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책 시장의 성장 전자책이 점점 더 많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전자책만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리디북스의 성장도 그렇고 기존의 다른 서점들의 전자책 비중도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온라인 서점이 전자책 쿠폰을 뿌리는 것만 봐도 요즘 전자책에 신경쓰고 있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지일 겁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출판 시장은 작은 편이라서 시장이 큰 다른 나라의 구체적인 성장 추세가 어떤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전자책 시장의 성장을 기존 종이책 시장과 함께 비교해주는 자료가 있어 소개해 봅니다. 출처 : http://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4/10/daily-chart-4 원 자료는 인터렉티브한 자료라서 아래에 해당 연도를 클릭하거나 재생버튼.. 2014. 10. 19. 우리나라 게이머의 취향 편식 스마트폰은 많은 것들을 변화시켰지만 그중에서도 게임시장은 크게 변했습니다. 카카오톡 게임으로 인해 이제는 아줌마, 아저씨들도 게임을 즐기게 되었습니다. 게임시장이 더 커졌다는 점에서 스마트폰 게임은 일단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제 더 많은 사람들이 게임을 즐기게 되었지만 사람들은 어떤 게임을 즐겨 할까요? 나라 별로 게임의 인기 장르를 정리한 자료가 있어 소개해 봅니다. 출처 : http://blogs.wsj.com/numbers/gamers-tastes-around-the-world-1810/ 미국, 독일, 인도, 대한민국, 영국 이렇게 5개 나라에서 어떤 장르의 게임이 인기가 있었는지를 조사한 겁니다. 장르는 액션, 퍼즐, 카드, 캐주얼, 스포츠로 구분했습니다. 미국은 액션과 가벼.. 2014. 10. 13. 영화에서 여성의 비중 우리나라의 유명 배우들을 보면, 연기력이 뛰어난 남자 배우들이 제법 많습니다. 그러나 여자 배우의 수는 그에 미치지 못합니다. 예쁜 배우들이 등장하기는 하지만 뛰어난 연기럭을 기반으로 엄청난 존재감을 보여주는 그런 여배우는 찾기 힘든 게 현실입니다. 그런데 이것은 다른 나라들도 비슷한가 봅니다. 영화 속에 등장하는 여성들의 비중을 조사한 자료를 보면 그렇습니다. 출처 : http://fivethirtyeight.com/datalab/study-shows-women-are-excluded-from-film-internationally/ 위 그래프는 영화에 등장하는 여러 인물 중에서 중요 배역을 연기하는 여성의 비중을 조사한 자료입니다. 2013년 기준 가장 영화를 많이 제작하는 상위 10나라를 선정하고, .. 2014. 9. 25. 우리나라 소득 불평등 국제 비교 피케티의 "21세기 자본"이라는 책이 전세계적으로 크게 반향을 일으키면서 불평등과 양극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통계자료 자체가 아예 없다는 것이 문제였습니다. 사실 우리나라 통계청은 열심히 일하고 있고 실력이 나쁘다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그럼에도 이런 자료가 없다는 것은 지극히 의도적이라고 판단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얼마전 김낙년, 김종일 교수가 우리나라의 소득 불평등에 대한 자료를 정리해서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내용은 제 블로그에서도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바로 아래 주소입니다. http://pugeun.tistory.com/entry/income-gap-getting-worse-korea-economy 어제 위 통계자료가 국제적으로 공인되어 등록되었다.. 2014. 9. 13. 서울은 수면 부족 잠자는 것 무진장 중요합니다. 제대로 잠을 자지 못하면 모든 일의 효율이 떨어지고 질이 나빠지게 됩니다. 그래서 편안하고 깊은 숙면을 충분히 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현실은 전혀 그렇지 못합니다. 아이들은 아침 일찍 등교하고, 직장인은 늦게까지 일하고, 심지어 노는 문화까지 밤늦게까지 이어지는 일이 많습니다. 세계 여러 나라들의 평균적인 수면시간에 대한 자료가 있어 가져와 봅니다. 뭐 다들 결론은 쉽게 예측하실 수 있을 겁니다. 그렇습니다. 슬픈 예감은 틀린 적이 없죠. 출처 : http://blogs.wsj.com/numbers/which-cities-get-the-most-sleep-1662/ 시민들이 충분한 수면시간을 확보하고 있는 도시들은 호주 멜버른, 영국 런던, 미국의 덴버, 호주의 브리즈.. 2014. 8. 24. 미국과 교역을 많이 하는 나라들 우리나라 입장에서 미국은 오래전부터 중요한 수출시장입니다. 세계 최강대국이자 가장 큰 소비시장인 미국은 당연히 여러 나라가 수출하고 싶어하는 곳입니다. 그렇다면 어느 나라가 미국에 가장 많은 수출을 할까요? 그리고 반대로 미국의 입장에서 봤을 때 가장 큰 교역국은 어디일까요? 그 역사적 변화를 소개한 자료가 있어 가져와 봅니다. 출처 : http://blogs.wsj.com/numbers/shifts-in-u-s-trading-partners-from-1984-to-the-present-1665/ 미국으로 수출하는 나라들의 순위입니다. 그러니까 미국입장에서는 수입하는 겁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가까운 나라니 교역량이 큰 것이 당연합니다. 그리고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등 전통적인 경제대국들이 랭킹에.. 2014. 8. 20. 영국의 영역별 에너지 소비량 추이 에너지 문제는 매우 중대합니다. 우리나라도 핵발전소가 중요 사회적 이슈입니다. 그래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연히 영국의 에너지 소비에 대한 자료를 보게 되어 간단히 소개해 봅니다. 아래에 링크한 보고서를 보면 더욱 자세한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자료를 예쁘게 정리해서 보여주는 영국정부가 부럽습니다. 보고서뿐만 아니라 엑셀자료까지 첨부되어 있습니다. 생각해보면 당연한 건데 말입니다. 출처 : https://www.gov.uk/government/statistics/energy-consumption-in-the-uk (via https://twitter.com/adamvaughan_uk/status/494786245281980416) 이 그래프는 1970년부터 2.. 2014. 8. 19. 최근 백년 간 선박을 가장 많이 만드는 나라 다들 아시다시피, 우리나라는 선박제조의 강국입니다. 최근 중국에 다소 밀리고 있긴 하지만, 여객선을 제외한 산업용 선박제조 분야의 최강국임에는 분명합니다. 그런데 언제부터 우리나라가 이 분야에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을까요? 지난 백년 간 선박 제조의 국가별 비중을 다룬 재미난 자료가 있어 가져와 봅니다. 출처 : 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4/08/daily-chart-4 무려 1902년부터 2013년까지 조사한 방대한 자료입니다. 이런 자료들을 보여줄 수 있는 능력이 부러울 따름입니다. 아무튼 내용을 봅시다. 20세기 초반에는 단연 영국의 압도적인 우위의 시대였습니다. 당시 영국이 최강대국이었으니 당연한 결과라고 여겨집니다. 영국을 제외한 유럽도 큰 비중을.. 2014. 8. 13. 이전 1 ···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