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를 좋아하는 나라와 고양이를 좋아하는 나라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사람들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습니다. 인간과 가장 친근한 반려동물은 단연 개와 고양이입니다. 하지만 개와 고양이는 성격이 매우 다릅니다. 그래서 키우는 사람들도 성향이 일정하게 차이나게 마련입니다. 개를 좋아하는 사람과 고양이를 좋아하는 사람은 많이 다릅니다. 그럼 이 차이를 국가 수준으로 올리면 어떨까요? 개를 키우는 사람이 더 많은 나라와 고양이를 더 많이 키우는 사람이 많은 나라는 어디일까요? 그리고 그 차이는 얼마나 될까요? 출처: https://www.economist.com/graphic-detail/2020/02/11/which-country-spends-the-most-on-its-pets 두 개의 그래프가 있습니다. 둘 다 흥미로운 자료입니다만 이번 글의 초점은 .. 2020. 2. 15. OECD 국가들의 고령자 고용률 평균 수명이 늘어나니 나이라는 숫자가 의미하는 것도 달라집니다. 60세는 더 이상 노인이라고 부르기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그러니 60세 이상의 사람들이 계속 일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고령자들의 일자리가 이전보다 늘어난 것도 사실이구요. 60세 이상 사람들의 고용률이 얼마나 되는지 비교한 자료를 간단히 살펴봅시다. 출처 : https://twitter.com/OECD/status/1148623988500963331/ 위 그래프는 2016년 기준 OECD 국가들의 60세 이상 고용률을 비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60세 이상을 두 가지 구간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습니다. 붉은 색 점은 60-64세 인구의 고용률이고, 노란 색 점은 65-69세 인구의 고용률을 나타냅니다. 상식적으로 당연히 노란 .. 2019. 12. 8. 전세계적인 자살 감소 추세와 미국 자살은 극단적인 현상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사회의 현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 자살의 비율이 매우 높고 게다가 증가하기까지 한다면 해당 사회의 전반적인 조건이 매우 힘겹다는 증거가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도 자살에 대한 통계자료에 관심이 많고 이미 이 블로그에도 몇 차례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 그래도 희망적인 자료가 있어 반가운 마음에 소개해 봅니다. 출처 : https://www.economist.com/graphic-detail/2018/11/26/suicides-are-declining-around-the-world 왼쪽 그래프는 전반적으로 자살률이 감소하고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아래쪽 남색 선이 전세계 평균입니다. 97년 이래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음을.. 2019. 6. 21. 미국의 국가 이미지 하락 트럼프 대통령이 이전의 미국 대통령과는 크게 다른 행보를 보이면서 세계 여러 나라들이 당황했고 지금도 그러합니다. 전통적으로 미국과 친하지 않았던 러시아는 상대적으로 미국을 더 좋게 생각하게 되었지만 전통적인 우방국이었던 유럽 국가들은 더 이상 미국을 우호적이라고 생각하지 않게 되었다는 점은 참 놀라운 변화입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나라들이 미국에 대한 국가 이미지가 더 좋아지고 혹은 더 나빠졌는지를 봅시다. 출처 : https://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8/10/02/survey-u-s-suffers-decline-in-its-international-image-infographic/ 위 그림은 세계 주요 국가들이 미국이란 나라를 얼마나 좋아하는지를 .. 2018. 10. 7. 1인당 GDP와 수면 시간 잠을 편하게 푹 자는 것은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절대적으로 수면시간이 부족하거나 혹은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해 제대로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 일의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건강을 위협할 수도 있습니다. 경제가 윤택해질수록 삶의 질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그러면 자연스럽게 수면 시간과 질도 충분도 확보될 개연성이 높아집니다. 그럼 실제로 그럴까요? 출처 : https://www.1843magazine.com/data-graphic/what-the-numbers-say/which-countries-get-the-most-sleep 위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1인당 GDP입니다. 오른쪽으로 갈수록 돈을 잘 버는 선진국들입니다. 세로축은 평균 수면시간입니다. 대체적으로 보면 오른쪽 위로 올라가는 듯한 .. 2018. 9. 14. 세계적인 주목을 받는 한국의 출산율 우리나라의 출산율 문제가 새로운 것은 아닙니다만 그 정도가 심각해져서 이젠 아무도 경험해보지 못한 완전히 새로운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그런지 해외에서도 한국의 출산율 문제에 큰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습니다. 그 속도 면에서 워낙 미증유의 현상일 뿐만 아니라 극단적으로 낮은 출산율이 가져오는 결과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일종의 '사회실험'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출산율에 대해서 제3자들이 놀랍게 생각하는 점은 특히 일본과 비교해서 그렇습니다. 이렇게 말이죠. 출처 : https://www.economist.com/asia/2018/06/30/south-koreas-fertility-rate-is-the-lowest-in-the-world 제가 가끔 소개하던 이코노미스트 기.. 2018. 9. 1. 수출을 기준으로 그린 세계지도 자원이 없는 우리나라는 수출만이 살 길이라고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듣고 배웠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수출을 많이 하는데 모든 노력을 다 기울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로 인해 내수가 좀 소홀해지기는 했습니다만 어쨌든 수출대국이 된 것은 사실입니다. 그럼 우리나라는 얼마나 수출대국일까요? 세계 여러 나라들의 수출량을 그림으로 표시하여 그린 세계지도가 있어 소개합니다. 출처는 그림에 적혀 있습니다. 위 그림은 세계지도입니다. 나라들을 아무렇게나 배열한 것처럼 보이지만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던 그 세계지도에 맞게 그런 것이 맞습니다. 왼쪽에 미국이 보입니다. 그 위에 캐나다와 아래에 멕시코, 즉 북아메리카입니다. 아래는 남아메리카. 오른쪽 대서양을 가볍게 건너 유럽과 아래 아프리카가 있습니다. 그런데 아.. 2018. 8. 28.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 고령화사회 이야기 역시 양극화만큼이나 지겨울 정도로 자주 듣는 주제입니다. 하도 자주 들어서 그런지 무감각해지는 경향마저도 있습니다. 익숙해진 사회문제라고 해서 더 나아졌다는 의미는 절대 아닙니다. 오히려 대개 그 반대가 맞습니다. 더 나아지지 않고 계속 심각한 상태이니 그 이슈에 대한 이야기가 지속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가 곧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한다는 이야기는 익숙합니다. 그렇다면 얼마나 빨리 그 상태로 진입할까요? OECD 국가들과의 비교를 통해 알아봅시다. 출처 : https://read.oecd-ilibrary.org/employment/preventing-ageing-unequally_9789264279087-en#page116 출처 : https://twitter.com/oecd_socia.. 2018. 2. 1. 이전 1 2 3 4 5 6 7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