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하지 않는 사람들과 그 이유의 남녀 차이 한창 일할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직장에 다니지 않거나, 취직하려고 하지도 않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애초부터 노동시장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들이 항상 존재해 왔는데 예전에는 주로 경제적 여유가 있는 사람들이 주로 해당했습니다. 아버지가 재벌이라면 굳이 직장에 다닐 필요가 없겠지요. 하지만 최근에는 이런 상황이 아님에도 일자리를 찾으려고 하지 않는 사람들이 늘었습니다. 찾지 않는다는 말보다는 포기상태라는 표현이 더 적합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왜 그런 상태가 되었는지 각자 나름대로의 사정이 있을 것입니다. 적어도 미국에서는 이런 이유가 가장 많다고 합니다. 출처 : https://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7/08/18/why-millions-of-americans-stay.. 2017. 8. 23.
주요 국가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 어떤 정부가 들어서건 간에, 이에 만족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모두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그래도 더 나은 평가를 받는 정부와 정치인은 언제나 있기 마련이죠. 일단 정상적인 선거를 통해 정부를 구성한 것이라면 적어도 가장 많은 지지를 얻고 있다고 봐야 합니다. 문제는 그것을 언제까지 유지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일 겁니다. 많은 나라 사람들이 대체로 현 정부에 대해서는 불만을 갖기 마련입니다. 잘 해주는 것은 당연하게 보이지만 잘못되고 불편한 것은 바로 체감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만, 어떤 경우는 정말로 진짜 정부가 잘못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어느 나라 사람들이 자기 나라 현 정부에 대해 신뢰하는 수준이 높을까요? 출처 : https://www.forbes.com/sites/niallmc.. 2017. 8. 7.
미국 흑인의 높은 실업률의 원인은? 실업은 여기나 저기나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입니다. 고용이 창출되어 그나마 실업률이 낮아졌다고 해도 새롭게 만들어진 고용의 질이 또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일본과 같은 예외도 있긴 합니다만 그래도 많은 나라들이 일자리 만들기에 모든 자원을 쏟아붓고 있습니다. 새롭게 고용이 만들어진다 하더라도 그것이 모든 사람들에게 골고루 돌아가진 않습니다. 특히 미국의 경우, 인종의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부각됩니다. 대체로 흑인은 백인에 비해 항상 실업률이 더 높았습니다. 도대체 무엇이 문제이길래 이 격차가 해소되지 않을까 많은 경제학자들이 고민했습니다만, 결론적으로는 주어진 자료만으로는 정확히 알기 어렵다고 합니다. 그래도 몇 가지 가설은 제시되어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economist.com/b.. 2017. 8. 5.
어마어마한 구글의 광고 매출액 현존하는 세계 최강 기업 중 하나인 구글, 구글이 손대는 사업은 제법 많습니다. 스마트폰과 테블릿도 만들었죠. 하지만 구글이 실제로 돈을 벌어들이는 분야는 사실 상 광고 하나뿐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광고로 벌어들이는 수익이 엄청나니 그 돈으로 이런저런 실험적인 사업에 큰 부담없이 투자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참 부러운 환경이지요. 이런 점만 보더라도 구글의 광고 수입은 엄청날 것임을 쉽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엄청남이 과연 어느 정도일까요? 출처 : https://www.statista.com/chart/10416/googles-ad-revenue-in-perspective/ 위 그림은 구글의 광고 매출액과 몇몇 주요 국가들에서 광고시장에 지출된 총금액, 측 해당 국가의 광고시장 크기를 비교.. 2017. 7. 27.
전세계적 술 소비량의 감소 회식이라면 무조건 고기에 술이 당연하게 여겨지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정확한 현실은 제가 알 수 없지만 그래도 최근에는 다양한 방식의 회식이 늘었다는 뉴스를 수차례 봤습니다. 함께 공연을 본다든지, 소풍을 간다든지, 봉사활동을 한다든지, 아니면 직접 요리를 같이 해본다든지 여러 다양한 모임문화가 등장하고 있다고 하더군요. 어쨌든 전반적으로 사람들이 이전보다 술을 더 적게 마시는 경향이 존재함은 분명합니다. 이런 경향은 비단 우리나라뿐만이 아닌가 봅니다. 전세계적 수준에서도 술 소비량은 감소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말이죠. 출처 : https://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7/06/daily-chart-8 왼쪽 그래프는 1994년부터 최근까지 전 세계에서 소.. 2017. 7. 18.
한국인의 수명이 가장 크게 늘어날 것이란 전망 누구나 오래 살고 싶어합니다. 이는 생물로서 인간의 당연한 욕구입니다. 예전엔 모든 사람이 오래 살면 좋을 줄 알았지만 막상 그런 사회가 눈앞에 실현되고 있는 요즘에는 그것이 꼭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집단으로서의 문제이고 각자 개인들에게 있어서 오래 사는 것은 여전히 중요한 일입니다. 의료기술은 계속 발전하고, 경제는 느리더라고 꾸준히 성장할 겁니다. 좋은 약도 많이 나올 것이고, 사회제도도 발전할 겁니다. 그러니 이런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사회는 구성원의 기대수명이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학자들이 이런 이런 예측을 정밀하게 계산하여 내놓고 있습니다. 이번에 2030년까지 세계 여러나라의 기대수명의 증가정도를 계산한 결과가 나왔습.. 2017. 2. 27.
트럼프와 오바마의 여행 경비 트럼프가 매우 시끄럽게 대통령에 취임했습니다. 취임 후에도 이런저런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트럼트를 강하게 지지하는 집단이 분명 존재합니다만 많은 사람들이 트럼프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저 역시 마찬가지이구요. 제가 저런 유형의 사람을 좋아하지 않는 이유는 이율배반적인 기회주의자이기 때문입니다. 남들에 대한 비난은 무척이나 쉽게 내어놓으면서 정작 자기자신은 전혀 그렇지 않은 사람이고, 그것이 왜 문제인지조차 생각하지 않는 그런 후안무치한 유형의 인간이기 때문입니다. 이 문제에 대해 여행 경비라는 아주 간단한 예시 하나를 소개해봅니다. 출처 : http://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7/02/22/trumps-family-trips-cost-taxpayer.. 2017. 2. 25.
우리나라의 대중, 대미 무역거래량 자원이 없는 우리나라는 무역만이 살길이라고 오래전부터 배웠습니다. 이유야 어찌되었든 우리는 수출증대를 통해 경제규모를 키우는 전략을 지속적으로 실시했고 나름대로 성공도 거두었습니다. 그리고 그 수출 상대국은 단연 미국이었습니다. 하지만 중국의 경제가 성장하면서 상황이 역전되었습니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중국과 무역거래가 더 쉽다는 건 지극히 당연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수출도 수입도 중국과의 거래가 가장 큽니다. 그러다보니, 중국과 문제가 발생하면 무역거래에 심대한 타격이 오는 것도 당연합니다. 이번 싸드 사태처럼 말입니다. 이번 문제가 잘 해결되길 바랍니다만 미국과 중국 사이에 낀 문제가 해결이 절대로 간단하지 않습니다. 별 생각없이 문제를 이런 식으로 키운 무책임한 사람이 원망스러울 뿐이죠. 그럼 우리.. 2017. 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