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브라질 월드컵 국가별 우승 확률 드디어 브라질 월드컵이 시작되는 날입니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월드컵입니다. 주최국인 브라질은 제대로 준비도 하지 못했고, 우리나라의 평가전 결과는 실망 그 자체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관심도 예전만 못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월드컵입니다. 매년 볼 수 있는 이벤트가 아니죠.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몰려있는 만큼 우승국에 대한 관심도 큽니다. 그래서 여러 기관에서 나름대로 이에 대한 자료를 내놓습니다. 그중 하나를 소개해 봅니다. 538에서 정리한 자료입니다. 왼쪽은 영향력입니다. 평소 실력을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그리고 오른쪽 빨간색은 이번 월드컵 우승확률입니다. 대체로 왼쪽과 오른쪽은 비슷하게 연동되어 있습니다. 당연한 말이죠. 평소에 잘하던 팀에 당연히 이번에도 우승할 확률이 높을 겁니다. 여기서 주목.. 2014. 6. 13.
헤비메탈은 부자들의 음악? 우리나라 대중음악에서 락 음악이 주류라고 할 수는 없을 겁니다. 그래도 최근 밴드음악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는 점은 좋은 일입니다. 반면 미국은 한때 락의 전성시대가 있었죠. 그리고 강렬한 헤비메탈 음악이 큰 인기를 얻은 적도 있습니다. 전성기가 지난 지금 돌이켜 보면, 다 옛날 일이죠. 락 음악은 밴드가 기본입니다. 수많은 무명 밴드들이 열심히 활동하고, 그런 문화가 만들어지는 배경에서 위대한 락 밴드가 등장할 수 있겠죠. 그래서 락 음악이 크게 인기를 얻은 나라에서는 밴드활동은 일종의 문화입니다. 뭐 다들 한번쯤 생각해 보지 않았습니까? 고등학교 다닐 때 친구들이랑 밴드 하나 만들어보고, 멋진 이름 한번 붙여보고, 지금 생각하면 창피한 과거일지 모르지만 다들 그런 단계를 거쳐가는 거죠. 그럼 어느 나.. 2014. 6. 11.
박병호의 홈런 페이스와 우사인 볼트의 신기록 박병호, 현재 우리나라 최고의 홈런 타자입니다. 진정한 이승엽의 후예라고 볼 수 있는 대단한 선수입니다. 올 시즌 그의 홈런 페이스가 엄청납니다. 이대로 쭉~ 가면 이승엽의 기록을 넘어설지도 모르겠습니다. MLBPARK의 새러데이님이 그의 홈런 페이스를 그래프로 정리해주셨습니다. 초록색은 아시아 신기록을 세운 2003년도의 이승엽의 홈런 페이스입니다. 그리고 노란색은 지금 진행중인 2014년의 박병호입니다. 올해 박병호의 페이스가 대단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 빨간 선은 2012년의 박병호, 파란색은 2013년의 박병호의 홈런 페이스입니다. 올해 과거보다 더 나아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부디 이대로 쭉~ 가서 신기록에 도전하면 좋겠습니다. 그런데 이 그림을 보니, 몇 년 전 우사인 볼트의.. 2014. 6. 10.
우리나라 세대 별 인터넷 이용 우리나라를 인터넷 강국이라고 흔히 그러죠. 뭐 그다지 공감하는 말은 아닙니다만, 어쨌든 인터넷을 사용하는 측면에서는 그럴 수 있다고 봅니다. 그럼 실제로 어느 연령이 어떻게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을까요? 다른 나라도 아닌 우리나라에 대한 이야깁니다. 출처 : http://www.digieco.co.kr/KTFront/report/report_issue_trend_view.action?board_seq=9127&board_id=issue_trend PDF보고서는 로그인을 해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국민 중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람입니다. 비율이 아니라 절대값입니다. 당연히 점점 증가하는 모양입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증가량이 크게 변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거의 포화상태가 되었다는.. 2014. 6. 9.
