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세계적인 고령화 추세와 우리나라 또 고령화사회 이야기입니다. 이 주제가 자주 언급되는 것은 그만큼 중요하고 충격이 거대한 사회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사회 구성원의 평균연령이 높아지는 주된 원인은 두 가지 입니다. 의료기술 발전에 의한 수명 증가, 출산률 감소가 바로 그것이죠. 이 두 가지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살펴봅시다. 출처 : http://realtime.wsj.com/korea/2014/07/14/1000%EB%A7%8C%EB%AA%85-%EB%B0%91%EC%9C%BC%EB%A1%9C-%EC%B2%98%EC%9D%8C-%EB%96%A8%EC%96%B4%EC%A7%84-%ED%95%9C%EA%B5%AD-%EC%B2%AD%EC%86%8C%EB%85%84-%EC%9D%B8%EA%B5%AC/ 세계인구 추세 예측입니다. 세계인구가 폭발적으로.. 2014. 7. 19.
미국에서 마리화나가 합법인 주는? 마리화나는 엔트리 레벨의 마약류입니다. 대마를 말려서 만든 것이죠. 흔히 담배처럼 만들어서 피운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대체로 대마초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아무튼 이런 마리화나는 중독성이 있는가 여부에 논란이 있었습니다. 중독성은 마약으로 지정하는 가장 중요한 항목이기 때문에 이것은 매우 중요한 논쟁이 됩니다. 대마초의 중독성이 낮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마리화나를 마약류에서 빼야 하면 법적으로 담배처럼 허용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 반대 주장도 여전히 강력합니다. 마리화나의 중독성이 크다고 인정하는 거죠. 그리고 더 나아가 담배도 마약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긴 합니다. 간혹 해외뉴스에 마리화나를 합법적으로 인정한 곳이 있다는 소식이 들려옵니다. 그럼 미국은 어떨까요? 클릭해서 크.. 2014. 7. 18.
환경을 위해 채식을 해야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채식이 이전보다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서구에서 이미 오래전부터 채식주의가 사회운동으로 발전하고, 어느 정도 규모가 되는 문화로 성장했습니다만 우리나라는 이제 시작단계입니다. 사실, 채식이 우리 몸에 더 좋다는 주장과 연구는 오래전부터 있었습니다. 그리고 육식을 고집하는 사람들이 건강해지려고 육식을 하는 것도 아닙니다. 맛있으니까 먹는거죠. 따라서 자신의 건강을 위해서 채식을 해야 한다는 주장은 그렇게 설득력이 높지 않습니다. 개인의 문제이니 어차피 개인의 선택일 뿐이니까요. 그런데 우리 모두의 미래를 위해서 채식을 해야만 한다면 이야기는 달라집니다. 우리가 육식을 포기하지 않는다면 언젠가 우리 모두가 멸망할 것이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이 주장의 핵심은 고기를 생산하는데 많은 에너지가.. 2014. 7. 17.
파이썬을 배웁시다 꼭 직업적인 이유가 아니더라도 프로그래밍 언어 하나를 알아두면 제법 쓸 데가 있습니다. 게다가 요즘은 정규교육과정에 프로그래밍을 추가하는 방안이 진지하게 고려되고 있기도 합니다. 그런데 프로그래밍 언어는 그 종류가 너무나 많습니다. 그것 중에서 어떤 것을 배우면 좋을까요? 저는 단연 파이썬을 추천합니다. 제가 파이썬에 대해 많이 아는 건 아니지만 기회가 되면 더 깊게 살펴보고 싶다는 생각이 참 많이 듭니다. 그럼 왜 파이썬을 추천하냐구요? 대세거든요. 이렇게 말입니다. 출처1: http://cacm.acm.org/blogs/blog-cacm/176450-python-is-now-the-most-popular-introductory-teaching-language-at-top-us-universities/.. 2014. 7. 16.
초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우리나라가 고령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다는 사실은 모두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고령화 사회의 대표적인 나라가 일본이라는 점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밖의 다른 나라들의 상황은 어떨까요? 위 그림은 2050년의 상황을 예측한 자료입니다. 퓨리서치 센터에서 만든 자료라니 신뢰성이 높은 자료입니다. 고령자는 65세 이상의 사람을 말합니다. 그러니까 2050년에 각 나라 별로 65세 이상의 고령자가 전체의 몇 %나 차지하게 될 것인가를 예측한 자료입니다. 지금 추세가 그대로 유지된다면 말이죠. 그 결과, 일본이 36.5%, 그리고 우리나라가 34.9%로 압도적인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정도면 초초초 고령화사회라고 봐도 무방하겠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그 다음으로 스페인과 이탈리아가 있습니다... 2014. 7. 15.
[인포그래픽] 장사하지 마세요 자영업자 문제가 심각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그래도 할 것이 그것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서울에서 새롭게 시작한 기업이 5년 뒤에 몇 개나 살아남아 영업을 하고 있을까요? 이에 대한 통계가 있어 가져와 봅니다. 출처 : https://www.si.re.kr/node/49283 위 인포그래픽에 따르면 새롭게 창업한 기업 중 2년 안에 절반이 망하고, 5년 후에는 70%가 망한다고 합니다. 서울 기준입니다. 여기서 기업이라고 표현했습니다만, "매년 평균 19만개 기업이" 생긴다고 말한 것으로 보아 소규모 자영업자까지 모두 포함해서 기업으로 지칭한 것으로 보입니다. 게다가 신생기업의 절반이 도소매, 숙박 및 음식점이라고 합니다. 이들은 특히 더 쉽게 망하는 업종입니다. 경쟁이 그만큼 치열하니 어쩔 수 없는.. 2014. 7. 13.
SNS 최고 스포츠 스타는 축구선수들 "트위터는 인생의 낭비"라는 절대 진리(?)가 있습니다만, 그래도 현 시대에서 SNS를 무시하면서 살기는 힘들 것입니다. 게다가 그게 유명인사라면 더욱 그게 쉽지 않습니다. 운동선수들은 어떨까요? 스포츠 스타들도 팬들을 위해서, 그리고 자신의 이미지 관리를 위해서도 SNS활동은 어느 정도 필요한 세상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스포츠 스타가 SNS에서 가장 많은 인기를 얻고 있을까요? 유명 스포츠 스타의 트위터 팔로우 숫자만 조사한 자료입니다. 축구선수 호날두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호날두는 실력뿐만 아니라 잘생긴 외모에 착한 품성까지 뭐하나 부족함이 없는 대단한 선수입니다. 하지만 신께서는 메시를 함께 내리셨죠. 직접 왔나? 아무튼 그렇습니다. 그 다음으로 카카, 르브론 제임스, 네이마르, 호.. 2014. 7. 10.
여러 나라들의 세대별 대학졸업자 비율 우리나라의 높은 교육열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도 공식적인 자리에서 한국의 교육을 좋게 평가한 적이 수차례 있을 정도입니다. 그런데 정작 우리 스스로는 우리나라의 교육에 대해 큰 불신을 갖고 있는 것도 역시 사실입니다. 우리나라의 대학진학율을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그러니 당연히 대학을 졸업한 사람도 세계 최고 수준일 겁니다. 그럼 우리나라는 예전부터 그랬을까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출처 : https://www.economist.com/graphic-detail/2014/07/02/more-educated 위 그래프는 여러 나라들의 세대별 대졸자 비율을 표시한 그래프입니다. 맨 위에 우리나라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를 자세히 보면 이렇습니다. 25~34세 인구의 약 65%는 대학을 .. 2014. 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