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미 망한 신문산업 요즘 언론사들이 언론사같지 않죠. 소위 "기레기"라는 말까지 흔히 쓰이고 있을 정도입니다. 이것은 비단 우리나라만 그런 게 아닙니다. 전세계적으로 마찬가지입니다. 한때는 기자라는 직업이 선망인 적도 있었지만, 뭐 다 옛날 이야기죠. 기자들이 취재는 하지 않고 책상머리 앉아서 인터넷 뒤지다가 네티즌들이 쓴 글이나 그대로 갖다쓰고, 텔레비전 드라마 감상문이나 쓰는게 사실 어쩔 수 없는 측면도 있습니다. 언론사가 돈이 없거든요. 그래서 돈 안들이면서 쓸 수 있는 기사가 저런 겁니다. 그리고 돈 좀 벌어보겠다고 하는 짓이 덕지덕지 붙어있는 온갖 난잡한 광고들입니다. 이게 다 돈이 없어서 그런 겁니다. 언론은 이미 한참 전에 망했습니다. 우리나라만 그런게 아니라 미국도 그렇습니다. 출처 : http://mjper.. 2014. 7. 27.
불법체류외국인이 범죄의 온상이라는 편견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우리나라도 점차 인종주의, 외국인혐오같은 극우주의적인 퇴행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안타까운 일입니다. 그 중에서도 일부 외국인에 대한 혐오는 특히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그들이 불법체류외국인이라면 인식을 더욱 나빠집니다. 불법체류외국인은 일단 우리나라 법을 어긴 사람들입니다. 존재 자체가 불법인 사람들이죠. 그래서 이들이 흉악한 범죄를 많이 일으킨다는 오명을 받기에 아주 좋은 조건입니다. 그럼 실제로 그럴까요? 위 자료는 외국인 범죄의 증가율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증가율이 100보다 작으면 범죄가 감소한 것이니 더 좋은 겁니다. 2012년만 봅시다. 전체 외국인 범죄는 33,121건이었고, 그 중 불법체류 외국인이 저지른 범죄는 1,591건입니다. 간단히 계산하면 전체 외국인 범죄.. 2014. 7. 26.
불법 동물 밀렵의 주범들 인간이 장악한 지구에서 다른 동물들은 살기 힘겨워졌습니다. 이미 인간에 의해 멸종된 동물들도 숱하고, 그런 위기에 처한 동물들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습니다. 인간이 이런 동물들을 잡는 가장 큰 이유는 그것이 괜찮은 돈벌이기 때문입니다. 역설적인 것은, 이런 동물을 보호하기 위해 수렵을 금지하고 거래를 막으면 가격이 더 올라가서 오히려 모험을 감수할만한 좋은 돈벌이가 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아무튼 이렇게 불법적으로 사냥된 동물들의 시장가치를 조사한 그래프를 소개해봅니다. 동영상 자료인데, 총소리가 무척 인상적입니다. 출처 : 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4/07/daily-chart-17 위 그림에 나오는 동물들은 곰, 코뿔소, 코끼리(상아), 호랑이, 표.. 2014. 7. 25.
고달픈 한국인 힘겨운 젊은이 우리나라뿐만은 아니겠습니다만 참 힘겨운 시절입니다. 대학을 나와도 취직은 남의 이야기, 취직을 하고 결혼을 해고 아이 낳고 키우기도 쉽지 않습니다. 노후준비는 정말 한가한 이야기죠. 그렇다고 가만히 있을 수만은 없고, 뭘 하고 싶어도 마땅히 할 만한 것도 없고...... 정말 어렵습니다. 클릭해서 큰 그림으로 보세요. 위 그림 하나에 고달픈 한국인의 인생이 그대로 담겨 있습니다. 낮은 출산율, 낮은 행복지수, 안전하지도 않은 사회, 최고의 노동시간, 복지는 남의 나라 이야기, 그대로 나이먹고 노인되면 더 힘들어질 뿐, 그러니 노인자살은 급증하고...... 정말로 뭘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할지 감을 잡기도 쉽지 않은 지경입니다. 그렇다고 요즘 젊은이들이 정신이 빠졌다고 뭐하고 하면 안됩니다. 지금은 과거와.. 2014. 7. 24.
