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별 신뢰하는 미디어의 차이 세대별 소통의 문제는 여러 나라에서 중요한 갈등요인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보통 세대 문제를 다룰 때 구분하는 세대의 기준은 베이비붐 세대와 밀레니엄 세대입니다. 그리고 그 사이에 X세대를 넣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식으로 말하자면 베이비붐은 58년 개띠가 상징적인 나이입니다. 밀레니엄 세대는 2000년 전후로 출생한 젊은 세대입니다. X세대는 90년대 중반에 대학을 다닌 70년대 중후반 세대를 지칭합니다. 세대 차이를 확인하는 좋은 수단으로 미디어 매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세대별로 선호하는 미디어 매체가 크게 다르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라면 종편이 그 예시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럼 세대별로 미국인들은 어떤 미디어를 신뢰할까요? 그 차이를 확인해 봅시다. 출처 : https://www.pewres.. 2015. 11. 22. GDP 성장과 경기전망의 관계 앞으로 경제가 나아질 것인가 하는 질문에 긍정적인 답변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사실 이것이 요즘만 그런 것도 아닙니다. 기억을 돌이켜보아도 경제가 좋았던 때가 언제 있었는지 기억해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IMF 이후로 경제는 언제나 나쁜 것이었습니다. 그럼 다른 나라들은 어떨까요? 다른 나라 사람들도 우리나라처럼 경제에 대한 전망이 나쁠까요? 사실 이 문제는 GDP 성장과 관련이 있습니다. 출처 : http://www.pewglobal.org/2015/09/16/health-care-education-are-top-priorities-in-sub-saharan-africa/ 위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2005년부터 2014년 사이에 이루어진 GDP 성장입니다. 세로축은 앞으로 장기적으로 경제가 나아질 .. 2015. 10. 28. 정부와 민간 R&D 지출의 국가별 변화 R&D는 가장 중요한 투자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저기에 들어가는 돈을 쓸데없는 짓이라고 폄하하는 사람은 이제 찾아보기 힘듭니다. 연구와 개발의 중요성은 당연한 것이 되었다는 의미일 것입니다. 그럼 말로만 중요하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진짜로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실천하고 있을까요? 그것을 알아보는 매우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거기에 얼마나 많은 돈을 투자하는지를 보면 됩니다. 출처 : https://twitter.com/RichardALJones/status/639052318919524352 위 그림이 정확하게 어느 보고서에 실린 것인지 자료를 공개한 분이 정확하게 밝히고 있지 않습니다. 아마 자기도 기억하지 못하는 듯 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OECD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임이 그래프에 명시되어 있습.. 2015. 10. 23. 백만장자가 가장 많은 나라는 여전히 미국 누구나 부자가 되고 싶어 합니다. 강력하게 열망하는 정도가 아니더라도 백만장자가 되는 것을 마다할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그런 백만장자는 어느 나라에 가장 많을까요? 사실 이 질문은 쉽습니다. 경제적으로 가장 부유한 나라가 당연히 부자가 많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현재 경제력으로 최고의 나라는 당연히 여전히 미국입니다. 출처 : http://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5/10/15/the-countries-with-the-most-millionaires-infographic/ 2015년 기준으로 미국의 백만장자는 무려 천5백만 명이 넘어갑니다. 엄청난 숫자입니다. 다른 나라와 비교해봐도 압도적입니다. 그 다음인 영국이 2백4십만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2등.. 2015. 10. 18. 의사를 수입하는 나라들 세계 경제가 하나로 통합되면서 자본과 인력의 이동이 자유롭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자본의 이동에 비해 인력의 이동은 상대적으로 더 작습니다. 인력의 이동은 현실적인 장벽이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그런 장벽 중 하나가 법적인 규제입니다. 전문직의 경우 특히 더 그러합니다. 이런 경우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직종이 바로 의사입니다. 우리나라는 의사를 자체적으로 훈련시켜 육성합니다. 외국으로 유학을 가는 의사도 매우 적고, 그 반대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외국에서 의사 면허를 획득한 사람이 바로 우리나라에서 의사로 인정받는 것은 간단한 문제가 아닙니다. 그럼 어느 나라가 상대적으로 외국 의사를 관대하게 받아들일까요? 출처 : http://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5/10/0.. 2015. 10. 5. 폭스바겐 사태와 여러 나라 디젤차 판매량 폭스바겐의 디젤차 조작사건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습니다. 사태의 중요함을 고려해본다면 당연한 상황이기는 합니다. 폭스바겐이 정부와 소비자를 속이기 위해 비열한 방법을 사용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니까요. 게다가 실수도 아닌 고의일 뿐만 아니라, 고도로 정교하게 계획된 범죄행위이기도 합니다. 이번 일로 해서 폭스바겐을 넘어 디젤 자동차 전반에 대한 신뢰가 깨지고 있습니다. 디젤차는 친환경적으로 만들기에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는 것이 다시 공감을 얻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동안 디젤 차는 얼마나 많이 팔렸을까요? 출처 : http://www.economist.com/news/briefing/21667918-systematic-fraud-worlds-biggest-carmaker-threatens.. 2015. 9. 29. 우리나라의 스포츠 용품 소비량 우리나라가 규모에 비해서 스포츠 강국이기는 합니다. 올림픽 10위권에 들어가는 정도면 어떤 기준으로 평가해도 절대 낮은 수준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엘리트 스포츠라는 것이죠. 체계적인 국가대표 선발과 태능선수촌이라는 시설 존재합니다. 아무튼 소수의 엘리트를 육성하는 데에는 확실한 재주가 있는 것이 분명해 보입니다. 그런 점에서 진짜 스포츠 강국은 생활체육이 활발한 나라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있습니다. 국민들이 누구나 손쉽게 스포츠 생활을 즐길 수 있는 나라라면 확실히 좋은 나라일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도 예전보다 확실히 더 나아졌습니다. 건강을 위해서건 취미생활이건 운동을 하는 시간이 이전보다는 더 늘어간 것은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그 수준이 어느 정도인가 하는 것입니다. 쓸데 없.. 2015. 9. 11. 영국 왕과 여왕의 재위 기간 아직까지 왕정이 남아 있는 국가들이 여럿 있습니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것은 역시 단연 영국입니다. 왕정의 역사가 오래되어서 나름 정통성도 있고, 시민혁명 덕분에 왕이 정치적인 활동을 할 수 없으니 애초부터 분란을 일으킬 일도 없습니다. 일본처럼 과거사에 얽매여 있지도 않죠. 그래서 좋은 이미지로만 왕정을 형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나라입니다. 영국에서 왕정을 얼마나 더 유지할지는 모르겠지만 그것이 지금처럼 제법 괜찮은 광고효과와 돈벌이가 되는 한 계속 유지하려고 할 것입니다. 아무튼, 지금의 영국 여왕인 엘리자베스 2세의 재위기간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역대 영국의 왕과 여왕들의 재위기간을 정리한 자료가 있어 소개해 봅니다. 출처 : http://www.economist.c.. 2015. 9. 10. 이전 1 ··· 3 4 5 6 7 8 9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