팟캐스트를 가장 많이 듣는 나라는? 스마트폰이 바꾸어 놓은 일상은 하나씩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많습니다. 그만큼 우리의 삶은 스마트폰으로 인해 전면적인 변화를 경험했습니다. 그런 변화 중 하나가 미디어입니다.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기만 하면 새로운 유형을 컨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이 열렸으니 우리의 미디어 경험도 크게 변화했습니다. 그런 미디어 중에서도 단연 중요한 것은 유튜브이겠습니다만 팟캐스트라는 신종 미디어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나는 꼼수다"류의 정치 팟캐스트가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만 정치 이외의 분야에서도 다양한 팻캐스트들이 난립했습니다. 아무튼 그만큼 팟캐스트를 듣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일 겁니다. 그럼 이런 팟캐스트를 듣는 사람이 가장 많은 나라는 어디일까요? 다음의 그래프를 봅시다. 출처: ht.. 2020. 6. 9. 왼손잡이가 많은 나라 왼손잡이들이 있습니다. 오른손잡이가 다수인 사회에서 왼손잡이는 소수자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발견하기 매우 힘들 정도로 희귀한 사람들도 아닙니다. 그래서 뭔가 삐딱한 사람들에 대한 비유로 쓰이기도 합니다. 그럼 왼손잡이는 실제로 어느 정도 비율을 차지하고 있을까요? 이에 대한 자료가 있어 소개합니다. 참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출처 : https://www.statista.com/chart/20708/rate-of-left-handedness-in-selected-countries/ 몇 개의 나라들을 선별하여 왼손잡이의 비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왼손잡이의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네덜란드입니다. 네덜란드 국민의 13.23%가 왼손잡이입니다. 네덜란드 남자들의 평균 키가 가장 크다는 자료를 언급한 적.. 2020. 2. 6. 전세계적인 자살 감소 추세와 미국 자살은 극단적인 현상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사회의 현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 자살의 비율이 매우 높고 게다가 증가하기까지 한다면 해당 사회의 전반적인 조건이 매우 힘겹다는 증거가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도 자살에 대한 통계자료에 관심이 많고 이미 이 블로그에도 몇 차례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 그래도 희망적인 자료가 있어 반가운 마음에 소개해 봅니다. 출처 : https://www.economist.com/graphic-detail/2018/11/26/suicides-are-declining-around-the-world 왼쪽 그래프는 전반적으로 자살률이 감소하고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아래쪽 남색 선이 전세계 평균입니다. 97년 이래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음을.. 2019. 6. 21. 민간이 주도하는 우주개발 시대 우주개발하면 일단 미국의 나사(NASA)라는 기관이 먼저 떠오릅니다. 달착륙과 우주왕복선 등을 만들고 발사하고 관리하던 세계 최고의 우주탐사 및 개발 기관입니다. 이런 나사는 미국 정부가 운영하는 기관입니다. 미국과 함께 우주개발을 주도했던 소련은 사회주의 국가였기 때문에 당연히 국가기관이 그것을 직접 담당했습니다. 이런 점에서는 미국과 소련은 같은 방식이었던 셈입니다. 그런데 이제는 완전히 시대가 달라졌습니다. 정부가 주도하던 우주개발의 시대는 저물고 이제 민간이 이 분야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은 더욱 그러합니다. 출처 : https://www.economist.com/graphic-detail/2018/10/18/the-space-race-is-dominated-by-new-contender.. 2018. 11. 3. 미국의 국가 이미지 하락 트럼프 대통령이 이전의 미국 대통령과는 크게 다른 행보를 보이면서 세계 여러 나라들이 당황했고 지금도 그러합니다. 전통적으로 미국과 친하지 않았던 러시아는 상대적으로 미국을 더 좋게 생각하게 되었지만 전통적인 우방국이었던 유럽 국가들은 더 이상 미국을 우호적이라고 생각하지 않게 되었다는 점은 참 놀라운 변화입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나라들이 미국에 대한 국가 이미지가 더 좋아지고 혹은 더 나빠졌는지를 봅시다. 출처 : https://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8/10/02/survey-u-s-suffers-decline-in-its-international-image-infographic/ 위 그림은 세계 주요 국가들이 미국이란 나라를 얼마나 좋아하는지를 .. 2018. 10. 7. 1인당 GDP와 수면 시간 잠을 편하게 푹 자는 것은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절대적으로 수면시간이 부족하거나 혹은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해 제대로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 일의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건강을 위협할 수도 있습니다. 경제가 윤택해질수록 삶의 질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그러면 자연스럽게 수면 시간과 질도 충분도 확보될 개연성이 높아집니다. 그럼 실제로 그럴까요? 출처 : https://www.1843magazine.com/data-graphic/what-the-numbers-say/which-countries-get-the-most-sleep 위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1인당 GDP입니다. 오른쪽으로 갈수록 돈을 잘 버는 선진국들입니다. 세로축은 평균 수면시간입니다. 대체적으로 보면 오른쪽 위로 올라가는 듯한 .. 2018. 9. 14. 세계적인 주목을 받는 한국의 출산율 우리나라의 출산율 문제가 새로운 것은 아닙니다만 그 정도가 심각해져서 이젠 아무도 경험해보지 못한 완전히 새로운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그런지 해외에서도 한국의 출산율 문제에 큰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습니다. 그 속도 면에서 워낙 미증유의 현상일 뿐만 아니라 극단적으로 낮은 출산율이 가져오는 결과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일종의 '사회실험'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출산율에 대해서 제3자들이 놀랍게 생각하는 점은 특히 일본과 비교해서 그렇습니다. 이렇게 말이죠. 출처 : https://www.economist.com/asia/2018/06/30/south-koreas-fertility-rate-is-the-lowest-in-the-world 제가 가끔 소개하던 이코노미스트 기.. 2018. 9. 1. 수출을 기준으로 그린 세계지도 자원이 없는 우리나라는 수출만이 살 길이라고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듣고 배웠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수출을 많이 하는데 모든 노력을 다 기울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로 인해 내수가 좀 소홀해지기는 했습니다만 어쨌든 수출대국이 된 것은 사실입니다. 그럼 우리나라는 얼마나 수출대국일까요? 세계 여러 나라들의 수출량을 그림으로 표시하여 그린 세계지도가 있어 소개합니다. 출처는 그림에 적혀 있습니다. 위 그림은 세계지도입니다. 나라들을 아무렇게나 배열한 것처럼 보이지만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던 그 세계지도에 맞게 그런 것이 맞습니다. 왼쪽에 미국이 보입니다. 그 위에 캐나다와 아래에 멕시코, 즉 북아메리카입니다. 아래는 남아메리카. 오른쪽 대서양을 가볍게 건너 유럽과 아래 아프리카가 있습니다. 그런데 아.. 2018. 8. 28. 이전 1 2 3 4 5 6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