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고령화사회 이야기입니다. 이 주제가 자주 언급되는 것은 그만큼 중요하고 충격이 거대한 사회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사회 구성원의 평균연령이 높아지는 주된 원인은 두 가지 입니다. 의료기술 발전에 의한 수명 증가, 출산률 감소가 바로 그것이죠.
이 두 가지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살펴봅시다.
세계인구 추세 예측입니다. 세계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입니다만, 중요한 것은 그 인구의 구성비율입니다. 성인 인구가 증가하고 어린이는 일정하게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성인 인구가 많아지는 이유는 사람들이 더 오래 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앞으로 수명은 더욱 길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위 그래프는 우리나라 이야기입니다. 우리나라 인구중 청소년층(9~24세) 인구가 처음으로 천만명 밑으로 떨어졌다는 소식입니다. 그리고 앞으로 전망은 더욱 낮아질 것이라는 점이죠. 이것의 주된 이유는 출산율이 낮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출산율이 낮아지는 이유는 굳이 여기서 언급하지 않아도 대부분 사람들이 정확히 잘 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고령인구가 심각하게 많아지게 됩니다. 이는 인류가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했던 전혀 새로운 사회의 형태입니다. 변화는 빠르게 다가오는데 어떻게 무엇을 해야할지는 아직 누구도 잘 알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것을 시작하기도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대체로 노인 유권자의 영향력이 더 커지기 때문입니다.
이제 전세계가 노인을 위한 세계로 변화될 것입니다.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소득불균형 악화 추세 (0) | 2014.07.22 |
---|---|
나이들면 어느 정도 보수화될까? (0) | 2014.07.21 |
인터넷 사용의 전세계적 확산정도 (0) | 2014.07.20 |
미국에서 마리화나가 합법인 주는? (0) | 2014.07.18 |
환경을 위해 채식을 해야 합니다 (0) | 2014.07.17 |
파이썬을 배웁시다 (0) | 2014.07.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