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읽지 않는 보고서 정부기관이나 연구소 등에서 이런저런 자료들을 많이 배포합니다. 그런 자료들은 그냥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고급인력이 투입되어 만들어진 귀중한 자료들입니다. 그리고 특히 데이터를 직접 수집하여 가공해서 정리하는 보고서는 결론만 보면 간단할지 몰라도 그것이 만들어지는 과정에는 많은 시간이 들어갑니다. 그런데 현실에서 그런 보고서가 널리 읽히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읽었으면 좋겠지만 주변에서 그런 보고서 읽고 계신 분은 거의 본 적이 없으실 겁니다. 그게 우리나라만 그런 게 아닙니다. 출처 : http://www.washingtonpost.com/blogs/wonkblog/wp/2014/05/08/the-solutions-to-all-our-problems-may-be-buried-in-pdfs-that-n.. 2014. 5. 20. 술 많이 먹는 나라는? 술하면 우리나라 사람들을 빼놓고 이야기하기 어려울 겁니다. 확실히 우리나라 사람들이 마시는 술의 양은 매우 큰 편입니다. 그런데 단순히 국민 일인당 술 소비량만 따지면 부족한 게 술을 안 마시는 사람들도 많다는 점이죠. 이런 것을 반영한 자료가 있어 소개합니다. 출처 : 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4/05/daily-chart-8 위 그래프는 두 가지 정보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습니다. 15세 이상 모든 국민을 기준으로 술의 소비량을 계산한 것과 술을 마시는 사람들만 따로 계산한 일인당 술 소비량을 모두 보여줍니다. 술을 마시는 사람만 따져서 가장 술을 많이 먹는 나라는 챠드입니다. 우리나라는 10위에 있습니다. 반면, 모든 국민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우리나라는.. 2014. 5. 19. [매직그래프] 대학생이 신뢰하는 뉴스 채널? 매직그래프는 정말이지 볼 때마다 너무 화가 난다. 왜냐하면 그건 고의적이기 때문이다. 데이터를 다루는 사람이 이런 짓을 하는 것은 범죄다. 어이없는 매직 그래프가 또 나왔다.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172457 위 링크는 대학생들이 신뢰하는 뉴스 방송사를 물어본 것이다. 그리고 그대로 발표했다. 문제는 그래프를 이상하게 그렸다. 왼쪽에 빨간 색 네모친 세로축을 잘 보면 비례가 맞지 않음을 알 수 있다. 600이라고 적힌 곳은 실제로 200에 해당한다. 이 그래프는 간격이 커서 중간을 물결표시하고 잘라낸 것도 아니다. 그냥 이상한 거다. 그 밑에 함께 나온 파이 그래프이다. 만든 사람은 이쁘다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살다가 이렇게 직관적이지 않.. 2014. 5. 18. 세계에서 영화관람을 가장 많이 하는 나라는? 영화는 보편적인 문화생활입니다. 거의 대부분 사람들이 영화보는 걸 좋아합니다. 자주 보지는 못하더라도 말입니다. 연인들은 유명 개봉 영화는 거의 다 보지 않나 싶기도 합니다. 그만큼 다른 유흥거리가 없는 것인지, 아니면 정말로 영화를 좋아하는 것인지 애매합니다만, 제가 보기엔 둘 다인 듯 합니다. 아무튼 우리나라 국민이 세계에서 가장 영화를 많이 보는 국민이라고 합니다. http://media.daum.net/culture/others/newsview?newsid=20131223033906042 위 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이 1년동안 평균적으로 4.12편의 영화를 관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위 기사의 그래프가 너무 작아서, 방송 화면을 캡춰해봤습니다. 출처 : http://media.daum.ne.. 2014. 