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혼자만 쫄딱 망한 이탈리아 십여년 전 유럽의 여러 국가들이 모여 단일 경제체제를 만들었습니다. EU라는 것이죠. 그 결과 유럽의 대부분의 나라들이 경제적으로 더 좋아졌습니다. 그럼 어떤 나라들이 얼마나 더 좋아졌는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999년부터 2014년까지 국민 일인당 GDP의 성장률을 국가별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독일과 핀란드가 가장 큰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미국과 일본보다더 더 좋습니다. 그리고 유로를 사용하는 12개국의 평균도 10%가 넘게 상승했습니다. 그러니 EU로 경제를 통합한 것이 제법 효과가 좋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심지어 몇 년 전에 망한 그리스조차도 크진 않지만 성장했습니다. 그런데 유독 이탈리아만 이상한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성장은 커녕 오히려 더 나빠졌습니다. 게다가 제법 큰 수치로 나빠졌습니다... 2014. 5. 7.
사람을 가장 많이 죽이는 동물은? 자연재해, 질병, 전쟁, 사고, 범죄 등 우리를 위협하는 무서운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잠시 잊고 있는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아무리 보수적으로 계산하더라도 지금 우리는 역사 상 가장 안전한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아무리 이렇게 말해봤자 내가 무섭고 불안하면 또 그게 아니긴 합니다. 오랫동안 인간은 동물과 싸워 왔습니다. 지금은 인간이 대부분의 동물을 때려잡았지만 여전히 무섭고 위험한 동물들이 많습니다. 그럼 인간을 위협하는 동물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1차출처 : http://www.gatesnotes.com/Health/Most-Lethal-Animal-Mosquito-Week 2차출처 : http://techneedle.com/archives/15902 위 그림은 일년 동안 해당 동물.. 2014. 5. 6.
아시아 국가들의 높은 미국 의존도 자원도 없는 우리나라는 수출만이 살 길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믿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노력한 결과 우리나라 경제의 무역의존도는 너무 높아졌습니다. 덕분에 내수는 언제나 수출증대를 위해 뒷전으로 밀려났죠. 그리고 지금 우리가 그 결과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수출지향적 경제성장은 비단 우리나라만 그런 것이 아닙니다. 아시아 국가의 일반적인 경향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그런데 이것에 문제가 있다는 월스트리스 저널의 보도가 있었습니다. [영문] http://online.wsj.com/news/articles/SB10001424052702304163604579527483006022494 [국문] http://kr.wsj.com/posts/2014/04/28/%EC%95%84%EC%8B%9C%EC%95%.. 2014. 5. 3.
우리나라 남녀 암 발생률 암, 정말 무서운 병입니다. 계속 나아지고 있는 있지만 여전히 걸리면 당사자뿐만 아니라 그 집안 자체가 망가지기 십상인 진짜 무서운 병이죠. 그런데 이 암이 발병하는데에 남녀가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암에 걸린 사람들의 숫자를 나이와 성별로 구분해서 정리한 자료입니다. 출처 : https://www.joongang.co.kr/article/14446850 위 그래프에서 빨간 선이 여성, 파란 선이 남성입니다. 아래는 나이대로 구분해 놓은 것이죠. 이 그래프로 알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60대 이후 우리나라 남성의 암 발생이 크게 증가 반면, 여성은 나이가 높아질수록 암 발생이 증가하지만 완만하게 증가하는 모양 20대~50대초반에는 여성의 암 발생이 더 높음 남자들의 암 발생이 특이하죠. .. 2014. 5. 1.
전화응답 여론조사에 대한 오해들 선거가 얼마 남지 않았죠. 또 다시 여론조사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지는 시절이 가까이 왔습니다. 사실 여론조사는 일상적으로 실시되고 있습니다. 너무 많아서 주의깊게 보기도 힘들 정도죠. 그런 조사들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조사방법이 전화를 이용한 조사입니다. 그런데 이런 조사결과에 대해 잘못된 정보를 갖고 계신 분들이 있더군요. 위 그림은 다음의 사이트에서 캡춰한 겁니다. http://www.nesdc.go.kr/cop/opinionPoll/opinionPollPublicView.do?siteId=nesdc&seq=321&id=nesdc_030200000000 리얼미터라는 조사기관이 MBN이란 언론사에서 의뢰받아 2014년 4월 15일부터 18일까지 전화를 이용해서 여론조사를 했고, 그 내용이 적시되어 있.. 2014. 4. 28.
역시 인형놀이가 최고 누구나 어렸을 때 장난감을 갖고 놉니다. 다들 자기가 좋아하는 장난감이 있습니다. 남자 아이들은 보통 자동자, 로봇, 그리고 블럭 놀이 장난감을 많이 갖고 놀고, 여자 아이들은 인형놀이를 많이 합니다. 이것은 전 세계 공통인 것처럼 보입니다. 그럼 지금 제일 잘 나가는 장난감 회사는 어디일까요?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장난감을 만드는 곳이 가장 잘 나가는 회사일 겁니다. 그러니 최고의 장난감 회사를 알면 지금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놀이도 대충 짐작할 수 있지 않을까요? 이코노미스트에서 발표한 세계에서 가장 잘 나가는 장난감 회사 3개의 자료입니다. 3개 회사는 마텔, 하스브로, 레고입니다. 매출액을 보면 단연 마텔이 최고입니다. 최근 레고가 급성장하고 있는 것이 눈에 띱니다. 사실 레고는 한때 무척 어.. 2014. 4. 25.
한번쯤 살아보고 싶은 기후, 롬폭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다고 주입식 교육을 받았습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을 모두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은 확실히 장점일 수 있습니다. 그렇지 못한 나라들이 매우 많기 때문이죠. 그런데 현실은 어떠합니까? 사계절이 맞는 것 같기는 한데, 느껴지는 계절은 "봄..여어어르으으음..갈..겨어어어우우우울" 이런 식이죠. 게다가 사계절로 인해 여러 가지 종류의 옷을 구비해야 한다는 점은 단점일 수 있습니다. 저처럼 패션에 전혀 관심없는 사람들에게는 피곤한 일입니다. 또한 큰 온도차는 계절이 변할 때마다 감기에 걸리기 쉽습니다. 병원비도 만만치 않게 들어갑니다. 이런 점에서 사계절은 이래저래 피곤한 것 같습니다. 물론 사계절 때문에 봄에는 벚꽃놀이, 가을에는 단풍구경이라는 재미있는 이벤트를 즐길 수도 있습니다.. 2014. 4. 22.
우리나라 교사의 연봉은 높은 편일까? 선생님은 제법 괜찮은 일자리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교대의 경쟁률이나, 중매시장에서 교사의 인기 등을 고려해보면 그렇습니다. 일자리로서 교사는 대단히 안정적이긴 합니다. 그러나 최근 실제 학교 현장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보면 그 일자리가 결코 쉬운 일로는 여겨지지 않습니다. 그럼 다른 나라들은 어떨까요? OECD국가들 기준으로 각 나라에서 대졸자 평균연봉과 비교했을 때 그 나라 교사의 연봉은 과연 얼마나 높을까요? 선생님이라는 업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한 나라별 차이를 간접적으로나마 비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출처 : https://qz.com/196866/no-american-teachers-arent-overpaid-at-least-among-wealthy-countries/ [번역] 위 그래.. 2014.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