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선을 많이 먹는 나라들 우리나라에서 생선은 기본적인 식재료 중 하나입니다. 다양한 종류의 생선을 구이나 조림의 형태로 조리하기도 하고, 날 것의 상태로 직접 먹기도 합니다. 심지어 삭힌 생선을 먹는 경우도 있습니다. 게다가 제삿상에도 생선이 올라갑니다. 이처럼 한국에서 생선요리는 기본 중에 기본에 포함됩니다. 그럼 다른 나라들은 어떨까요? 우리나라만큼 생선을 많이 먹을까요? 출처 : https://www.statista.com/chart/28786/per-capita-consumption-of-fish-and-seafood/ 위 그래프는 2019년 기준, 각 나라별 일인당 해산물 소비량을 조사한 결과입니다. "fish and seafood"라고 명시되어 있으니 생선만 포함하는 것이 아닌 바다에서 나는 다양한 종류의 식재료를 모.. 2022. 11. 26. 반도체 생산의 중심은 동아시아 요즘 반도체가 부족하다는 말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습니다. 어느 누구도 예측하지 못한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여러 복합적인 사정으로 그래픽 카드는 물건을 구할 수도 없는 상태이고, 자동차 생산도 큰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게다가 앞으로도 이 문제가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많습니다. 현재 이 문제가 심각하게 된 중요한 배경에는 반도체 생산이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도 지적해야 합니다. 반도체 중에서도 특히 최첨단의 제품은 TSMC와 삼성전자 두 개의 기업에만 생산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심각한 과점 상태입니다. 생산을 빠르게 늘릴 수 없으니 반도체 부족이 해결되는 데에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런 반도체 생산 집중이 앞으로도 유지될까요? 아니면 생산지역이 다각화될까요? 이에 대한.. 2021. 8. 20. 한국에서 인기가 없는 락 음악 K-Pop이 세계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K-Pop의 사례가 대단히 중요한 이유는 이것이 주류로 부상했다는 점입니다. 세상에는 참으로 다양한 음악이 있지만 그것들 중 세계적인 대중성을 확보하여 주류의 위치로 올라간 사례는 매우 적습니다. 그런 점에서 K-Pop은 놀라운 성취를 이루었습니다. 사실 현대 대중음악은 미국 대중음악의 연장선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K-Pop 역시 미국에서 탄생한 힙합과 랩 음악의 영향을 크게 받았습니다. 그런 점에서 현대 대중음악의 장르라는 것은 미국 대중음악으로부터 발전한 것들이 대부분이고 그래서 음악적 취향의 세계적인 동질화 현상은 어느 정도 당연한 것입니다. 이런 배경으로 비틀즈, 퀸, 마이클 잭슨과 같이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스타가 등장할 수 있었습니다. 한국 역.. 2021. 8. 13. 관광 산업이 중요한 나라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산업 분야는 단연 관광입니다. 항공 산업 역시 큰 충격을 받았지만 여객이 아닌 화물 쪽은 오히려 더 나아지기도 했으니 관광 산업이 받은 충격에 비할 바가 못됩니다. 그렇기에 관광 산업의 비중이 높은 나라들은 코로나 사태에 더 큰 타격을 받았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어떤 나라들이 그러할까요? 출처 : https://www.oecd.org/cfe/tourism/oecd-tourism-trends-and-policies-20767773.htm 위 그래프는 2020년 기준으로 총 GDP 중에서 관광 산업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라 별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2018년 기준의 데이터에 바탕한 자료이니 코로나의 영향은 반영되지 않은 것입니다. 1위는 단연 스페인입니다. 유일하.. 2021. 8. 8. R&D 투자에 열심인 두 나라, 한국과 이스라엘 우리나라는 R&D를 참 열심히 하는 나라입니다. 예전부터 많이 했던 이야기 중 하나로 이런 것이 있었습니다. 우리나라는 가진 지하자원이 없으니 사람이 자원이란 그런 류의 말들 말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우리나라는 기술개발에 큰 투자를 해왔고 어느 정도 성과를 낸 지금에도 더 강화되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우리가 여전히 선진국에 비해 많이 모자란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절대적인 수치로 보자면 맞는 말이긴 합니다. 하지만 GDP 대비로 보면 우리나라의 R&D 투자는 예전부터 세계 최고 수준이었습니다.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많이 투자하고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economist.com/graphic-detail/2021/06/22/even-before-covid-19-the-world-wa.. 2021. 6. 27. ATM 기기가 많은 나라 비대면으로의 전환이 급속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은행 업무는 이미 오래전부터 비대면으로 전환되고 있었습니다. 바로 ATM입니다. ATM은 "Automated Teller Machine"의 약자입니다. "자동으로 말하는 기계"라는 의미입니다. 이것만 보면 이런 이름이 도대체 은행 업무와 무슨 관련이 있는가 싶습니다만 은행원과 대화하면서 진행하던 업무를 대신할 수 있는 기계를 만들고, 이제는 은행원이 아니라 이 기계랑 대화하면서 업무하라라는 의미로 이런 이름을 지었을 것이라고 추정해봅니다. 그만큼 이 기계는 등장한지 오래되었습니다.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업무가 주류로 부상하고 있는 요즘 ATM 기기가 많은 나라는 어디일까요? 아마 짐작되는 나라가 있을 겁니다. 바로 우리나라입니다. 출처 : https:/.. 2021. 2. 17. 산업 로봇이 가장 많은 나라 4차 산업혁명이란 거대한 전환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이든 로봇이든 간에 인간의 역할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대세입니다. 기계와 로봇들에게 일자리를 빼앗기는 현상은 지금도 진행 중입니다. 식당에는 키오스크가 들어서고 서빙을 하는 로봇이 움직입니다. 로봇이 차지하는 부분만큼 인간의 일자리를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인간과 로봇은 서로 이해관계가 대립하는 관계가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지금 로봇이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나라는 어디일까요? 아마 이 질문은 많은 분들이 답을 알고 계실 것이라 생각합니다만 그래도 아래의 자료를 확인해 보시지요. 출처 : https://www.statista.com/chart/13645/the-countries-with-the-highest-densi.. 2021. 2. 2. 일인당 라면 소비량... 역시 대한민국 라면은 삶의 일부분입니다. 한국인에게 가장 중요한 음식은 역시 밥이겠습니다만 그 다음 순위는 아마도 라면이 차지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최근에는 한국 라면이 세계적으로도 널리 알려지고 있습니다. 저 역시 최근 코로나로 집에만 있으면서 라면 소비가 이전보다 늘었습니다. 아마 다른 분들도 비슷할 것이라 짐작합니다. 아무튼 그만큼 라면의 인기는 점점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라면을 많이 먹는 나라는 어디일까요? 출처 : https://www.statista.com/chart/22865/instant-noodle-consumption-by-country/ 2019년 기준 자료입니다. 국민 일인당 라면을 가장 많이 먹는 나라는 역시 우리나라입니다. 총 39억 개의 라면을 먹었고 일인당으로 계산하면 75.6.. 2021. 1. 27. 이전 1 2 3 4 5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