애플의 성공과 소니의 몰락 애플은 현재 가장 위대한 IT기업이 되었습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잘 하는 흔치 않는 사례이기도 합니다. 반면, 최근 가장 극적으로 몰락한 기업은 단연 소니입니다. 1990년대의 소니는 정말로 대단한 기업이었습니다. 시대를 앞서가던 디자인과 독특한 제품들, 그 시대의 기발한 아이디어는 소니로부터 나온 것이 매우 많습니다. 그러나 지금의 소니는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단계에 이르렀습니다. 아마도 혁신적인 전자회사로서의 소니의 생명은 이미 끝났을 수도 있습니다. 현재 소니가 돈을 버는 쪽은 전자가 아니라 금융부문입니다. 이 두 기업의 극적인 변화를 그래프로 확인해 봅시다. 출처 : 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4/07/daily-chart-12 2001년.. 2014. 7. 23.
우리나라 소득불균형 악화 추세 경제 양극화 문제는 전세계적인 문제입니다. 자본주의 속성 상 그 경향은 피할 수 없는 숙명과도 같은 것입니다만, 그것을 다른 사회적 기제를 통해 상쇄시켜야 하는데 최근의 상황은 전혀 통제가 되고 있지 않습니다. 양극화가 심해지면 빈곤한 극단에 속한 일부가 모든 것을 포기해버리게 됩니다. 그러면 사회 존립 자체가 위협받게 됩니다. 아무튼 양극화 문제는 심각한 것인데, 우리나라의 현실에 대해서는 자료가 그다지 없었습니다. 우리나라 통계청이 이런저런 자료를 많이 발표하고 보여주지만 이런 자료는 잘 안 가르쳐 주더군요. 하다못해 우리나라 주택보유 현황의 최근 자료도 찾기가 무척 어렵습니다. 이와중에 우리나라 자료가 소개된 것이 있어 가져와 봅니다. 출처 : http://pub.chosun.com/client/n.. 2014. 7. 22.
나이들면 어느 정도 보수화될까? 보통 젊은 층은 진보적, 노령층은 보수적이라고 흔히 가정합니다. 그리고 대체적인 경험도 그렇습니다. 나이를 들어갈수록 어느 한쪽으로 정치적인 생각이 변하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일 겁니다. 그렇다면 과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보수적으로 변할까요? 미국 이야기이긴 하지만 그 정도를 대략 짐작해 볼 수 있는 자료가 있어 가져와 봅니다. 출처 : http://www.nytimes.com/2014/07/15/upshot/politically-18-year-olds-look-a-lot-like-people-in-their-20s.html 위 그림은 2013~2014년도에 걸쳐 미국인의 연령별 정치적 지향을 조사한 자료입니다. 나이에 따른 정치적 지향의 구성 정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이것을 보면, 전.. 2014. 7. 21.
인터넷 사용의 전세계적 확산정도 인터넷은 이제 우리 삶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 인터넷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것이 1990년대 중후반부터임을 고려한다면 약 20년 정도 된 셈입니다. 20년만에 인터넷이 이 정도로 중요해졌다는 점은 대단히 큰 변화입니다. 이전에 우리나라 세대별 인터넷 이용에 대한 자료를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전 세계적 수준에서 인터넷이용은 어떠할까요? 페이스북으로 유명한 주커버그의 글에서 자료 하나를 살짝 가져와 봅니다. 출처 : http://online.wsj.com/articles/mark-zuckerberg-on-a-future-where-the-internet-is-available-to-all-1404762276 위 그림은 모두 4개의 그래프를 합쳐 놓은 것입니다. 이 네 가지를 각.. 2014. 7.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