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마어마한 구글의 광고 매출액 현존하는 세계 최강 기업 중 하나인 구글, 구글이 손대는 사업은 제법 많습니다. 스마트폰과 테블릿도 만들었죠. 하지만 구글이 실제로 돈을 벌어들이는 분야는 사실 상 광고 하나뿐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광고로 벌어들이는 수익이 엄청나니 그 돈으로 이런저런 실험적인 사업에 큰 부담없이 투자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참 부러운 환경이지요. 이런 점만 보더라도 구글의 광고 수입은 엄청날 것임을 쉽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엄청남이 과연 어느 정도일까요? 출처 : https://www.statista.com/chart/10416/googles-ad-revenue-in-perspective/ 위 그림은 구글의 광고 매출액과 몇몇 주요 국가들에서 광고시장에 지출된 총금액, 측 해당 국가의 광고시장 크기를 비교.. 2017. 7. 27.
OECD 국가 여성 정치인의 비율 여성의 사회진출이 점점 더 늘어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이전에 특히 여성의 비율이 낮았던 영역은 그 속도가 더욱 빠를 겁니다. 정치와 행정도 그런 영역 중 하나입니다. 게다가 이번 문재인 정부는 여성 장관의 비율을 공약으로 내세우기도 했습니다. 그렇다면 OECD 국가들의 여성 정치인 비율을 한번 확인해 보는 것도 좋은 일입니다. 다른 나라들과의 비교도 중요하지만 문재인 정부의 여성 장관 30% 약속이 어느 정도의 수준인지도 가늠해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주제는 제가 이전에 한번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그 자료에는 주요 국가들의 여성 장관들만을 다루었지만, 아래의 자료는 OECD 국가들의 여성 정치인과 장관을 모두 보여주고 있습니다. 위 그래프는 2017년 1월 기준으로 OECD 국가들의 .. 2017. 7. 25.
한국인의 수명이 가장 크게 늘어날 것이란 전망 누구나 오래 살고 싶어합니다. 이는 생물로서 인간의 당연한 욕구입니다. 예전엔 모든 사람이 오래 살면 좋을 줄 알았지만 막상 그런 사회가 눈앞에 실현되고 있는 요즘에는 그것이 꼭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집단으로서의 문제이고 각자 개인들에게 있어서 오래 사는 것은 여전히 중요한 일입니다. 의료기술은 계속 발전하고, 경제는 느리더라고 꾸준히 성장할 겁니다. 좋은 약도 많이 나올 것이고, 사회제도도 발전할 겁니다. 그러니 이런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사회는 구성원의 기대수명이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학자들이 이런 이런 예측을 정밀하게 계산하여 내놓고 있습니다. 이번에 2030년까지 세계 여러나라의 기대수명의 증가정도를 계산한 결과가 나왔습.. 2017. 2. 27.
건강하십니까? 새해입니다. 많은 분들이 새해에는 여러 기대가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그런 기대에는 꼭 건강이 포함되어 있기 마련입니다. 그만큼 건강은 중요합니다. 그런데 이것을 거꾸로 말하자면 사람들이 건강을 기원하는 이유는 실제로 건강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억지스러운 생각일지 모르겠지만 다음의 통계 자료를 보면 꼭 그렇지도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의 그래프는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스스로 건강한가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사람들의 비율을 조사한 결과입니다. 그래프의 제목이 가장 명징합니다. "당신은 건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딱 이 질문입니다. 중간에 흰색으로 표시된 것이 OECD 33개국 전체 평균입니다. 68.9%입니다. 그러니까 대략 70%의 사람들은 스스로 건강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 2017. 1. 3.
연말 대목의 쇠퇴 크리스마스도 지나고 이제 연말연시입니다. 이무렵은 언제나 새로운 희망을 이야기하곤 했었는데 언제부턴간 희망이 점점 더 현실과 멀어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다들 소박한 희망과 막연한 기대만 남았을 뿐, 예전만큼 선물을 주고받거나 하는 그런 일은 점덤 더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 시즌은 항상 대목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역시 예전만 못합니다. 그래서 이젠 대목이라고 부르기도 힘들 지경입니다. 불황이라고 말하지만 사실 이 불황이 나아진다고 해서 연말연시가 다시 예전처럼 대목이 될 것 같지도 않아 보입니다. 그리고 이런 경향은 다른 나라들 특히 선진국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출처 : http://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6/12/daily-chart-4 위 그.. 2016. 12. 28.
박사학위자가 많은 나라 경제가 고도화되고 지식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사회에서는 당연히 고학력 인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박사학위자의 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세계 여러 나라에서 얼마나 많은 박사학위자가 나오고 있을까요? 출처 : https://read.oecd-ilibrary.org/science-and-technology/oecd-science-technology-and-innovation-outlook-2016_sti_in_outlook-2016-en#page149 클릭해서 큰 그림으로 보셔야 글자를 읽을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은 2014년 기준 각 나라별로 박사학위자 수가 얼마나 되는지 그 절대 수치를 순서대로 기록한 그래프입니다. 학문 분야를 구분하지 않고 모든 박사학위자를 .. 2016. 12. 11.
학생들의 수학 실력과 비용 얼마 전, PISA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어느 나라 학생이 가장 공부를 잘 하는가 순위를 알려주는 보고서입니다. 우리나라는 여전히 최상위 그룹에 속해 있긴 합니다만, 약간 떨어지긴 했습니다. 그리고 물론 동아시아 국가들의 초강세는 여전하구요. 그런데 이 자료에는 한 가지 정보가 빠져 있습니다. 그건 바로 돈입니다. 학생들 교육을 위해 얼마나 많은 돈을 투자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습니다. 실력을 더 높여준다면야 기꺼이 많은 돈을 지불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겠지만 예산이라는 것은 그 한계가 정해져 있고, 대체로 그것도 매우 빠듯하기 마련입니다. 그러니 이왕이면 더 적은 예산을 투입하여 최고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는 것이 더 좋긴 합니다. 그럼 이렇게 비용과 학생들의 실력 사이를 정리.. 2016. 12. 10.
법적으로 유급 육아휴직이 없는 나라 아이를 낳을 때 출산 휴가가 부여됩니다. 그리고 아기를 키우기 위한 육아 휴직 제도도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이것을 쓸 수 있는지 없는지를 떠나 일단 법적으로 이것을 사용할 수 있는 규정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것도 유급으로 말입니다. 많은 나라들이 저출산 문제로 고민하고 있고, 또 육아 문제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고 있기도 해서 육아 휴직은 웬만한 나라에는 다 존재합니다. 그런데 그렇지 않는 나라가 딱 하나가 있다고 합니다. 그것도 아주 유명한 나라입니다. 바로 미국입니다. 출처 : https://www.pewresearch.org/ft_16-09-19_parental_leave/ 총 41개의 나라를 조사했습니다. 법적으로 규정된 유급 육아휴직의 기간이 얼마나 되는지 나라 별로 조사한 결과입니다. 1위는 .. 2016. 1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