5. 16. 빠르게 감소하는 초등학생 수 스승의 날입니다. 선생님이 주인공인 날입니다만 선생님이나 학생이나 학부모나 모두에게 부담스러운 날이 되고 말았죠. 그래도 언젠가는 건전하게 감사의 마음을 가질 수 있는 그런 때가 올거라 믿습니다. 스승의 날이지만 오늘 할 이야기는 선생님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학생에 대한 겁니다. 간단히 말하면 초등학생 수가 줄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낮은 출산율은 모두가 다 알고 있습니다. 그러니 당연히 학생 수도 감소 하겠지요. 그럼 얼마나 줄어들고 있는지 구체적인 숫자를 봅시다. 출처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965066 위 그림이 기사에 나온 자료입니다. 참 너무 하죠. 좀 더 크게 보여주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래서 제.. 2014. 5. 15. 마약을 많이 하는 나라들 범죄와 관련해서 우리나라가 신기한 것 중 하나가 바로 마약범죄가 매우 적은 편에 속한다는 점입니다. 미드나 헐리우드 영화를 볼 때, 길거리 부랑자나 혹은 젊은 사람들이 마약과 관련된 것으로 묘사되는 장면이 제법 나옵니다. 훔친 돈으로 마약을 샀다든지.. 그런데 그런 걸 너무 쉽게 넘겨 버리는 게 참 의아했었습니다. 저기도 마약은 불법일텐데 말이죠. 그만큼 마약에 대한 인식이 우리와 많이 다르다는 뜻이겠죠. 어디서 들은 이야긴지 기억나지는 않지만, 어떤 분이 우리나라 드라마를 즐겨 보던 어떤 외국 친구한테 이런 질문을 받았다고 하죠. "왜 학교짱이 약을 안해?" 마약에 손대지 않는 불량청소년이 그 분들에게는 이상하게 여겨지나 봅니다. 아무튼, 마약 중에서도 이름이 유명한 코카인이라는 것이 있죠. 이 코카인.. 2014. 5. 14. 하드디스크가 사망하는 비율 하드디스크는 우리 시대의 가장 기본적인 기계 중 하나입니다. SSD가 많이 보급되고는 있지만 여전히 단순 저장용도로는 하드디스크만한 게 없죠. 앞으로도 하드디스크의 수요는 꾸준할 겁니다. 그런데 이 하드디스크라는 장비를 참 희한한게 어느 날 갑자기 사망하는 경우가 다른 장비들 보다 빈번하다는 점입니다. 겉으로 보이는 증상도 없다가 그냥 갑자기 사망하는 돌연사가 일어나죠. 저도 몇 번 경험해봤습니다. AS기간을 넘기고 한달도 지나지 않아 바로 사망하던 녀석이 아직도 기억에 선 합니다. 그럼 이 하드디스크가 사망하는 패턴이 어떻게 되는지 설명하는 그래프가 있습니다. 위 그래프에서 가장 위에 있는 파란 선이 바로 사망하는 하드디스크입니다. 부드러운 U자 모양을 그리고 있습니다. 사용한지 얼마 되지도 않아서 바.. 2014. 5. 13. 인터넷뱅킹의 사용증가와 2009년에 일어난 일 인터넷뱅킹. 너무나 기본적인 서비스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뱅킹을 이용합니다. 여전히 최신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은행 창구를 고집하시기도 합니다. 그래도 인터넷뱅킹이 대세임은 부정할 수 없죠. 그럼 인터넷뱅킹의 비중은 과연 얼마나 될까요? 그걸 소개한 통계가 있어 소개합니다. 그리고 아주 큰 궁금증 하나도 함께 있습니다. 출처 :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5/06/2014050602652.html 위 그래프는 은행거래를 하는 방법 별로 거래되는 돈의 양을 계산한 겁니다. 만약 금액과 상관없이 이용하는 횟수로 계산하면 압도적으로 인터넷뱅킹이 더 클 겁니다. 하지만 큰돈의 경우 창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아주 큰돈은 창구로 직접 가야만.. 2014. 5. 12. 이전 1 ··· 85 86 87 88 89 90 91 ··· 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