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한 자녀 정책 폐지의 기대 효과 중국은 오랫동안 한 자녀 정책을 유지했습니다. 결혼한 부부는 한 명의 자녀만 낳을 수 있는 규제입니다. 국가가 이런 것까지 결정한다는 것 자체가 비정상적인 것처럼 여겨지긴 하지만, 그래도 중국의 엄청난 인구를 감안하면 어쩔 수 없는 것으로 인식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던 중국이 최근 이 정책을 완화하기 시작했습니다. 희망하는 부부에게는 두 명의 자녀를 낳을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입니다. 중국이 한 자녀 정책을 포기하게 된 이유는 우리나라 만큼이나 낮은 출산율 때문입니다. 그럼 이제 중국의 인구는 다시 증가할까요? 출처 : http://www.economist.com/news/china/21657416-china-has-relaxed-its-one-child-policy-yet-parents-are-not-r.. 2015. 7. 15. 외국으로 유학생을 많이 보내는 나라들 얼마 전, 미국에 유학온 수많은 학생들 중 어느 나라 출신이 가장 많은가에 대한 자료를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그 자료는 미국을 중심으로 유학생의 수를 계산한 것입니다. 그럼 유학온 나라말고 유학보낸 나라를 기준으로 가장 많은 유학생을 외국으로 보내는 나라는 어디일까요? 출처 : http://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5/07/02/these-countries-have-the-most-students-studying-abroad-infographic 역시 예상대로 중국이 1위입니다.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니 유학생도 가장 많습니다. 그 다음은 당연하게 인도입니다. 역시 인구 수가 가장 중요합니다. 문제는 바로 그 다음이죠. 바로 우리나라입니다. 우리나라 인구는 5.. 2015. 7. 7. 운신의 폭 최근에 경제가 좋아졌다는 말은 들어본 적도 없고, 앞으로 그럴 것같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살아야 하기에 준비도 하고 대비도 해야 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준비한다고 해도 경제위기는 언제나 힘들고, 막상 경제위기가 닥쳐도 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위기 상황에 정부가 움직일 수 있는 "운신의 폭"은 각 나라마다 다릅니다. 경기부양을 위해 돈을 풀고 싶어도 미리 엄청난 재정적자가 존재한다면 사실 상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은 제한적입니다. 이렇게 각 나라 정부의 운신의 폭은 다 다를 수 있습니다. 이것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점수화시켜 순위를 만든 자료가 있습니다. 출처 : http://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5/06/daily-chart.. 2015. 6. 15. 한국과 일본이 생각하는 서로에 대한 이미지 한국과 일본의 관계는 이리저리 뜯어봐도 절대 좋다고 말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닙니다. 일본의 아베 총리가 집권한 이후 상황은 더 나빠지고 있고, 미국이 애매모호한 입장은 양국 관계를 더 나쁘게 하고 있습니다. 그럼 한국과 일본 사람들이 생각하는 서로에 대한 이미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이에 대한 조사 자료가 있어 소개해 봅니다. 출처 : http://www.genron-npo.net/pdf/forum_1505_en.pdf (via https://twitter.com/AlastairGale/status/604576345859891201) 위에 소개한 문서를 보면 대단히 자세한 자료가 실려 있습니다. 그중에서 일부만 가져왔습니다. 해당 문서를 보시면 더 많은 자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은 한국과 일.. 2015. 6. 2. 미국인 신뢰하는 언론이 폭스뉴스라는 현실 예전에 한국과 미국에서 신뢰받는 언론사에 대한 내용을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 자료는 너무 많은 언론사를 다루어서 뭔가 복잡해 보입니다. 미국에서 주요 방송사만을 대상으로 그 신뢰도를 간단하게 조사한 자료가 있어 소개해 봅니다. 출처 : http://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5/05/13/poll-fox-news-is-americas-most-trusted-news-channel-infographic/ 폭스, CNN, CBS, NBC, ABC, msnbc 순서로 신뢰도 랭킹이 나왔습니다. 모두 주요 방송사 뉴스들입니다. 그런데 폭스가 이 중에 1등이고 29%의 사람들이 폭스뉴스를 신뢰한다고 응답했습니다. 2등인 CNN이 22%입니다. 그 이외의 언론사의.. 2015. 5. 15. 노동시간이 가장 긴 나라는 어디일까?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인 통계치가 몇 가지 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런 것들은 부정적인 것들이 많습니다. 노동시간도 그런 것 중 하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업무환경은 근무시간이 지나치게 깁니다. 세계에서 가장 일을 많이 하는 나라였습니다. 지금도 그럴까요? 이젠 좀 변하지 않았을까요? 출처 : https://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5/04/21/these-countries-have-the-most-annual-working-hours-infographic-3/ 2013년 OECD 자료로 작성된 통계자료입니다. OECD가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나라 중에서 1년간 노동시간이 가장 긴 나라는 멕시코입니다. 우리나라는 그 다음으로 2등입니다. 세계 1등은 아니니 그.. 2015. 5. 5. 일본으로 해외여행가는 사람들 폭증 이 글의 제목을 "폭증하는 일본여행객들"이라고 하려다가, 문득 "일본여행객"이라는 말이 일본 사람들이 여행간다는 것인지, 일본으로 여행가는 사람들인지 혼동이 생기더군요. 그래서 제목을 저렇게 바꿨습니다만, 우리나라 표현에는 그 의미가 다소 모호한 것이 많은 것 같습니다. 아무튼, 일본으로 해외여행가는 사람들이 크게 늘었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그 이유는 뭘까요? 사실 다들 잘 알고 계실 겁니다. 출처#1 : http://www.economist.com/news/asia/21647332-economy-gets-boost-record-numbers-visitors-treasure-hunt 출처#2 : http://ppss.kr/archives/30843 1993년부터 최근까지 일본에 입국한 해외 여행객의 숫자.. 2015. 4. 9. 고등교육에 들어가는 돈 우리나라의 교육열은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임은 잘 알고 있습니다. 대학진학율도 대단히 높습니다. 당연히 거기에 들어가는 돈도 많습니다. 교육산업의 규모가 대단히 크다는 말입니다. 3차(Tertiary) 교육기관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사전적 의미로는 세번째 교육단계를 말하지만, 우리 현실에서 만든어진 단어가 아니라서 몇 번째라는 순서가 중요한 것은 아니고 보통 고등학교 이후 고등교육을 총칭하는 것으로 쓰이는 말입니다. 보통 대학을 의미합니다. 이 3차 교육기관에 투입되는 돈의 규모를 나라별로 조사한 자료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교육산업의 규모를 가듬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출처 : http://www.economist.com/news/special-report/21646991-both-provision-and-.. 2015. 4. 6.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