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에서 인간이란 존재의 행적 지구 생태계에서 인간은 단연 최고의 위치에 올랐습니다. 오래전 공룡이 지구를 장악했던 적이 있었고, 지금은 그 지위를 인간이 이어 받았았습니다. 그런데 인간이 다른 종들과 차별되는 점은 과거 지구를 장악했던 그 어떤 종보다도 인간이 지구를 철저하게 자기의 것으로 만들었다는 점입니다. 50만년 전, 흔히 구석기 시대라고 불리는 이때부터 인간은 지구를 장악해가기 시작했고, 결국에는 완벽하게 지구 생태계를 인간의 것으로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지금은 지구 전체의 생태계가 위험에 처했고 거기에는 인간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인간이 스스로를 위험에 처하게 만든 셈이죠. 이런 과정을 매우 인상적으로 보여준 작가가 있습니다. 스티브 컷츠(Steve Cutts)의 다음 애니메이션 작품을 보면 한눈에 인간이 지구 상에서 .. 2014. 4. 12. 단순한 것이 아름답다 : 표 만드는 방법 일반적인 사무 문서나 파워포인트 프리젠테이션을 만들 때, 표는 거의 반드시 들어가기 마련입니다. 표는 많은 자료를 한눈에 파악하기 좋게 해주는 도구이니 당연히 필수불가결한 요소이죠. 문제는 이것을 너무 대충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장 흔한 실수는 하나의 표에 모든 자료를 몽땅 다 집어넣으려는 욕심 때문에 벌어집니다. 표에 많은 자료가 들어가면 기본적으로 더 좋긴 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많은 자료를 늘어놓아도 보는 사람이 쉽게 파악할 수 없다면 그것은 절대로 좋은 자료가 아닙니다. 따라서 보는 사람 입장에서 한눈에 들어오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것에 대한 첫번째 방법이 바로 필요없는 것을 다 빼라는 겁니다. 그럼 도대체 그 필요없는 게 뭐냐? 아래의 자료를 보시면 됩니다. 빨리 지나간다 싶으면 반.. 2014. 4. 11. 의료비 지출과 기대수명의 국가별 차이 의료보험문제 우리나라의 미래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변수 중 하나입니다. 이것이 어떻게 변화하느냐에 따라 우리 사회가 크게 바뀔 것임은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의료보험은 비교적 좋은 평가를 받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이면 잘 들여다 보면, 이게 지금까지 평탄하게 잘 굴러온 제도가 아닙니다. 다만 지금까지는 적절히 잘 중재하거나 상대적으로 손해보는 집단을 억누르면서 버텼습니다. 그게 한계에 다다르면 그런 방식으로 제도를 유지하기가 무척 어려워 집니다. 그 이후를 대비해야 하는데 그걸 잘 하고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의료비 지출을 사회가 적절하게 공동부담하는 방법은 각 나라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그 방법이야 어찌되었든 국민들이 건강하고 오래살기 위해 정부가 노력한다는 점에서는 모두.. 2014. 4. 10. 노인들의 인터넷 이용 상황 고령화사회! 참 지겹도록 듣는 단어입니다. 하지만 이 단어가 그렇게 자주 등장하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죠. 너무나도 중요하고, 절대 피할 수 없는 미래이기 때문입니다. 누구나 다 노인이 됩니다. 언젠가는 절대 늙지 않게 하는 기술이 나올 수는 있겠지만 지금 이 세상을 함께 살아가는 우리가 그런 기술의 혜택을 받을 가능성은 거의 없으니 기대도 하지 마세요. 포기하면 편합니다. 우리는 모두 노인이 됩니다. 그것도 생각보다 빨리. 그럼 노인이 되었을 때 우리의 일상을 어떻게 될까요? 참 예상하기 어렵습니다. 그 중에서도 인터넷과 스마트폰 이용은 어떨까요? 지금의 노인 분들은 기기 사용에 익숙하지 못하니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 못하지만 그것에 익숙한 지금 세대가 노인이 된다면 이야기는 달라질 겁니다. 