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러 나라들의 임시직 비율 취업난은 전세계적인 문제입니다. 다들 일자리 부족으로 고생하고 있고, 그나마 있는 일자리들도 대부분 비정규직이거나 임시직뿐입니다. 그럼 세계 여러 나라에서 임시직은 얼마나 차지하고 있을까요? 출처 : https://read.oecd-ilibrary.org/employment/oecd-employment-outlook-2016_empl_outlook-2016-en#page41 클릭해서 큰 그림으로 보세요. 위 그래프는 2015년 기준, 15-64세 취업자 중 임시직에 종사하는 사람의 비율을 나타낸 것입니다. 취업한 사람 중에서 따진 것이니 실업자는 전혀 포함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합니다. 가장 임시직의 비율의 높은 나라는 칠레입니다. 약 30%의 취업자가 임시직입니다. 이 정도면 직업 안정성이 심각하게 위협.. 2016. 7. 19.
나라별 혼외자의 비율 결혼하고 자식을 낳는 것이 오랫동안 당연한 것처럼 여겨졌습니다. 그러다보니, 결혼하지 않은 커플 사이에서 출생한 자식은 마치 이 세상에 있어서는 안될 존재처럼 부정되기도 했습니다. 홍모씨처럼 호부호형을 못하던 시절도 있었으니까요. 하지만 출산율 저하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되고, 결혼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개인주의의 확산이 커지면서 현실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위 그래프는 OECD 여러 나라들의 혼외자 비율을 표시한 그림입니다. 초록색 막대 그래프가 2014년의 상황을 나타내고, 주황색 점이 1995년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일단 현재를 먼저 봅시다. 2014년 기준 혼외자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칠레입니다. 태어나는 아기의 71%가 혼외자입니다. 그러니까 출산과 결혼이 아예 분리된 것과 마찬가지입.. 2016. 7. 6.
항생제를 많이 쓰는 나라 항생제는 인류를 구원한 위대한 물질이기도 합니다만, 때로는 남용으로 인해 문제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가끔 뉴스에서 들려오는 항생제가 듣지 않는 슈퍼슈퍼슈퍼... 박테리아의 등장이 대체로 항생제 남용의 결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항생제를 안 쓸 수는 없습니다. 제대로 사용하기만 한다면 이것만큼 인류의 건강에 도움되는 약도 찾기 힘듭니다. 그럼 어느 나라에서 항생제가 가장 많이 쓰이고 있을까요? 출처 : https://read.oecd-ilibrary.org/social-issues-migration-health/health-at-a-glance-2015_health_glance-2015-en#page139 위 그래프는 항생제를 많이 사용하는 나라의 순위를 매겨둔 것입니다. 2013년 기준.. 2016. 6. 21.
쓰레기 재활용을 잘 하는 나라들 쓰레기를 줄이는 것은 에너지, 환경 등 여러 중요한 문제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쓰레기 자체를 줄이고 이왕 나온 쓰레기라면 최대한 재활용하여 폐기되는 것을 줄여 환경에 주는 부담을 감소시켜야 합니다. 원칙적으로 그렇지만 사실 잘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귀찮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돈이 들기 때문이죠. 우리가 일상적으로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해서 버리지만 분리하는 것 그 자체가 추가 노동력이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그럼 어느 나라가 쓰레기 재활용을 잘 하고 있을까요? 출처 : https://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6/03/04/the-countries-winning-the-recycling-race-infographic/ 2013년 기준으로 배출되는.. 2016. 3. 7.
나라별 사법부 신뢰도 사법부, 현대 정치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인 3권 분립의 한 기둥입니다. 행정부의 수반인 대통령은 국민들이 뽑고, 의회를 구성하는 의원들도 국민들이 뽑습니다. 그러나 사법부의 수장은 국민들이 직접 선출하지 않습니다. 형식적인 측면에서 우리나라는 그렇습니다. 우리나라 사법부에 대한 신뢰도는 높지 않습니다. 높지 않은 정도가 아니라 매우 처참한 수준입니다. 그런데 어느 나라든 자기 나라에 대한 평가는 박하기 마련입니다. 왜냐하면 다들 불만이 있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우리나라 삽법부가 국민들에게 받고 있는 신뢰 수준은 전세계적 차원에서 어느 정도에 해당할까요? 출처 : https://www.facebook.com/theOECD/photos/a.10150177273897461.304209.73290362460/1.. 2016. 2. 13.
생각보다 빈번한 진도 7 이상의 대형지진 며칠 전 칠레 주변 바다에서 대형 지진이 발생해 쓰나미 경보가 발령된 적이 있습니다. 진도 7이 넘는 대형 지진이었다고 합니다. 이런 대형 지진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자주 발생합니다. 다만 대부분이 바다에서 일어나 그나마 다행일 뿐이죠. 1995년 이후 발생한 진도 7 이상의 대형지진을 아주 멋지게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자료가 있어 소개해 봅니다. 출처 : http://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5/09/global-earthquakes-interactive-map 위에 PLAY버튼을 누르면 1995년부터 일어난 진도 7 이상의 지진들을 빠르게 시간 순서대로 보여줍니다. 원 사이트 자료를 그대로 가져오긴 했는데 뭐가 문제인지 어떤 브라우저에서는 오.. 2015. 9. 20.
노동시간이 가장 긴 나라는 어디일까?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인 통계치가 몇 가지 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런 것들은 부정적인 것들이 많습니다. 노동시간도 그런 것 중 하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업무환경은 근무시간이 지나치게 깁니다. 세계에서 가장 일을 많이 하는 나라였습니다. 지금도 그럴까요? 이젠 좀 변하지 않았을까요? 출처 : https://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5/04/21/these-countries-have-the-most-annual-working-hours-infographic-3/ 2013년 OECD 자료로 작성된 통계자료입니다. OECD가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나라 중에서 1년간 노동시간이 가장 긴 나라는 멕시코입니다. 우리나라는 그 다음으로 2등입니다. 세계 1등은 아니니 그.. 2015. 5. 5.
고등교육에 들어가는 돈 우리나라의 교육열은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임은 잘 알고 있습니다. 대학진학율도 대단히 높습니다. 당연히 거기에 들어가는 돈도 많습니다. 교육산업의 규모가 대단히 크다는 말입니다. 3차(Tertiary) 교육기관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사전적 의미로는 세번째 교육단계를 말하지만, 우리 현실에서 만든어진 단어가 아니라서 몇 번째라는 순서가 중요한 것은 아니고 보통 고등학교 이후 고등교육을 총칭하는 것으로 쓰이는 말입니다. 보통 대학을 의미합니다. 이 3차 교육기관에 투입되는 돈의 규모를 나라별로 조사한 자료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교육산업의 규모를 가듬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출처 : http://www.economist.com/news/special-report/21646991-both-provision-and-.. 2015.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