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의 비종교적 인사말 곧 크리스마스가 다가옵니다. 갈수록 크리스마스의 위상이 낮아지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만 그래도 그 시기 상 한해를 마감하는 의미와 연결되어 있기에 여전히 중요한 날이긴 합니다. 그런데 여기에 작은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크리스마스는 특정 종교와 관련된 기념일이라는 겁니다. 그러니까 그 종교와 엮기고 싶지 않은 사람들에게 크리스마스는 불편한 날일 수도 있습니다. 크리스마스처럼 종교적 기념일이 공식적인 휴일로 지정된 나라는 흔하지 않습니다. 생각해보면 당연한 건데 국교가 지정되어 있지 한 종교기념일을 휴일로 지정해버리면 여러 종교 간 형평성 문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히려 우리나라가 독특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휴일이 아니더라도 이날 쉬는 나라들은 많습니다. 특히 몇몇 미국.. 2016. 12. 18. 박사학위자가 많은 나라 경제가 고도화되고 지식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사회에서는 당연히 고학력 인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박사학위자의 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세계 여러 나라에서 얼마나 많은 박사학위자가 나오고 있을까요? 출처 : https://read.oecd-ilibrary.org/science-and-technology/oecd-science-technology-and-innovation-outlook-2016_sti_in_outlook-2016-en#page149 클릭해서 큰 그림으로 보셔야 글자를 읽을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은 2014년 기준 각 나라별로 박사학위자 수가 얼마나 되는지 그 절대 수치를 순서대로 기록한 그래프입니다. 학문 분야를 구분하지 않고 모든 박사학위자를 .. 2016. 12. 11. 학생들의 수학 실력과 비용 얼마 전, PISA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어느 나라 학생이 가장 공부를 잘 하는가 순위를 알려주는 보고서입니다. 우리나라는 여전히 최상위 그룹에 속해 있긴 합니다만, 약간 떨어지긴 했습니다. 그리고 물론 동아시아 국가들의 초강세는 여전하구요. 그런데 이 자료에는 한 가지 정보가 빠져 있습니다. 그건 바로 돈입니다. 학생들 교육을 위해 얼마나 많은 돈을 투자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습니다. 실력을 더 높여준다면야 기꺼이 많은 돈을 지불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겠지만 예산이라는 것은 그 한계가 정해져 있고, 대체로 그것도 매우 빠듯하기 마련입니다. 그러니 이왕이면 더 적은 예산을 투입하여 최고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는 것이 더 좋긴 합니다. 그럼 이렇게 비용과 학생들의 실력 사이를 정리.. 2016. 12. 10. 미국에서 약물로 죽는 사람들의 증가 자동차는 점점 더 안전해지고 있습니다. 요즘 나오는 자동차에는 온갖 신기술이 중무장되어 있고, 그 신기술 대부분은 안전을 위한 것들입니다. 여기에 더 나아지고 있는 안전의식까지 맞물려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점점 더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건 미국이나 우리나라나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미국에는 우리나라에서는 비교적 흔하지 않은 주요한 사망원인이 몇 가지 있습니다. 그중 하나는 총에 맞는 것이고, 다른 것으로 약물로 인한 사망이 있습니다. 그런데 약물로 인한 사망자의 수도 크게 증가해서 교통사고 사망자보다 오히려 더 많다고 합니다. 물론 미국에서 말이죠. 출처 : http://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6/11/17/drugs-are-killing-more-amer.. 2016. 12. 9. 법적으로 유급 육아휴직이 없는 나라 아이를 낳을 때 출산 휴가가 부여됩니다. 그리고 아기를 키우기 위한 육아 휴직 제도도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이것을 쓸 수 있는지 없는지를 떠나 일단 법적으로 이것을 사용할 수 있는 규정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것도 유급으로 말입니다. 많은 나라들이 저출산 문제로 고민하고 있고, 또 육아 문제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고 있기도 해서 육아 휴직은 웬만한 나라에는 다 존재합니다. 그런데 그렇지 않는 나라가 딱 하나가 있다고 합니다. 그것도 아주 유명한 나라입니다. 바로 미국입니다. 출처 : https://www.pewresearch.org/ft_16-09-19_parental_leave/ 총 41개의 나라를 조사했습니다. 법적으로 규정된 유급 육아휴직의 기간이 얼마나 되는지 나라 별로 조사한 결과입니다. 1위는 .. 2016. 12. 3. 캘리포니아의 위엄 다들 아시다시피, 캘리포니아는 미국의 서부 태평양 연안에 위치한 지역입니다. LA와 샌프란시스코 두 개의 대도시가 있는 지역이기도 합니다. 이곳은 날씨도 참 좋은 곳입니다. 그래서 제가 예전에 이런 날씨를 가진 지역에서 한번쯤 살아보고 싶다고 한 적도 있습니다. 그리고 실리콘밸리가 있는 지역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첨단 IT기업들과 우수한 인재들이 모여있는 그런 곳입니다. 마지막으로 민주당 지지가 압도적으로 높은 곳이기도 합니다. 그러습니다. 오늘 이야기도 역시 정치입니다. 캘리포니아는 오래전부터 민주당 지지가 높은 지역이었습니다. 그러니 이번 선거에서도 당연히 힐러리 클린턴에 대한 지지가 높게 나왔습니다. 하지만 결국엔 트럼프가 이겼습니다. 그러자 골수 민주당 및 클린턴 지지자들은 아예 캘리포니아가 미국.. 2016. 11. 30. 세계화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 또 트럼프로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지겹지만 그래도 어쩔 수 없습니다. 워낙 중요한 문제니까요. 트럼프 당선의 이면에는 일자리를 잃은 러스트벨트의 노동자의 분노가 있다고 여러 사람들이 지적합니다. 그럼 그 노동자들은 왜 일자리를 잃었을까요? 나프타 경제협정과 기업들의 전세계적 아웃소싱 경향, 저렴한 중국제품의 수입 등이 요인으로 제시됩니다. 이런 현상들을 한마디로 종합하면 바로 "세계화"입니다. 더 많은 기업과 자본과 인력이 필요에 따라 이리저리 왔다갔다 하는 현상 그 자체는 막을 수가 없습니다. 갈수록 이것이 더욱 쉬워지고 장벽은 낮아집니다. 유동성이 더욱 높아집니다. 그러나 높아진 유연성은 모두에게 동일하진 않습니다. 자본이야 하루 아침에 그곳을 떠나버릴 수 있지만 사람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공.. 2016. 11. 27. 세금 많은 나라와 적은 나라 세금문제에 대해서 전세계 누구를 붙잡고 물어봐도 전부 다 너무 많다고 할 겁니다. 이 세상에서 가장 큰돈 중 하나가 바로 자기가 내는 세금인 셈이죠. 그러나 실제로 나라마다 내는 세금의 크기는 다릅니다. 달라도 많이 다릅니다. 특정한 문제에 대해서 어떤 나라는 각자 알아서 처리하기로 결정했다면 그 나라는 세금을 많이 거둘 필요가 없을 것이고, 그 문제를 공적으로 처리하기로 했다면 그 나라는 세금을 많이 거두어야 할 겁니다. 보통 유럽, 그것도 북유럽 국가들이 세금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우리나라도 세금이 많다고 투덜거립니다. 해주는 것도 없으면서 세금만 많이 걷는다고 하죠. 하지만 저 말은 세금의 양이 얼마나 되더라도 사라지지 않을 겁니다. 아무튼 나라별로 GDP 대비 세금은 이.. 2016. 11. 24.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