 서비스를 중심으로 조사한 자료를 소개해 봅니다. 출처 : http://www.kisdi.re.kr/report/view.do?key=m2101113025790&arrMasterId=4333447&masterId=4333447&artId=554336 이 그림은 위 보고서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밴드, 인스타그램, 유튜브의 이용률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글로벌 자료가 아니.. 2021. 1. 22.
한국 주식시장의 놀라운 성장 코스피 지수가 역사상 처음으로 3,000을 돌파했습니다. 정말 놀라운 기록입니다. 팬데믹이라는 미증유의 재난 상황임을 감안하면 믿기지가 않을 정도입니다. 사실 상 전쟁이 일어난 것과 다름없는 위중한 상황에서 오히려 한국의 주식시장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점은 생각해볼 거리를 많이 안겨줍니다. 실제로 2020년 GDP 성장은 우리나라가 그나마 가장 나은 상태이지만 그럼에도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이라는 예측은 많이 나왔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식시장은 폭발했습니다. 그럼 다른 나라들 상황과 비교하면 얼마나 성장한 것일까요? 출처 : https://www.statista.com/chart/23839/annual-gains-of-selected-major-stock-indices-2/ 2020년 한 해동.. 2021. 1. 6.
더 늦어지고 있는 노벨상 수상 시기 오늘 소개할 통계자료는 지난 2020년 노벨상 시즌에 발표된 것인데 해가 지난 오늘에야 언급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노벨과학상은 의미 있는 수상자들이 나왔습니다. 특히 수상자의 나이와 관련해서 그렇습니다. 노벨상은 수상자의 나이와 관련하여 큰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어떤 점에서 그러한지 다음의 자료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economist.com/graphic-detail/2020/10/09/the-nobel-prize-delay-is-growing 위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년도입니다. 그리고 세로축은 시간 차이입니다. 어떤 시간 차이냐면 노벨상 수상자가 해당 업적을 발견한 해와 실제로 상을 수상한 년도 사이의 차이입니다. 노벨 물리학상, 화학상, 의학상 모두 최근에 우상향으.. 2021.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