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직그래프] KBS의 이상하고 멍청한 그래프 "매직그래프" 머릿말을 달고 있는 포스팅은 모두 잘못 작성되어 그 의미가 변질된 이상한 그래프를 소개하는 글들이다. 여러 사례들을 소개하긴 하지만 그 패턴은 사실 몇 가지 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 가장 흔한 것이 0부터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값부터 시작하는 그래프를 만들어 작은 차이를 큰 차이처럼 보이게 만드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방법은 상황에 따라 잘못된 것이 아니라 적절한 방법일 수도 있기 때문에 해당 자료가 무엇을 보여주려고 하는지 맥락을 반드시 함께 봐야 한다. 그런데 KBS에서 선거 전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이상한 짓을 했다고 한다. 다음의 그림을 보자. 이 그림의 출처는 여기이다. 클릭해서 큰 그림으로 보는 것이 좋다. 맨 위에 있는 것은 KBS에서 방송한 이상한 그래프이고, 두.. 2014. 5. 31. 나라 별 에너지 소비량 에너지 없이 우리는 단 한 순간도 살아갈 수 없습니다. 문제는 이 에너지라는 것이 제법 비쌀 뿐만 아니라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 돈도 아끼고 환경도 보호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됩니다. 휘발유는 소비과정에서, 전기는 생산의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킵니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를 일으켜 기후변화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에너지 소비를 줄이거나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쓰는 것이 중요한데 둘 다 잘 안되고 있죠. 또, 에너지를 많이 쓰는 나라는 주로 잘 사는 나라입니다. 그런데 그들이 사용한 에너지 때문에 발생하는 기후변화는 전 세계가 똑같이 짊어지게 됩니다. 가난한 나라 입장에서는 뭔가 많이 불공평합니다. 그럼 어느 나라가 에너지를 많이 쓸.. 2014. 5. 30. 다른 나라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메신저 앱은? 메신저 앱이라고 하면 단연 카카오톡이죠. 적어도 우리나라에선 그렇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카카오톡은 우리나라에서만 최고입니다. 다른 나라에서는 평소에 잘 들어보지도 못한 앱들이 더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메신저 앱은 그 특성 상 어떤 한 가지가 독점하게 마련입니다. 그래야 서로 편해지니까요. 어느 한 나라에서 확고한 자리를 차지한 메신저 앱은 웬만하면 바뀌지 않습니다. 그럼 다른 나라에서는 어떤 메신저 앱이 많이 쓰일까요? 출처 : http://wikibrains.com/map/537b4380e4b0568301250e61 위 그림에서 원의 크기가 큰 것은 사용자가 그만큼 많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그 메신저가 가장 많이 쓰이는 나라들의 목록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그 결과,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메.. 2014. 5. 29. 하루 중 인터넷에 쓰는 시간 우리는 매일 인터넷을 씁니다. 하루 종일 인터넷을 전혀 쓰지 않는 날은 정말로 특별한 날일 겁니다. 그런데 인터넷의 여러 용도 중에서 어느 것을 가장 많이 하고 있는지 생각해 본 적이 있으신가요? 그런 거 일일이 따져가면서 인터넷 쓰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미국 사람들이 인터넷의 어느 부분에 얼마 만큼 시간을 쓰고 있는지에 대한 통계가 있습니다. 출처 : http://www.businessinsider.com/heres-what-people-do-on-the-internet-all-day-2014-5 위 그림에서 녹색 원 안에 있는 숫자는 %가 아니라 분입니다. 즉 미국인들은 평균적으로 소셜 네트워크를 하루에 37분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 소셜 네트워크를 가장 많이 쓰는 건 우리나라도 아마 비슷할 겁니다.. 2014. 5. 28. 세월호 참사의 세계적 충격 세월호 참사! 정말로 견딜 수 없이 큰 비극입니다. 세월호 참사가 가져온 충격은 너무나 엄청나서 이후의 한국사회를 크게 바꾸어 놓게 될 겁니다. 그런데 이 비극은 우리나라의 비극입니다. 다른 나라 사람들에게 세월호 참사는 어떻게 보여졌을까요? 입장을 바꿔보면 짐작할 수 있을 겁니다. 우리가 다른 나라에서 벌어진 큰 사고를 대할 때 어떤 느낌인지 말입니다. 그저 그랬구나 하면서 무덤덤하게 받아들일지, 아니면 아이고 이런 안타까운 일이... 하면서 함께 슬퍼할 지는 각자의 지난 경험을 떠올려 보시면 될 겁니다. 그런데 이번 세월호 참사는 다른 나라에서도 대단히 충격적으로 여겨졌나 봅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증 자료가 있습니다. 위 그림은 트위터에서 특정 해시태그(#)가 붙은 트윗의 갯수을 날짜별로 표시한.. 2014. 5. 27. 월급에서 세금은 얼마나 나갈까? 샐러리맨들의 월급봉투는 유리지갑입니다. 이건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세금과 연금, 의료보험이야 어쩔 수 없이 내야 하는 겁니다. 그런데 이왕 내는 거라면 좀 공평하게, 그리고 그 돈이 잘 쓰이면 좋겠죠. 월급에서 떼어가는 것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만, 소득세와 사회보장비용은 얼마나 떼어가는지 여러 나라를 비교한 자료가 있습니다. 출처 : http://money.cnn.com/interactive/pf/taxes/income-tax-rates/ 우리나라는 13.4%입니다. 즉 100만원을 월급으로 받으면 13만 4천원을 소득세와 사회보장비용으로 떼어간다는 의미입니다. 원래 링크로 들어가셔서 그래프에 커서를 올리면 자세한 항목이 나옵니다. 우리나라의 13.4%는 "소득세 4.6% + 지방세 0.5% .. 2014. 5. 23. 대학등록금 상승과 상위 1%의 가계소득 최근 대학등록금이 폭등한 것은 우리나라가 전부는 아닙니다. 다른 나라도 대학등록금이 폭등했고, 특히 미국이 그렇습니다. 미국에서 대학등록금이 얼마나 올랐는지는 전에 쓴 글에 간단히 언급한 바 있습니다. 그것과 더불어 미국에서 대학등록금 상승과 일치하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출처 : http://www.cbpp.org/cms/index.cfm?fa=view&id=4135 위 그래프를 보면, 지난 30년간 미국에서 대학등록금의 상승은 상위 1%가구의 가계소득 증가량과 거의 일치 합니다. 반면 평균적인 가계소득은 거의 오르지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왜 이렇게 되었는지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현실이 저렇다면 부유한 가정에서 자란 학생들이 주로 대학에 입학하는 경향이 커졌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 2014. 5. 22. 한국 사람이 SNS에 불평하는 이유 우리나라 소비자들이 다른 나라에 비해 까탈스럽다는 것이 대체적인 인식입니다. 그래서 여러 외국 기업들이 한국에서 제대로 자리잡지 못하고 포기하는 일이 종종 벌어집니다. 한국 소비자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거지요. 이와 관련해서 한국의 소비자들은 SNS에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는 비율이 매우 높다는 자료가 나왔습니다. 출처 :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747015 우리나라 사람이 상품에 대한 불만을 주변에 소문내거나 SNS에 올리는 비율이 매우 높습니다. 특히 미국이나 일본에 비하면 엄청나게 높은 비율입니다. 왜 그럴까요? 사실 SNS에 올리는 것도 대단히 피곤한 일입니다. 시간을 내서 글을 써야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려면.. 2014. 5. 21. 이전 1 ··· 84 85 86 87 88 89 90 ··· 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