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와 함께 사는 미국 청년들 요즘처럼 경제 위기가 일상화된 시대에서 자녀가 부모로부터 독립한다는 것 자체가 대단한 사건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부모가 어느 정도까지 자녀를 책임져야 하는가 하는 문제는 각자 사정마다 다를 수밖에 없지만 어느 순간 자녀가 부모로부터 독립해야 한다는 사실만큼은 확실합니다. 여기서 문제는 그 시점이 언제인가 하는 문제입니다. 갈수록 이 시점이 점점 더 늦춰지고 있습니다. 서른 넘은 자녀들도 부모와 함께 사는 경우가 보다 빈번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라고 예외가 아닙니다. 출처 : https://www.statista.com/chart/22823/share-of-young-adults-living-with-a-parent/ 위 그래프는 18-29세 청년들 중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사람의 비율을 시대 순으.. 2020. 9. 22. 연애하기 더 힘들어진 시대 결혼을 거부하거나 포기하는 소위 '비혼'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이 트렌드는 비단 우리나라만 그런 것이 아닙니다. 전 세계적으로 결혼은 필수가 아니라 선택으로 변하고 있고, 그것도 일부의 사람들만이 할 수 있는 특별한 것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니 결혼의 전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연애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점점 더 연애를 포기하는 청년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소위 '썸'이라고 칭하는 상태가 있습니다. 사실 이런 단어가 등장한 것 자체가 이미 연애가 어려워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그럼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연애를 포기하고 있고,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적어도 미국에서는 이렇다고 합니다. 출처 : https://www.pewsocialtrends.org/2020/08/20/a-profile-o.. 2020. 8. 25. 모바일 결제 비중이 높은 나라들 모바일 장비는 생활 필수품의 단계를 너머 다른 영역을 모조리 집어 삼키고 있는 무시무시한 존재가 되고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분야가 바로 지불과 결제 시스템입니다. 전통적인 지폐를 갖고 다니는 것은 점점 더 구닥다리가 되고 있습니다.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혹시나 해서 지갑에 항상 일정한 현금을 넣어 다니고 있지만 그걸 써본 적이 거의 없습니다. 한참 전에 넣어뒀던 현금이 그대로 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모두가 집에 박혀 있는 요즘은 더욱 그러합니다. 모바일을 통한 지불과 결제 및 송금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습니다. 이것의 정도를 파악하는 한 가지 자료가 바로 모바일 상거래 결제의 비중과 규모를 확인해 보는 것입니다. 과연 어느 나라에서 모바일 결제의 비중이 높을까요? 출처 : https://www.sta.. 2020. 8. 24. 신에 대한 믿음과 세대 차이 세대간 차이는 여러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사회현상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 문제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왜냐하면 한국사회는 짧은 시간에 너무 많이 변화했기 때문입니다. 변화의 속도가 빨라서 서구에서는 백년 이상의 시간에 걸쳐 이루어진 변화가 우리나라에서는 3-40년만에 이루어졌습니다. 약간 과장해서 말하자면 농경시대에 태어난 사람과 산업시대에 태어난 사람과 정보시대에 태어난 사람이 현재 함께 살아가고 있는 것이 한국사회입니다. 그러다보니, 세대간 차이가 다른 나라들보다 더 크게 드러나곤 합니다. 이에 대한 데이터 하나를 소개해합니다. 바로 신에 대한 믿음에 있어서 세대간 차이입니다. 우리나라의 상황은 이렇습니다. 출처 : https://www.pewresearch.org/global.. 2020. 8. 2. 한국 5G 통신 시장의 성장 2019년 4월, 우리나라는 세계최초로 5G 통신을 상용 서비스로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지난 1년 동안 5G를 지원하는 여러 모바일 장비들이 출시되었고 이미 많은 분들이 5G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여전히 4G LTE를 이용하는 분들이 훨씬 더 많긴 합니다만 그래도 5G 사용자 규모는 세계적인 수준입니다. 먼저 시작했으니 당연한 결과일 겁니다. 그런데 주변에서 들리는 말들을 보면, 5G 통신에 대한 불만도 상당합니다. LTE 대비 더 좋은 점을 찾기 어렵다거나 아직도 5G 기지국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비판이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불만이 나오게 된 배경에는 5G 요금제 고객들이 4G 요금제로 바꾸지 못하게 하는 통신사들의 얄팍한 수작도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고객들이 이렇게 불만이니 .. 2020. 7. 20. 마스크를 안 쓰는 북유럽 국가들 코로나로 인해 마스크 착용이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부상했습니다. 꽃가루나 황사, 미세먼지 때문에 마스크 착용 문화가 이상한 것이 아닌 아시아 국가들은 이번 사태에 마스크 사용에 대한 거부감이 적은 편입니다. 실제로 불편하다고 생각하더라도 마스크를 써야 한다는 주장 자체에는 다들 동의하는 편입니다. 그런데 미국에서는 여전히 청년층을 중심으로 마스크를 적극적으로 거부하는 형태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미국의 특이한 점은 한 가지가 더 있습니다. 마스크 착용이 정치적 성향과 연결되었다는 점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마스크 착용을 거부하면서 마스크 착용 거부가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하는 상징적 행위처럼 되어 버렸습니다. 그러니 트럼프 지지자들은 매우 적극적으로 마스크 착용을 거부합니다. 이런 정치적 맥락으로 인해 미국.. 2020. 7. 14. 미국 코로나 사망자 집단의 특이성 Covid-19으로 전세계가 난장판이 되었고 많은 분들의 삶이 예상치못한 소용돌이에 휘말렸습니다. 저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삶이 불편해졌다고 해도 그 불편함이 사망자의 경우에 비할 바는 전혀 아닙니다. 수많은 분들이 갑작스러운 비극을 맞이하게 되었으니 참 슬픈 일입니다. 초기에 우리나라도 큰 피해를 경험했지만 시간이 제법 흐른 지금에서 보면 우리나라의 피해는 아무것도 아닐 정도로 거대한 타격을 받은 나라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나라는 단연 미국입니다. 초기 방역의 실패가 빠른 확산으로 이어졌고 미국 특유의 병원 체계가 희생의 크기를 더 키우는데 일조하기도 했습니다. 여러 나라에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사망자가 속출했지만 미국에서 발생한 사망자들은 다른 나라의 사망자.. 2020. 6. 26. 개를 좋아하는 나라와 고양이를 좋아하는 나라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사람들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습니다. 인간과 가장 친근한 반려동물은 단연 개와 고양이입니다. 하지만 개와 고양이는 성격이 매우 다릅니다. 그래서 키우는 사람들도 성향이 일정하게 차이나게 마련입니다. 개를 좋아하는 사람과 고양이를 좋아하는 사람은 많이 다릅니다. 그럼 이 차이를 국가 수준으로 올리면 어떨까요? 개를 키우는 사람이 더 많은 나라와 고양이를 더 많이 키우는 사람이 많은 나라는 어디일까요? 그리고 그 차이는 얼마나 될까요? 출처: https://www.economist.com/graphic-detail/2020/02/11/which-country-spends-the-most-on-its-pets 두 개의 그래프가 있습니다. 둘 다 흥미로운 자료입니다만 이번 글의 초점은 .. 2020. 2. 15. 이전 1 2 3 4 5 6 7 8 ···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