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에서 세금은 얼마나 나갈까? 샐러리맨들의 월급봉투는 유리지갑입니다. 이건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세금과 연금, 의료보험이야 어쩔 수 없이 내야 하는 겁니다. 그런데 이왕 내는 거라면 좀 공평하게, 그리고 그 돈이 잘 쓰이면 좋겠죠. 월급에서 떼어가는 것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만, 소득세와 사회보장비용은 얼마나 떼어가는지 여러 나라를 비교한 자료가 있습니다. 출처 : http://money.cnn.com/interactive/pf/taxes/income-tax-rates/ 우리나라는 13.4%입니다. 즉 100만원을 월급으로 받으면 13만 4천원을 소득세와 사회보장비용으로 떼어간다는 의미입니다. 원래 링크로 들어가셔서 그래프에 커서를 올리면 자세한 항목이 나옵니다. 우리나라의 13.4%는 "소득세 4.6% + 지방세 0.5% .. 2014. 5. 23. 대학등록금 상승과 상위 1%의 가계소득 최근 대학등록금이 폭등한 것은 우리나라가 전부는 아닙니다. 다른 나라도 대학등록금이 폭등했고, 특히 미국이 그렇습니다. 미국에서 대학등록금이 얼마나 올랐는지는 전에 쓴 글에 간단히 언급한 바 있습니다. 그것과 더불어 미국에서 대학등록금 상승과 일치하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출처 : http://www.cbpp.org/cms/index.cfm?fa=view&id=4135 위 그래프를 보면, 지난 30년간 미국에서 대학등록금의 상승은 상위 1%가구의 가계소득 증가량과 거의 일치 합니다. 반면 평균적인 가계소득은 거의 오르지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왜 이렇게 되었는지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현실이 저렇다면 부유한 가정에서 자란 학생들이 주로 대학에 입학하는 경향이 커졌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 2014. 5. 22. 한국 사람이 SNS에 불평하는 이유 우리나라 소비자들이 다른 나라에 비해 까탈스럽다는 것이 대체적인 인식입니다. 그래서 여러 외국 기업들이 한국에서 제대로 자리잡지 못하고 포기하는 일이 종종 벌어집니다. 한국 소비자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거지요. 이와 관련해서 한국의 소비자들은 SNS에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는 비율이 매우 높다는 자료가 나왔습니다. 출처 :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747015 우리나라 사람이 상품에 대한 불만을 주변에 소문내거나 SNS에 올리는 비율이 매우 높습니다. 특히 미국이나 일본에 비하면 엄청나게 높은 비율입니다. 왜 그럴까요? 사실 SNS에 올리는 것도 대단히 피곤한 일입니다. 시간을 내서 글을 써야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려면.. 2014. 5. 21. 아무도 읽지 않는 보고서 정부기관이나 연구소 등에서 이런저런 자료들을 많이 배포합니다. 그런 자료들은 그냥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고급인력이 투입되어 만들어진 귀중한 자료들입니다. 그리고 특히 데이터를 직접 수집하여 가공해서 정리하는 보고서는 결론만 보면 간단할지 몰라도 그것이 만들어지는 과정에는 많은 시간이 들어갑니다. 그런데 현실에서 그런 보고서가 널리 읽히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읽었으면 좋겠지만 주변에서 그런 보고서 읽고 계신 분은 거의 본 적이 없으실 겁니다. 그게 우리나라만 그런 게 아닙니다. 출처 : http://www.washingtonpost.com/blogs/wonkblog/wp/2014/05/08/the-solutions-to-all-our-problems-may-be-buried-in-pdfs-that-n.. 2014. 5. 20. 술 많이 먹는 나라는? 술하면 우리나라 사람들을 빼놓고 이야기하기 어려울 겁니다. 확실히 우리나라 사람들이 마시는 술의 양은 매우 큰 편입니다. 그런데 단순히 국민 일인당 술 소비량만 따지면 부족한 게 술을 안 마시는 사람들도 많다는 점이죠. 이런 것을 반영한 자료가 있어 소개합니다. 출처 : 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4/05/daily-chart-8 위 그래프는 두 가지 정보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습니다. 15세 이상 모든 국민을 기준으로 술의 소비량을 계산한 것과 술을 마시는 사람들만 따로 계산한 일인당 술 소비량을 모두 보여줍니다. 술을 마시는 사람만 따져서 가장 술을 많이 먹는 나라는 챠드입니다. 우리나라는 10위에 있습니다. 반면, 모든 국민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우리나라는.. 2014. 5. 19. [매직그래프] 대학생이 신뢰하는 뉴스 채널? 매직그래프는 정말이지 볼 때마다 너무 화가 난다. 왜냐하면 그건 고의적이기 때문이다. 데이터를 다루는 사람이 이런 짓을 하는 것은 범죄다. 어이없는 매직 그래프가 또 나왔다.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172457 위 링크는 대학생들이 신뢰하는 뉴스 방송사를 물어본 것이다. 그리고 그대로 발표했다. 문제는 그래프를 이상하게 그렸다. 왼쪽에 빨간 색 네모친 세로축을 잘 보면 비례가 맞지 않음을 알 수 있다. 600이라고 적힌 곳은 실제로 200에 해당한다. 이 그래프는 간격이 커서 중간을 물결표시하고 잘라낸 것도 아니다. 그냥 이상한 거다. 그 밑에 함께 나온 파이 그래프이다. 만든 사람은 이쁘다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살다가 이렇게 직관적이지 않.. 2014. 5. 18. 머리 깍다가 체포된 남자 이름도 재미있는 David Davis라는 남자가 머리 깍는 도중에 체포되었다고 합니다. 조금만 기다려주고 체포하지 참 가혹한(?) 경찰이네요. 그런데 나머지 반쪽은 누가 깍아주나요? 뭐 감옥에 가게 되면 큰 문제는 아니겠군요. 2014. 5. 17. 세계에서 영화관람을 가장 많이 하는 나라는? 영화는 보편적인 문화생활입니다. 거의 대부분 사람들이 영화보는 걸 좋아합니다. 자주 보지는 못하더라도 말입니다. 연인들은 유명 개봉 영화는 거의 다 보지 않나 싶기도 합니다. 그만큼 다른 유흥거리가 없는 것인지, 아니면 정말로 영화를 좋아하는 것인지 애매합니다만, 제가 보기엔 둘 다인 듯 합니다. 아무튼 우리나라 국민이 세계에서 가장 영화를 많이 보는 국민이라고 합니다. http://media.daum.net/culture/others/newsview?newsid=20131223033906042 위 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이 1년동안 평균적으로 4.12편의 영화를 관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위 기사의 그래프가 너무 작아서, 방송 화면을 캡춰해봤습니다. 출처 : http://media.daum.ne.. 2014. 5. 16. 이전 1 ···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