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들이 부도덕하다고 생각하는 것 사람들은 저마다 각자의 가치관을 갖고 살아 갑니다. 그 중에는 대부분 사람들이 동의하는 것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들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살인이나 강간이 도덕적으로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혼은 어떨까요? 어떤 민감한 이슈들은 사람들의 도덕적 평가가 크게 엇갈릴 수 있습니다. 그것에 해당하는 몇 가지 이슈에 대해 우리나라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고, 이 결과가 전세계적인 평균과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을까요? 출처 : http://www.pewglobal.org/2014/04/15/global-morality/country/south-korea/ 클릭해서 원래 크기로 보면 글자가 더 선명하게 보일 겁니다. 한국인들에게 8가지 행위에 대한 도덕적 평가를 질문한 것입니.. 2015. 3. 30. 비료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나라는? 먹고 사는 것은 가장 중요한 문제입니다. 그리고 이제는 단순히 먹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무엇을 먹는가가 더 중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유기농이니, 무농약이니, 친환경이니 하는 마케팅용 단어들이 난무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농사를 지을 때 비료를 안 쓸 수가 없습니다. 비료는 정말로 엄청난 효과를 갖고 있습니다. 그걸 돈주고 사서 시간투자하고 인건비 들여가며 뿌리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는 법입니다. 비료는 이렇게 생산성을 크게 높여주지만 장기적으로는 토양에 그렇게 좋지는 않다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사용량의 균형을 찾아야 합니다. 그러면 지금 우리는 비료를 얼마나 사용하고 있을까요? 그리고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곳은 어디일까요? 출처 : http://blogs.wsj.com/.. 2015. 3. 24. 종교가 다양한 나라 세계 어디를 가든지 종교가 참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크든 작든 말입니다. 우리나라도 종교때문에 일어나는 불미스러운 일이 제법 많습니다. 그래도 사람들이 죽어나가는 끔찍한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지 않는 것만으로도 감사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우리나라는 여러 가지 종교의 신자가 다양하게 존재하는 편입니다. 반대로 우리나라와 달리 전 국민이 특정 종교의 신자인 나라도 많습니다. 이런 것을 종교 다양성의 차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세계 여러 나라들의 종교 다양성을 어떨까요? 출처#1 : http://www.pewforum.org/2012/12/18/global-religious-landscape-exec/ 출처#2 : http://www.pewforum.org/2014/04/04/global-rel.. 2014. 12. 28. 기후변화를 심각하게 여기는 나라는? 크리스마스입니다. 네 이웃을 사랑하라고 말씀하신 위대한 분의 탄생을 축하하는 날입니다. 옛날에는 이웃의 범위가 무척 작았습니다만, 현대 사회에서 이웃은 사실상 전세계 모든 사람과 같은 말입니다. 왜냐하면 현대 사회는 작은 변화 하나하나가 전세계 모두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지구촌이라는 말도 만들어졌습니다. 그러니 이제 그 분의 가르침은 모든 지구인들을 사랑해야 한다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발전하게 됩니다. 아무튼, 전세계 모두가 잘 살기 위해서 함께 해결해야 할 몇 가지 중요한 문제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기후변화의 문제입니다. 기후변화! 정말 심각하고 시급한 문제입니다. 적어도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기후변화의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은 이미 늦은 것같고, 피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2014. 12. 25. 한국과 미국의 신뢰하는 언론사 언론사의 영향력이 갈수록 낮아지고 있습니다. 한때 모 언론사 사주는 "밤의 대통령"이라는 별명까지 얻을 정도로 그 위력이 막강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다양한 매체들의 등장으로 갈수록 전통적인 미디어의 영향력이 쇠퇴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어느 언론사를 그나마 신뢰하고 있는지 미국과 한국의 자료를 비교해 봅시다. 출처#1 : http://www.journalism.org/interactives/media-polarization/table/overall/ 출처#2 :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025 먼저, 미국의 상황입니다. 위 표는 미국의 유력 언론사들의 신뢰도를 사람들에게 물어본 결과입니다. 미국에서 가장 신뢰.. 2014. 12. 24. 강한 군대를 보유한 상위 35개국 많은 나라들이 국방에 큰 신경을 쓴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강력한 군대가 필요한 나라들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물론 우리나라는 국방에 매우매우 많은 신경을 써야 하는 나라이긴 합니다만, 세상에는 아예 스스로 군대를 없애버린 나라도 있습니다. 국경을 감시하는 소규모 인력을 제외하면 사실 상 군대가 필요없는 나라도 제법 많습니다. 그래서 사실 군사력에 많은 투자를 하는 나라들은 알고보면 다들 그들만의 리그입니다. 그래서 상위 35개 국가의 군사력 순위를 보여주는 자료가 있어 소개해 봅니다. 출처 : http://www.businessinsider.com/the-worlds-most-powerful-militaries-2014-12 매우 크기가 큰 그림입니다. 클릭해서 확대해서 봐야 합니다. 위 자료는 군사력.. 2014. 12. 13. 점점 낮아지는 노동조합 조직률 노동조합, 흔히 노조라고 부르죠. 노동조합을 기업의 발목을 잡는 나쁜 존재쯤으로 여기는 이상한 문화가 있습니다만, 노조는 노동자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이익단체일 뿐입니다. 전경련과 정확히 반대되는 위치에 있습니다. 노동자들의 단결은 헌법에도 명시되어 있는 권리입니다. 사회질서를 그렇게 중요하게 여기시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법을 무시하면 안되는 겁니다. 그런데 사실 노조가 무언가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시대는 이미 끝났습니다. 노조는 이제 힘이 없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존재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노조에 가입한 사람들이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미국와 한국 노조조직률을 비교해 봅니다. 출처#1 : http://blogs.hbr.org/2014/09/what-unions-no-longer-do 출처#2 : h.. 2014. 11. 3. 미국 유학생을 가장 많이 보낸 도시는 서울 우리나라에서 우수한 학생들이 미국으로 유학가는 일은 아주 흔한 일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대체로 아시아 출신 학생들이 미국 대학으로 유학을 많이 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 대학에 입학한 유학생들에 대한 상세한 자료가 있어 소개해 봅니다. 출처 : https://www.washingtonpost.com/news/wonk/wp/2014/08/29/where-foreign-students-are-coming-from/ 자료 : http://www.brookings.edu/research/interactives/2014/geography-of-foreign-students#/M10420 위 그래프는 미국에 유학온 학생들의 출신 도시를 조사한 자료입니다. 1위에 우리나라 서울이 있습니다. 그 다음으.. 2014. 10. 5.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