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기에 더 좋은 전공은? 경제불황은 이제 일상이 되고 있습니다. IMF이후 우리나라 경제가 좋았던 적이 기억나십니까? 뉴스와 언론에서 앞으로 경제가 호황일 것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습니까? 언제나 위기라는 말 뿐이죠. 안타깝지만 이게 현실입니다. 긍정적인 시그널을 찾는 것 자체가 너무 힘든 상황이죠. 그럼 대학에서 어느 분야를 전공하는 것이 경제불황기에 그나마 조금이라도 더 유리할까요? 경제가 침체되면 당연히 대체로 다 잘 안됩니다만, 어떤 것은 오히려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전공 별로 그 정도를 보여주는 자료가 있습니다. 출처 : http://www.nytimes.com/2014/06/21/upshot/a-college-major-matters-even-more-in-a-recession.html 위 그림에 회색점과 빨간.. 2014. 6. 24. 컴퓨터 저장장치 Old & New 컴퓨터 기술은 너무나 빠르게 발전합니다. 모든 부분에서 그렇죠. 엄청 오래된 영화도 아닌데 주인공이 거대한 CRT 모니터 앞에 앉아 있으면 뭔가 많이 어색하게 느껴집니다. 하다못해 90년대 크게 유행한 "접속"이란 영화만 해도 내용이 PC통신입니다. 그 당시 널리 쓰였던 전화모뎀은 이제 박물관 수준으로 여겨지는 물건이 되었죠. 그만큼 이 분야의 발전 속도는 너무 빠릅니다. 오래전에 쓰였던 플로피 디스크입니다. 큰 것부터 작은 것 순서대로 기술이 발전했습니다. 아마도 마지막 3.5인치 플로피 디스크는 많은 분들이 경험했을 겁니다. 그리고 1.44MB밖에 안되지만 뭐 그래 에러도 많이 났는지... 당시 전 SK에서 만든 플로피 디스크를 무진장 싫어했습니다. 후지필름 제품이 좋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하드디스.. 2014. 6. 23. 내가 루팅해서 쓰는 기능들 전에도 밝혔듯이 저는 넥서스4라는 레퍼런스 폰을 씁니다. 순정 안드로이드만 딸랑 들어있는 깔끔하고도 텅빈 폰입니다. 저는 가급적 처음에 있는 그대로 쓰는 편인데, 어쩌다 보니 루팅을 하게 되었고, 이제는 당연하게 그렇게 쓰게 되더군요. 루팅을 하면 이론적으로 하드웨어에 대해 무제한적인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뭐든지 할 수 있지만 실제로 하는 것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간단히 정리해 보면, 이렇네요. 기본폰트 변경 xposed : gravitybox, swipeback, rootcloak 루팅이 필요한 앱들 : gmd gesturecontrol, greenify, root browser 통화녹음 : callrecorder 위 목록에 있는 것이 전부입니다. 많은 것같아 보이지만, 이중에서 폰트를 바.. 2014. 6. 22. 경제위기 후 국가별 가처분 소득의 변화 월급이 통장에 스쳐간다고들 합니다. 돈이 들어와봤자 여기저기서 "퍼가요~~"를 외치니 월급을 받아도 정작 쓸 돈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실제로 당장 소비할 수 있는 돈, 즉 가처분 소득이 얼마나 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중요합니다. 2008년 경제위기로 많은 나라들이 고생했고, 가처분 소득은 당연히 줄어들거나 아니면 성장세가 둔화될 수밖에 없을 겁니다. 그럼 어떤 나라들이 어떻게 영향을 받았는지를 비교해 보면 좋겠지요. 출처 : 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4/06/daily-chart-13 2007~2011년 사이에 나라별 가처분 소득의 변화량을 표시한 그림입니다. 맨 위에 있는 폴란드를 보면 이런 이야기가 됩니다. 폴란드의 상위 10%의 부자들은 2.. 2014. 6. 21. 