그렇기에 노.. 2014. 4. 9. 더욱 심해지는 경제적 불평등 경제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최근 10여년간 경제가 좋아졌다는 소식을 거의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앞으로도 없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경제는 계속 성장하고 있습니다. 그 크기가 작아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경제 성장률은 플러스 숫자입니다. 즉 새로운 부가 지속적으로 만들어지고 있긴 하다는 의미죠. 그런데 그 돈 다 어디갔을까요? 이게 우리나라 이야기만은 아닙니다. 전세계적으로 비슷하게 벌어지는 일입니다. 새롭게 부가가치가 생산되고는 있지만 그것을 가져가는 놈은 극히 일부분이고 대다수는 제자리이거나 오히려 빼앗기고 있는 상황이죠. 이것에 대한 대단히 거시적인 자료가 하나 있어 가져와 봅니다. 출처 : http://www.nytimes.com/2014/03/12/business/economy/a-rele.. 2014. 4. 7. 별일 없이 산다 - 장기하 (2009) 세상을 살다보면 언제나 좋은 관계만을 유지하면서 살 수는 없습니다. 꼭 직접적인 갈등관계까지는 아니더라도 괜히 보기 싫은 사람도 있는 법이고, 마주치기 싫은 사람도 있는 법이고, 잘 나간다는 소식을 들으면 화나는 사람도 있는 법입니다. 그게 나쁜 건 아닙니다. 사람 사는 게 다 그런 거죠. 중요한 건 그런 불편한 관계를 일상적으로 적절하게 관리하고 조절하는 방법일 겁니다. 감정대로 세게 나갔다가 낭패를 볼 수도 있는 것이고, 조용하게 가만히 있는 것이 이기는 때도 있습니다. 갈등관계에 있든, 경쟁관계에 있든 혹은 그냥 무시하는 관계든 간에 가장 멋진 승리는 바로 내가 너의 바램대로 살고 있지는 않다는 걸 보여주는 겁니다. 그것도 대놓고 드러내는 게 아니라 자연스럽게 알도록 하는 것이죠. 너는 내가 제대로.. 2014. 4. 6. 종이 재활용을 가장 잘 하는 나라는? 오늘은 식목일입니다. 나무야말로 진짜 석유 못지않게 중요한 자원입니다. 나무가 가져다주는 혜택은 정말로 어마어마합니다. 그 자체가 자원으로서도 중요할 뿐만 아니라 환경보호, 온난화, 홍수예방, 관광자원 등등 나무의 가치는 엄청납니다. 우리 모두 나무를 심어 봅시다! 그건 그렇고, 우리가 쓰는 종이는 나무로부터 만들어집니다. 그래서 한번 쓴 종이를 다시 재활용하는 것은 그 만큼 나무를 보호할 수 있다는 뜻이며 그렇게 절약된 나무는 다른 용도로 쓰일 수 있을 겁니다. 그러니 종이를 재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자원 재활용을 제법 잘 하는 나라입니다. 분리수거도 비교적 잘 되고 있는 있습니다. 그러니 종이도 재활용되는 비율이 높을 것임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럼 어느 .. 2014. 4. 5. 대학졸업장의 경제적 가치는 여전히 유효할까? 우리나라의 교육 경쟁은 치열하기로 유명하죠. 그렇게 열심히 공부하는 이유는 대체로 대학진학을 위해서입니다. 그런데 대학의 등록금은 엄청나게 비싸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진학을 위한 사교육비까지 포함한다면 대학 졸업장을 얻기 위해 투자하는 비용이 어마어마할 것이 분명합니다. 그럼 대학 졸업장은 과연 투자한 만큼 수익을 거둘 수 있는 대상일까요? 쉽지 않은 문제이지만 여러 통계를 비교하여 간접적으로 짐작해봅시다. 우리나라의 대학진학률입니다. 1990년에 40%도 안되던 대학진학률이 2005년 이후에는 무려 80%를 넘어 버립니다. 이 정도면 세계 최고라고 자부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2010년 무렵부터는 오히려 감소하고 있네요. 2012년은 70% 정도로 내려갑니다. 이렇게 많은 사람이 대학을 입학하고 졸업장.. 2014. 4. 4. 이전 1 ··· 128 129 130 131 132 133 134 ··· 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