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에서 가장 자주 운행하는 항공노선 비행기는 이제 생활의 필수적인 교통수단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저가항공사의 등장으로 가격경쟁도 치열해져 소비자들은 이전보다 유리해진 상황이기도 합니다. 게다가 우리나라의 경우, 높은 물가로 인해 국내여행의 가격경쟁력이 크게 하락한 점 역시 국민들이 비행기를 더 많이 타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가져오기도 합니다. 공항에 가보면 정말 많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 많은 사람들이 모두 비행기를 타려고 나왔구나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확실히 비행기는 평범한 운송수단이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비행기를 타고 가장 많이 이동하는 곳은 어디일까요? 다른 말로 하면 가장 자주 운행하는 항공노선은 어떤 노선일까요? 결과는 우리에게 매우 익숙한 곳입니다. 출처 : https://www.forbes.com/sites/niallmc.. 2018. 2. 5.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 고령화사회 이야기 역시 양극화만큼이나 지겨울 정도로 자주 듣는 주제입니다. 하도 자주 들어서 그런지 무감각해지는 경향마저도 있습니다. 익숙해진 사회문제라고 해서 더 나아졌다는 의미는 절대 아닙니다. 오히려 대개 그 반대가 맞습니다. 더 나아지지 않고 계속 심각한 상태이니 그 이슈에 대한 이야기가 지속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가 곧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한다는 이야기는 익숙합니다. 그렇다면 얼마나 빨리 그 상태로 진입할까요? OECD 국가들과의 비교를 통해 알아봅시다. 출처 : https://read.oecd-ilibrary.org/employment/preventing-ageing-unequally_9789264279087-en#page116 출처 : https://twitter.com/oecd_socia.. 2018. 2. 1.
과소대표되는 여성 관리자의 비율 너무나 당연한 말을 하면 어색해지기 마련입니다. "여성의 사회진출"이라는 표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굳이 여성이라고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사람은 성인이 되면 자연스럽게 사회진출을 하게 됩니다. 남자건 여자건 모두 취직을 위해 열심히 노력합니다. 하지만 20-30여 년 전에는 전혀 그렇지 않았습니다. 요즘에 와서야 이런 일들이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게 된 것입니다. 그럼에도 우리 사회는 여전히 부족합니다. 많은 여성들이 취업했지만 고위직 직종에 대해서는 여전히 여성의 비율이 턱없이 낮습니다. 아직 더 시간이 필요한 것인지 아니면 우리 사회에 여전히 장애물이 특정한 지점에 남아 있는지 진지하게 재검토해야 합니다. 이에 대한 통계자료를 하나 소개합니다. 출처 : https://read.oecd-ilibrary.. 2018. 1. 26.
미국에 관심있는 나라와 미국이 관심있는 나라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위신을 많이 깍아먹고 있지만 그래도 여전히 미국은 세계 최강대국입니다. 그래서 미국에서 벌어지는 일은 세계적인 관심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미국과 이래저래 많이 얽힌 나라들은 당연히 미국에서 벌어지는 일에 관심이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나라도 그런 나라들 가운데 하나일 겁니다. 그럼 어떤 나라들이 미국에 관심이 많고 어떤 나라들이 미국에 관심이 적을까요? 출처 : https://www.pewresearch.org/fact-tank/2018/01/16/many-people-in-other-countries-closely-follow-news-about-the-u-s/ 위 그림은 미국 뉴스를 얼마나 빠르게 따라가는가 하는 정도를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물어본 결과입니다. 이.. 2018. 1. 20.
일본 GDP 성장과 참치 작년에 본 통계 자료 중에 잊혀지지 않는 그림이 하나 있습니다. 이건 누가 봐도 너무나 강렬해서 잊을 수가 없는 그림입니다. 사실 약간은 과장해서 재밌게 표시한 그림입니다만 처음에 이걸 생각해낸 사람은 정말 상상력이 풍부한 사람일 겁니다. 어떤 그래프인가 하면 바로 이것입니다. 출처 : https://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7/01/daily-chart-9 한눈에 봐도 그림이 눈에 딱! 들어오죠. 네, 참치입니다. 세로축은 일본의 이전 년도 대비 GDP 성장률을 의미합니다. 가로축은 일본의 유명한 수산시장인 츠키지(Tsukiji) 시장의 새해 첫 참치 경매 최고가를 의미합니다. 관광지로도 유명한 츠키지 시장은 참치 경매로 유명하고 그중에서도 새해 첫 경매.. 2018. 1. 14.
인터넷 없이 살 수 없는 사람들 요즘 인터넷은 공기와 같은 존재입니다. 너무나 당연해서 그것이 없어지면 사람들은 큰 충격과 혼란에 빠지게 될 겁니다. 그만큼 인터넷은 기본적인 존재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하루종일 인터넷만 붙잡고 살 수는 없는 법입니다. 그래서 인터넷 사용에 있어 "중독"이라는 표현이 등장하기도 합니다. 물론 어느 정도까지가 중독이라고 볼 수 있을지 그 기준은 모호한 것도 사실입니다. 그렇다면 어느 나라 사람들이 인터넷 의존의 수준이 높을까요? 다른 말로 하면 난 인터넷 없이 절대 살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일 겁니다. 이렇게 말이죠. 출처 : https://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7/08/29/where-people-cant-live-without-the-in.. 2017. 9. 22.
미군이 많이 주둔하고 있는 나라들 우리나라 사람들은 익숙해져서 그런지 천하태평이긴 하지만 외국에서는 한반도 뉴스만 보면 깜짝 놀랄만한 상황이긴 합니다. 객관적으로 보자면, 매우 긴박한 위험상황이긴 하지만 막상 평범한 시민들이 이 사태에 대해 뭔가 할 수 있는 일이란 그다지 없는 것도 맞습니다. 그러니 이전과 다름없는 일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외국에서는 그것조차도 신기하게 보이나 봅니다. 아무튼 북한과 미국 사이의 갈등이 심각한 상태인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죠. 미국은 전세계에 자신들의 군대를 주둔시켜 놓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만 미군이 많은 것은 아닙니다. 규모의 차이는 있지만 세계 도처에 미국의 군대가 흩어져 있습니다. 그럼 어느 나라에 미군이 가장 많이 주둔하고 있을까요? 출처 : http://www.pewresearch.org.. 2017. 8. 24.
주요 국가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 어떤 정부가 들어서건 간에, 이에 만족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모두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그래도 더 나은 평가를 받는 정부와 정치인은 언제나 있기 마련이죠. 일단 정상적인 선거를 통해 정부를 구성한 것이라면 적어도 가장 많은 지지를 얻고 있다고 봐야 합니다. 문제는 그것을 언제까지 유지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일 겁니다. 많은 나라 사람들이 대체로 현 정부에 대해서는 불만을 갖기 마련입니다. 잘 해주는 것은 당연하게 보이지만 잘못되고 불편한 것은 바로 체감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만, 어떤 경우는 정말로 진짜 정부가 잘못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어느 나라 사람들이 자기 나라 현 정부에 대해 신뢰하는 수준이 높을까요? 출처 : https://www.forbes.com/sites/niallmc.. 2017.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