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구를 기준으로 그린 세계지도 세계지도는 매우 익숙하실 겁니다. 면적이 넓은 러시아, 캐나다, 미국, 중국 같은 나라들이 있습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미국의 한 주보다도 작은 나라입니다. 하지만 인구밀도는 대단히 높습니다. 그렇다면 땅 넓이가 아니라 인구를 기준으로 세계지도를 그리면 어떻게 될까요? 중국과 인도가 가장 큰 나라로 나오는 것이 당연하겠지만 그밖에 다른 나라들은 어떨까요? 출처 : http://www.vox.com/2015/1/27/7918377/population-cartogram 매우 큰 그림입니다. 클릭해서 원본 크기로 보셔야 합니다. 그래도 크니 이리저리 잘 움직이면서 살펴보세요. 누구나 예상할 수 있듯이, 중국과 인도가 어마어마하게 나왔습니다. 뭐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반면, 아메리카, 아프리카, 유럽의 나라들은.. 2016. 1. 5.
2016년 리우 올림픽 메달 순위 전망 올해 2016년은 올림픽이 열리는 해입니다. 이번에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올림픽이 개최됩니다. 줄여서 리우 올림픽이라고 합시다. 이번 올림픽에서 어느 나라가 몇 개의 메달을 획득할지에 대한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단순 예측일 뿐이지만 일단은 이렇다고 합니다. 출처 : https://web.archive.org/web/20160201155407/http://www.theworldin.com/article/10456 금메달이 더 많은 나라가 더 높은 순위를 차지하는 방식입니다. 우리나라도 보통 이런 방식으로 순위를 집계합니다. 역시 1등은 미국입니다. 금메달 40개로 압도적입니다. 금 34개로 중국이 2등, 금 26개로 러시아가 3등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그 다음 독일까지, 이렇게 4개 나라가 최상.. 2016. 1. 4.
제네릭 약의 가장 큰 시장은 인도 제약산업은 참 어려운 분야입니다. 엄청난 R&D 비용을 감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R&D가 성공한다는 보장도 다른 산업 분야에 비해 턱없이 낮습니다. 진정으로 모험적인 산업입니다. 대신 하나의 큰 성공이 엄청난 결과를 가져다 준다는 장점이 있긴 합니다. 모험적인 분야이다보니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기업들은 험난한 신약개발보다는 보다 안전한 다른 방법에 집중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 것 중 하나가 바로 제네릭입니다. 제네릭은 복제약을 만들어 파는 것인데, 이것은 불법이 아니라 특허가 만료된 것들에 대해 복제약을 만드는 것이라서 법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제네릭은 오리지날 약보다 더 저렴한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래서 선진국보다 경제력이 다소 떨어지는 나라에서 인기가 높습니다. 그럼 어느 나라에서 제.. 2015. 12. 30.
대학 등록금이 가장 비싼 나라는? 우리나라 대학 등록금이 엄청나게 상승한 것은 다들 알고 계실 겁니다. 그리고 이런 현상은 우리나라만 그런 것이 아니라 전세계적인 현상입니다. 미국은 우리나라보다 더 많이 올랐습니다. 그럼 현재 어느 나라의 대학 등록금이 가장 비쌀까요? 최근 OECD에서 나온 자료를 보면 답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weforum.org/agenda/2015/11/these-are-the-most-expensive-countries-to-be-a-student/ 저는 처음에 당연히 미국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미국 대학 등록금이 무시무시하다는 인식이 널리 알려져 있으니까요. 그런데 자료를 보니, 미국이 아니라 영국이었습니다. 영국의 대학 등록금이 가장 비쌉니다. 위 자료는 2013~2014년 국공립대.. 2015. 12. 12.
해외 출장이 잦은 나라와 기업들 회사에서 일을 하다보면 먼 곳으로 다녀와야 하는 일이 빈번합니다. 그리고 다른 나라로 가야할 때도 점점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해외 출장이 증가하는 기본적인 이유는 회사의 업무 영역이 더 넓게 확장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시간이 지날수록, 회사가 성장할수록 해외 출장은 당연히 많아집니다. 그렇다면 어떤 나라가 최근에 해외 출장이 크게 늘었을까요? 아마도 경제가 크게 성장하고 있는 나라들이 목록에 나타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출처 : https://www.economist.com/business/2015/11/21/on-the-road-again 위 그래프는 해외출장에 사용한 금액의 변동을 의미합니다. 전년보다 출장비용이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보여줍니다. 오른쪽에 있는 원의 크기가 절대적인 금액을 나타냅.. 2015. 11. 29.
여러 나라들의 기대 수명 및 의료비 지출 의료와 건강에 대한 통계는 가장 중요하고 인기가 높습니다. 일부 사람이 아닌 모든 사람과 관련된 주제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에 대한 국제적인 자료도 많이 나와 있습니다. OECD에서 2015년 자료를 발표하였기에 간단히 소개해 봅니다. 보고서 자체는 구매해야 하는 자료라서 무료로 배포하는 간단 자료만 봅시다. 출처 : http://www.oecd.org/els/health-systems/health-at-a-glance-19991312.htm 위 그래프는 OECD에서 직접 배포하는 인터랙티브 자료입니다. 안타깝게도 한글을 지원하지는 않습니다. 위 자료에는 총 4개의 메뉴가 있습니다. Life Expectancy, Health Risks, Health Expenditure, Expenditure Tre.. 2015. 11. 6.
디지털 시대에 뒤처지는 유럽 국가들 세상 모든 것이 디지털로 변환되는 혁명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는 주장은 이젠 너무나 오래된 것처럼 느껴집니다. 사실 생각해보면, 한때 유명했던 "Being Digital"이라는 책이 나온지 20년 정도 되었습니다. 20년 만에 세상은 완전히 변해버렸습니다. 그래서 모든 나라들과 국가들이 정보기술을 발전시키는데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전통적으로 선진국의 위치에 있었던 유럽의 여러 나라들이 이 새로운 시대를 제대로 선도하고 있지 못하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출처 : https://hbr.org/2015/10/europes-other-crisis-a-digital-recession 위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2008~2013년 기간동안 디지털 혁명의 발전 정도를 나타냅니다. 오른쪽으로 갈수록 빠르.. 2015. 10. 29.
이민자와 그 자녀, 그리고 한국 사람들의 국제적인 이동이 더 빈번해지는 것은 전세계적인 추세입니다. 앞으로 이 경향은 더욱 강력해질 것입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입니다만, 안타깝게도 우리나라는 이민자에게 우호적인 나라가 아닙니다. 우호적이기는 커면 오히려 적대에 더 가까운 상태입니다. 어찌되었든 한국에 정착하게 되었다 하더라도 그들의 자녀가 한국에서 살아가는 것 역시 힘듭니다. 실제로 우리나라로 이주한 외국 출생의 사람들과 그들의 자녀 인구비율은 매우 낮습니다. 출처 : http://www.oecd.org/media/mig%20insights%20-%20immigrants%20and%20their%20children%20full.png 파란색 막대는 외국에서 출생한 이민자의 인구비율입니다. 주황색은 부모 중 한 명이라도 외국에서 출생한.. 2015. 10.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