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exa"라는 이름 인공지능 기술이 우리 삶 속으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인공지능 스피커입니다. 이미 여러 기업들이 다양한 제품들을 내놓고 있어 친숙해진 물건입니다. 이런 인공지능 스피커 중 아마존에서 출시한 것의 호출 신호가 바로 "알렉사(Alexa)"입니다. 안드로이드 폰에서 "하이 구글"이라고 하고, 아이폰에서 "시리"라고 부르는 것에 해당하는 것이 바로 아마존의 "알렉사"입니다. 아마존의 "알렉사"는 확실히 다른 호출신호와는 다릅니다. 다른 것은 기업의 이름이거나 실제로 사용되는 이름이 아닌데 "알렉사"만 실제로 사람이름에 사용되는 이름이란 점입니다. 이것이 가져온 결과는 어떠할까요? 출처: https://www.statista.com/chart/13907/babies-named-alexa/.. 2021. 2. 25. 산업 로봇이 가장 많은 나라 4차 산업혁명이란 거대한 전환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이든 로봇이든 간에 인간의 역할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대세입니다. 기계와 로봇들에게 일자리를 빼앗기는 현상은 지금도 진행 중입니다. 식당에는 키오스크가 들어서고 서빙을 하는 로봇이 움직입니다. 로봇이 차지하는 부분만큼 인간의 일자리를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인간과 로봇은 서로 이해관계가 대립하는 관계가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지금 로봇이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나라는 어디일까요? 아마 이 질문은 많은 분들이 답을 알고 계실 것이라 생각합니다만 그래도 아래의 자료를 확인해 보시지요. 출처 : https://www.statista.com/chart/13645/the-countries-with-the-highest-densi.. 2021. 2. 2. 이젠 커플도 온라인이 대세 집안에만 머무르고 있는 요즘 누군가를 만난다는 것 자체가 특별한 이벤트입니다. 사람들 사이에 마주침이 적어지면 적어질수록 새로운 인간 관계 역시 만들어지기 어렵습니다. 인간 관계 중에서도 가장 긴밀한 관계 중 하나인 연인 관계 역시 만들어지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일단 누굴 만나야 뭐든 시작되든 말든 할텐데 말입니다. 예전에는 미팅이나 소개팅처럼 친구나 지인이 연결해주는 기회를 통해 커플이 성사되곤 했습니다만 요즘엔 이런 것도 과거의 것으로 치부되나 봅니다. 최근에는 온라인이 대세입니다. 오프라인의 모든 것이 온라인으로 옮겨가고 있는데 이젠 커플도 온라인에서 만나고 있습니다. 적어도 미국은 그렇다고 합니다. 출처 : https://www.pnas.org/content/116/36/17753/ (via ht.. 2021. 1. 28. 일인당 라면 소비량... 역시 대한민국 라면은 삶의 일부분입니다. 한국인에게 가장 중요한 음식은 역시 밥이겠습니다만 그 다음 순위는 아마도 라면이 차지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최근에는 한국 라면이 세계적으로도 널리 알려지고 있습니다. 저 역시 최근 코로나로 집에만 있으면서 라면 소비가 이전보다 늘었습니다. 아마 다른 분들도 비슷할 것이라 짐작합니다. 아무튼 그만큼 라면의 인기는 점점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라면을 많이 먹는 나라는 어디일까요? 출처 : https://www.statista.com/chart/22865/instant-noodle-consumption-by-country/ 2019년 기준 자료입니다. 국민 일인당 라면을 가장 많이 먹는 나라는 역시 우리나라입니다. 총 39억 개의 라면을 먹었고 일인당으로 계산하면 75.6.. 2021. 1. 27. 한국 주식시장의 놀라운 성장 코스피 지수가 역사상 처음으로 3,000을 돌파했습니다. 정말 놀라운 기록입니다. 팬데믹이라는 미증유의 재난 상황임을 감안하면 믿기지가 않을 정도입니다. 사실 상 전쟁이 일어난 것과 다름없는 위중한 상황에서 오히려 한국의 주식시장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점은 생각해볼 거리를 많이 안겨줍니다. 실제로 2020년 GDP 성장은 우리나라가 그나마 가장 나은 상태이지만 그럼에도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이라는 예측은 많이 나왔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식시장은 폭발했습니다. 그럼 다른 나라들 상황과 비교하면 얼마나 성장한 것일까요? 출처 : https://www.statista.com/chart/23839/annual-gains-of-selected-major-stock-indices-2/ 2020년 한 해동.. 2021. 1. 6. 미국 대선의 도농 격차 심화 몇 마디 말로 정리하기도 힘든 2020년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펜데믹이 모든 것을 뒤덮어버린 한 해였습니다. 펜데믹을 제외하면 그래도 중요한 이벤트로 올해에는 미국 대선이 있었습니다. 미국 대선의 공식적인 절차는 종료되었고 내년엔 취임식이 진행됩니다. 트럼프가 여전히 저항하고 있긴 있긴 하지만 민주주의의 대원칙에 대한 불필요한 저항은 사회만 더 망가뜨릴 뿐입니다. 그가 하루 빨리 정상적인 세계로 귀환하길 바랍니다. 아무튼 이번 미국 대선은 이전의 경향이 더욱 심화되었음을 확인하기도 했습니다. 그것은 바로 도시와 농촌의 정치적 차이입니다. 많은 분들이 이번 미국 대선 개표과정에서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넓은 미국 주에서 작은 면적만 차지한 민주당 바이든 후보가 실제 투표 수는 훨씬 .. 2020. 12. 28. 어르신 독감 백신 접종 비율 화이자에서 개발한 코로나 백신의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참 반가운 기사입니다만 실제로 우리가 코로나 백신 접종을 맞을 수 있으려면 아직도 한참 더 기다려야 합니다. 그런데 어떤 나라들은 기존에 있는 백신조차도 맞지 않으려는 사람들이 제법 존재합니다. 참 안타까운 일입니다. 그럼 우리나라의 백신 접종 상황은 어떨까요? 65세 이상 어르신들의 독감 백신 접종 비율에 대한 통계를 간단히 살펴봅시다. 출처 : https://www.statista.com/chart/16575/global-flu-immunization-rates-vary/ 출처 : https://www.oecd-ilibrary.org//sites/4dd50c09-en/1/3/6/13/index.html?itemId=/conte.. 2020. 11. 10. 미국 대통령 후보 지지자 사이의 간극 이런 저런 사정들로 오랜만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글을 작성하고 있는 지금 미국에서는 대통령 선거 개표가 진행 중입니다. 미국 대통령 선거는 언제나 중요했지만 이번 선거는 특히 더욱 그러합니다. 미국이란 국가의 영향력은 여전히 세계 최고이고 현재 시점에서 중요한 결정들이 이번 선거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이번 미국 대선은 투표율 자체가 엄청납니다. 미국인들도 이번 선거의 중요성을 다들 이해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라 짐작합니다. 최근 미국의 양당과 그 지지자들은 서로 화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대립이 심해졌고 이것은 증오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부추긴 것도 부정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양 진영 사이의 다양한 견해 차이가 그 어느 때보다 벌어져 있습니다. 그런 .. 2020. 11. 4. 이전 1 2 3 4 5 6 7 ···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