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의료 시스템에 대한 일치된 의견 여전히 미국이 세계 최고의 강대국임은 분명합니다. 경제력뿐만 아니라 군사력, 학술,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보유하고 있고, 많은 사람들이 그 엄청난 위상을 부러워합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분야가 딱 하나 있는데 그것은 바로 미국의 의료 시스템입니다. 미국 이외의 다른 나라 사람들만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아닙니다. 미국인들의 판단도 이와 일치합니다. 출처 : https://www.pewresearch.org/global/2021/11/01/what-people-around-the-world-like-and-dislike-about-american-society-and-politics/ 미국인들에게 물어본 결과입니다. 미국의 여러 분야들이 다른 선진국들과 비교했을 때 평균 이상인지, 평균.. 2021. 12. 29. 정부는 더 많은 일을 해야 하는가? 정부는 한 나라의 전반적인 사항을 관리하는 일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영토 안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에 정부가 신경쓸 수도 없고 그래서도 안됩니다. 그렇다면 어디까지 정부가 개입해서 일을 해야 할까요? 그 경계를 명확하게 긋는 일은 참 어려운 일입니다. 그 경계는 나라에 따라 다르겠지만 시대에 따라서도 달라집니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 청년들은 정부의 역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고 합니다. 출처 : https://mobile.twitter.com/OECD_Social/status/1437413432530178052 위 그래프는 2020년 기준 18-29세 청년들 중에서 "경제적, 사회적 웰빙을 위해 정부가 더 많은 일을 해야 한다"고 답한 비율을 주요 국가 별로 나열한 그림입니다. 우선, OECD 국가.. 2021. 10. 1. 반도체 생산의 중심은 동아시아 요즘 반도체가 부족하다는 말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습니다. 어느 누구도 예측하지 못한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여러 복합적인 사정으로 그래픽 카드는 물건을 구할 수도 없는 상태이고, 자동차 생산도 큰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게다가 앞으로도 이 문제가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많습니다. 현재 이 문제가 심각하게 된 중요한 배경에는 반도체 생산이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도 지적해야 합니다. 반도체 중에서도 특히 최첨단의 제품은 TSMC와 삼성전자 두 개의 기업에만 생산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심각한 과점 상태입니다. 생산을 빠르게 늘릴 수 없으니 반도체 부족이 해결되는 데에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런 반도체 생산 집중이 앞으로도 유지될까요? 아니면 생산지역이 다각화될까요? 이에 대한.. 2021. 8. 20. 미국 청년들의 성관계 빈도 감소 결혼과 출산이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은 새삼스럽지도 않습니다. 우리나라가 유독 그 정도가 강력하긴 하지만 다른 나라들도 다들 비슷한 상황이고, 출산이 줄어드는 문제를 걱정하는 것은 미국도 마찬가지입니다. 이것의 연장선에서 최근 성관계의 빈도가 줄어들고 있다는 자료가 있어 소개합니다. 출처 : https://www.washingtonpost.com/business/2019/03/29/share-americans-not-having-sex-has-reached-record-high/ 1989-2018년 기간의 자료입니다. 미국인들의 성관계 빈도를 물어본 결과입니다. 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19%에서 23%로 증가했습니다. 반면, 일주일에 1회 이상인 집단은 감소했습니다. 종합하면 적어도 미국인들의 성관계 빈도는.. 2021. 8. 16. 더욱 심화된 미국의 약물 남용 문제 미국에서 마약성 약물의 남용으로 인한 문제가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는 내용을 언급한 바가 있습니다. 그런데 2020년에는 이 수치를 한참 뛰어넘어 버렸다는 통계치가 발표되었습니다. 2017년에 작성한 글에서 연간 사망자 수가 6만 명을 넘는 매우 심각한 사회문제라고 했는데, 이번에 발표된 수치는 무려 9만 명을 넘었습니다. 이 수치가 진짜 사실인지조차 믿기 힘들 정도입니다. 출처 : https://www.nytimes.com/interactive/2021/07/14/upshot/drug-overdose-deaths.html 출처 : https://www.economist.com/graphic-detail/2021/07/15/a-record-number-of-americans-died-from-drug-ov.. 2021. 7. 23. R&D 투자에 열심인 두 나라, 한국과 이스라엘 우리나라는 R&D를 참 열심히 하는 나라입니다. 예전부터 많이 했던 이야기 중 하나로 이런 것이 있었습니다. 우리나라는 가진 지하자원이 없으니 사람이 자원이란 그런 류의 말들 말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우리나라는 기술개발에 큰 투자를 해왔고 어느 정도 성과를 낸 지금에도 더 강화되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우리가 여전히 선진국에 비해 많이 모자란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절대적인 수치로 보자면 맞는 말이긴 합니다. 하지만 GDP 대비로 보면 우리나라의 R&D 투자는 예전부터 세계 최고 수준이었습니다.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많이 투자하고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economist.com/graphic-detail/2021/06/22/even-before-covid-19-the-world-wa.. 2021. 6. 27. 미국인의 조건 "누가 우리나라 국민인가?"하는 문제는 공동체의 정체성과 경계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질문입니다. 우리가 흔히 "검은머리 외국인"이라고 칭하는 한국인은 바로 이 문제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외모로서는 한국인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말입니다. 즉 누가 한국인인가를 결정하는데 있어 한국인처럼 생긴 외모는 결정적인 요인이 아니라는 겁니다. 그렇다면 미국은 어떨까요? 미국인이 되기 위하 어떤 조건이 중요하다고 생각할까요? 출처 : https://www.pewresearch.org/fact-tank/2021/05/25/in-both-parties-fewer-now-say-being-christian-or-being-born-in-u-s-is-important-to-being-truly-american .. 2021. 6. 7. 트럼프의 소셜 미디어를 금지해야 하는가? 트럼프의 시대는 끝났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이 과감한 개혁을 추진하면서 트럼프라는 이름은 빠르게 잊히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도 역시 미국 대통령이었습니다. 현 시대 세계 최강국인 미국을 4년간 이끌어간 대통령이었습니다. 그런 사람이 여러 소셜 미디어 사용을 금지당하고 있습니다. 표현의 자유가 무척이나 중요하게 여기는 미국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바로 이전 대통령에게 이런 대우를 한다는 점도 참 놀랍습니다. 이 문제에 대한 미국인의 여론 조사 결과를 보니 더욱 놀랍습니다. 미국은 이 문제로 정확하게 양분되어 있었습니다. 다음 그래프처럼 말입니다. 출처 : https://www.pewresearch.org/fact-tank/2021/05/05/americans-divided-on-whether-trump-shou.. 2021. 5. 9. 이전 1 2 3 4 5 6 ···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