원소를 발견한 나라들의 주기율표 주기율표는 과학에서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처음부분에 등장하는 원소들은 거의 외우다시피 합니다. 공부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암기되기도 하고 그렇죠. 이런 주기율표의 변종들이 있습니다. 전에 실제로 지구에 존재하는 양에 기반한 주기율표를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해당 원소를 발견한 나라를 표시한 주기율표를 소개해 봅니다. 클릭해서 큰 그림으로 보세요. 결과만 본다면 영국 과학자들이 가장 많은 원소를 발견했습니다. 그 뒤로 스웨덴과 독일, 미국, 프랑스, 러시아가 순서대로 원소를 많이 발견했습니다. 그런데 맨 밑에 있는 90번대 원소들을 보면 미국국기가 나열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비교적 최근에 발견된 원소들은 미국이 많이 발견했다는 뜻일 겁니다. 원소와 주기율표는 과학의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 2014. 6. 20. 넥서스폰에서 플래싱하는 손쉬운 방법 새로운 안드로이드 버전인 4.4.3이 발표되었습니다. 제 넥서스4에도 업데이트 알람이 떴습니다. 고민을 했습니다. 루팅을 풀고 순정으로 한번 써볼까? 그래서 초기화시키고 업데이트해서 순정 4.4.3으로 써봤습니다. 달빅에서 ART로 런타임을 바꿔도 봤습니다. 역시 불편해서 못쓰겠습니다. 다시 루팅해야지요. 그런데 ART는 계속 쓰고 싶었습니다. 문제는 xposed가 ART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그러면 gravitybox나 rootcloak같은 좋은 도구들을 쓸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다른 것으로 대체하기로 했습니다. 금융앱을 쓰려면 루팅한 걸 감춰야 하는데 rootcloak을 쓰지 못하면 다른 걸 생각해봐야 합니다. 그래서 생각난 것이 바로 수정된 supersu앱입니다. spapa란 분이.. 2014. 6. 19. 여러 물건을 반으로 쪼갠 모습 어떤 물건을 완벽하게 반으로 쪼개면 그 속을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게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죠. 여러 가지 물건들을 정확히 반으로 쪼갠 사진들이 있어 가져와 봤습니다. 자동차 렌즈. 이런 모습은 각종 전시회에서 가끔 볼 수 있습니다. 아무튼 엄청 복잡해 보입니다. 지포 라이터 사탕. 속이 참 아름답네요. 탱크를 쪼갰습니다. 대단하군요. 비행기. 화물을 아래에 싣는군요. 도넛과 커피. 커피가 쏟아지지 않네요? 얼린 건가 봅니다. 치약. 이걸 짜면 예쁘게 무늬가 들어가겠군요. 물로 사과를 반으로 쪼개고 있습니다. 사람 머리를 반으로... 무섭군요. 사람을 반으로 쪼개면... 인체의 신비라는 이름으로 전시도 한 적이 있죠. 저도 가본 적이 있습니다만, 다시 보고 싶진 않군요. 골프공입니다. 다양.. 2014. 6. 18. 우리나라는 산업용 로봇 최강국 로봇이라고 하면 흔히 생각하는 것이 사람처럼 움직이고, 일생생활에서 우리들의 삶을 도와주는 그런 존재입니다. 하지만 로봇의 가장 흔한 형태는 산업용 로봇입니다. 가끔 텔레비전 화면에 나오는 로봇팔 있잖아요. 공장에서 이런 저런 정해진 일을 빠르게 수행하는 로봇팔, 자동차 공장 같은 곳에서 볼 수 있는 그런 거 말입니다. 이런 로봇을 산업용 로봇으로 구분합니다. 이런 산업용 로봇이 가장 많이 보급된 나라가 바로 우리나라라고 합니다. 출처 : http://www.ft.com/intl/cms/s/0/1ff23f0a-ed5e-11e3-8a1e-00144feabdc0.html#axzz34OksJhJd 클릭해서 보세요. 원 출저인 FT기사는 로그인을 요구합니다. 원문을 보시려면 구글에서 기사제목을 검색하세요. 기사.. 2014. 6. 17. 이전 1 ··· 119 120 121 122 123 124 125 ··· 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