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연구를 많이 하는 나라 과학연구는 정말로 경쟁이 치열한 분야입니다. 남들보다 하루라도 늦으면 그냥 끝입니다. 그런 스트레스 속에서 열심히 연구하시는 분들 참 대단합니다. 우리나라도 과학연구에 대해서 많은 발전이 있었습니다. 누가 과학연구를 많이 하고 있는지 측정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출판된 논문 개수를 세어보면 됩니다. 위 자료는 2011년에 나온 겁니다. 나라별로 출판된 과학논문의 개수를 원의 크기로 표시한 겁니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순위 별로 나열하면 이렇습니다. 1. 미국 310,206 2. 중국 142,645 3. 영국 90,018 4. 독일 82,550 5. 일본 68,308 6. 프랑스 57,751 7. 캐나다 49,947 8. 이탈리아 47,403 9. 스페인 43,300 10. 인도 39,385 11. 한국 .. 2014. 3. 30.
자수성가로 부자가 될 수 없는 대한민국 우리나라에서 큰 부자가 되는 방법은 거의 없습니다. 그냥 부자로 태어나는 수밖에. 우리나라는 창업해서 기업을 일구는 것이 매우 힘든 나라입니다. 재벌이 모든 걸 다 해먹고 있기 때문이죠. 이 이야기는 이전부터 많이 지적되었습니다. 자료와 함께 살펴보죠. 일본과 한국의 주식부자 순위입니다. 창업을 해서 큰 성공을 하면 창업자는 당연히 주식부자가 되어야 합니다. 빌 게이츠나 마크 주커버그처럼요. 그런데 우리나라는 상위 10명에 그런 사람이 단 한 명도 없습니다. 모두가 물려받은 것이죠. 반면 일본은 오히려 상속받은 사람이 더 적습니다. 그럼 이제 전세계 부자들과 비교해 볼까요? 위에 일본과의 비교에서는 10명만 했는데, 이 표에는 15명까지 나와 있습니다. 15위에 드디어 우리나라도 창업으로 부자가 된 사람.. 2014. 3. 6.
[매직그래프] 10시간 일해서 벌 수 있는 돈 우리나라 최저임금은 무척 낮은 편입니다. 이에 대한 비판은 수도 없이 많기에 여기서 따질 필요는 없습니다. 이 글에서 말씀드리고자 하는 것은 최저임금 이야기가 아니라 최저임금 문제를 지적한 어떤 자료의 문제를 지적하는 것입니다. 바로 이것이죠. 출처 : http://www.vop.co.kr/templates/infographic/10_120424_ori.jpg 이 자료는 민중의 소리라는 제가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언론사에서 만든 인포그래픽입니다. 원 출처 주소만 봐도 알 수 있듯이 2012년 04월 24일에 만든 것입니다. 제법 시간이 지났지만 최저임금 자체는 그다지 변하지 않았으니 국가별 상대적 차이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의 문제는 그래프의 높이가 잘못되었다는 겁니다. 우리나라가.. 2014. 3. 2.
아직 기회는 있지만 불행한 두 나라 2011년 자료입니다만, 지금도 여전히 그 의미는 유효한 것같아 소개해 봅니다. 사실, 이 자료가 제 관심을 끈 것은 빨간색으로 네모 친 부분때문입니다. 일단 아래 그림을 보시죠. 출처 : http://www.nationaljournal.com/ranking-nations-by-the-good-life-20110602 위 그림을 간단히 설명하면 이렇습니다. OECD국가의 4가지 순위를 보여줍니다. 부와 재산, 기회의 땅, 삶의 기쁨, 안전의 관점에서 본 국가 순위입니다. 미국을 기준을 봅니다. 돈으로는 미국보다 1인당 GDP가 높은 나라는 룩셈부르크 딱 하나입니다. 미국보다 기회가 더 많은 나라는 12개국입니다. (캐나다 1등) 미국보다 삶의 기쁨이 더 좋은 나라는 16개국입니다. (덴마크 1등) 미국보.. 2014. 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