드래프트 1순위 선수는 그 값어치를 하는가? 프로스포츠에서 드래프트라는 제도를 시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새롭게 프로에 진입하려는 신입 선수들 중에서 각 구단이 순서대로 선수를 뽑아가는 제도입니다. 당연히 모든 구단은 최고의 선수를 뽑고 싶어 하고, 최고 유망주는 당연하게 첫번째로 지명됩니다. 그 선수가 바로 1순위 선수죠. 물론 류현진 같은 예외도 있긴 합니다. 문제는 당시 유망주가 계속 잘 한다는 보장이 없다는 점입니다. 이게 참 어려운 문제죠. 그래서 1순위로 뽑은 선수가 제대로 활약을 못하게 되면 손실이 매우 큽니다. 그렇다고 드래프트가 운에 맡기는 뽑기냐? 또 그건 아니지요. 참 어려운 선택입니다. 미국 NBA에서 드래프트 1라운드에서 선발된 선수가 과연 승리에 얼만큼 기여했는가를 조사한 자료가 있습니다. 출처 : http://fiveth.. 2014. 6. 8.
세계적인 IT기업 직원들의 출신 대학은? 대졸자에게 취업은 미국이나 우리나 매우 심각한 문제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대학의 서열화를 없애고 스펙을 안 보고 등등 이렇게 하겠다고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명문대나 상위권 대학이 더 대접받는 건 어쩔 수 없습니다. 사실 미국은 더욱 그러합니다. 세계적인 기업이 미국에 많이 있습니다만 그런 기업에 입사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명문대학 출신들입니다. 그럼 실제로 어느 대학 출신이 세계적인 IT 기업에 많이 취직할까요? 출처 : http://www.wired.com/2014/05/alumni-network-2/ 클릭하면 큰 그림으로 볼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IBM, 구글, 애플, 야후, 페이스북, 트위터에 어느 대학 출신이 많은지 상위 5개 학교를 정리한 그림입니다. 각 기업 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 2014. 6. 7.
미국인 이름짓기의 시대별 유행 사람의 이름은 시대의 유행을 타기 마련입니다. 얼마 전 우리나라 신생아 이름이 "민준"이나 "서윤"이 가장 많이 쓰인다는 자료가 있었습니다. 반면 "영자", "철수" 이런 이름을 가진 애기들은 거의 보기 어렵습니다. 그건 옛날 스타일이까요. 그러니 이름만으로도 해당 나이를 추정할 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헬렌(Helen)"이라는 이름을 들으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할머니입니다. 야구팀 NC에서 활약하는 "찰리"라는 선수가 있습니다. 이 선수 이름을 처음 들었을 때도 요즘 보기 힘든 이름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름짓기 유행에 대한 조사는 미국에서 빈번하게 행해집니다. 이에 대한 최신의 자료가 있어 소개해 봅니다. 출처 : https://fivethirtyeight.com/features/how-to-t.. 2014. 6. 2.
세계 최고의 토건국가는 중국 토건국가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명박 전대통령과도 관련이 많은 말입니다. 건설을 중심으로 경기를 부양시키겠다는 생각으로 거대 토목 및 건축사업을 추진하는 것을 지칭합니다. 건설 및 토목 산업이 경제 전체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큰 것은 맞습니다만 그건 다 옛날 이야기입니다. 산업이 고도화되면 그런 것보다는 지식중심 산업이 훨씬 더 중요해지고 부가가치도 더 큽니다. 그렇지 않다면 미국이나 다른 최고 선진국들은 아직도 댐짓고 공항짓고 있어야 합니다. 그 나라들이 그렇게 하던가요? 경제의 발전 단계에 적합한 산업분야가 있는 법이고, 건설이 한때 그런 산업이었던 것도 맞지만 지금은 우리나라의 산업구조가 많이 변했습니다. 그럼 지금 한참 토건이 중심인 나라는 어디일까요? 그것을 직접적으로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만.. 2014.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