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별 에너지 소비량 에너지 없이 우리는 단 한 순간도 살아갈 수 없습니다. 문제는 이 에너지라는 것이 제법 비쌀 뿐만 아니라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 돈도 아끼고 환경도 보호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됩니다. 휘발유는 소비과정에서, 전기는 생산의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킵니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를 일으켜 기후변화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에너지 소비를 줄이거나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쓰는 것이 중요한데 둘 다 잘 안되고 있죠. 또, 에너지를 많이 쓰는 나라는 주로 잘 사는 나라입니다. 그런데 그들이 사용한 에너지 때문에 발생하는 기후변화는 전 세계가 똑같이 짊어지게 됩니다. 가난한 나라 입장에서는 뭔가 많이 불공평합니다. 그럼 어느 나라가 에너지를 많이 쓸.. 2014. 5. 30. 하루 중 인터넷에 쓰는 시간 우리는 매일 인터넷을 씁니다. 하루 종일 인터넷을 전혀 쓰지 않는 날은 정말로 특별한 날일 겁니다. 그런데 인터넷의 여러 용도 중에서 어느 것을 가장 많이 하고 있는지 생각해 본 적이 있으신가요? 그런 거 일일이 따져가면서 인터넷 쓰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미국 사람들이 인터넷의 어느 부분에 얼마 만큼 시간을 쓰고 있는지에 대한 통계가 있습니다. 출처 : http://www.businessinsider.com/heres-what-people-do-on-the-internet-all-day-2014-5 위 그림에서 녹색 원 안에 있는 숫자는 %가 아니라 분입니다. 즉 미국인들은 평균적으로 소셜 네트워크를 하루에 37분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 소셜 네트워크를 가장 많이 쓰는 건 우리나라도 아마 비슷할 겁니다.. 2014. 5. 28. 6가지 세계 지도 우리가 다 아는 세계지도가 아니라 특별한 정보를 담은 세계지도 6가지를 소개합니다. 놀라운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제법 신선한 지도입니다. 1. 원시 대륙인 판게아에 현재 나라 위치를 표시한 지도입니다. 아주 오래 전 모든 대륙이 하나였습니다. 대륙이 조금씩 이동해서 지금의 위치가 되었죠. 그 판게아였을 때 어느 부분이 현재 나라가 되었는지를 알려줍니다. 판게아 때 일본은 없었던 듯 합니다. 2. 미터법을 쓰지 않는 나라입니다. 대표적으로 미국이 있죠. 빨리 세계표준을 따라야 할텐데 말입니다. 미국말고 표시된 나라는 미얀마와 라이베리아로 추정됩니다. 3. 외국인을 환영하는 정도를 나라별로 표시한 지도입니다. 빨간색으로 갈수록 외국인을 환대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우리나라도 빨간색이네요. 4. 대륙과 해저를 .. 2014. 5. 26. 월급에서 세금은 얼마나 나갈까? 샐러리맨들의 월급봉투는 유리지갑입니다. 이건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세금과 연금, 의료보험이야 어쩔 수 없이 내야 하는 겁니다. 그런데 이왕 내는 거라면 좀 공평하게, 그리고 그 돈이 잘 쓰이면 좋겠죠. 월급에서 떼어가는 것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만, 소득세와 사회보장비용은 얼마나 떼어가는지 여러 나라를 비교한 자료가 있습니다. 출처 : http://money.cnn.com/interactive/pf/taxes/income-tax-rates/ 우리나라는 13.4%입니다. 즉 100만원을 월급으로 받으면 13만 4천원을 소득세와 사회보장비용으로 떼어간다는 의미입니다. 원래 링크로 들어가셔서 그래프에 커서를 올리면 자세한 항목이 나옵니다. 우리나라의 13.4%는 "소득세 4.6% + 지방세 0.5% .. 2014. 5. 23. 대학등록금 상승과 상위 1%의 가계소득 최근 대학등록금이 폭등한 것은 우리나라가 전부는 아닙니다. 다른 나라도 대학등록금이 폭등했고, 특히 미국이 그렇습니다. 미국에서 대학등록금이 얼마나 올랐는지는 전에 쓴 글에 간단히 언급한 바 있습니다. 그것과 더불어 미국에서 대학등록금 상승과 일치하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출처 : http://www.cbpp.org/cms/index.cfm?fa=view&id=4135 위 그래프를 보면, 지난 30년간 미국에서 대학등록금의 상승은 상위 1%가구의 가계소득 증가량과 거의 일치 합니다. 반면 평균적인 가계소득은 거의 오르지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왜 이렇게 되었는지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현실이 저렇다면 부유한 가정에서 자란 학생들이 주로 대학에 입학하는 경향이 커졌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 2014. 5. 22. 한국 사람이 SNS에 불평하는 이유 우리나라 소비자들이 다른 나라에 비해 까탈스럽다는 것이 대체적인 인식입니다. 그래서 여러 외국 기업들이 한국에서 제대로 자리잡지 못하고 포기하는 일이 종종 벌어집니다. 한국 소비자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거지요. 이와 관련해서 한국의 소비자들은 SNS에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는 비율이 매우 높다는 자료가 나왔습니다. 출처 :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747015 우리나라 사람이 상품에 대한 불만을 주변에 소문내거나 SNS에 올리는 비율이 매우 높습니다. 특히 미국이나 일본에 비하면 엄청나게 높은 비율입니다. 왜 그럴까요? 사실 SNS에 올리는 것도 대단히 피곤한 일입니다. 시간을 내서 글을 써야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려면.. 2014. 5. 21. 세계에서 영화관람을 가장 많이 하는 나라는? 영화는 보편적인 문화생활입니다. 거의 대부분 사람들이 영화보는 걸 좋아합니다. 자주 보지는 못하더라도 말입니다. 연인들은 유명 개봉 영화는 거의 다 보지 않나 싶기도 합니다. 그만큼 다른 유흥거리가 없는 것인지, 아니면 정말로 영화를 좋아하는 것인지 애매합니다만, 제가 보기엔 둘 다인 듯 합니다. 아무튼 우리나라 국민이 세계에서 가장 영화를 많이 보는 국민이라고 합니다. http://media.daum.net/culture/others/newsview?newsid=20131223033906042 위 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이 1년동안 평균적으로 4.12편의 영화를 관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위 기사의 그래프가 너무 작아서, 방송 화면을 캡춰해봤습니다. 출처 : http://media.daum.ne.. 2014. 5. 16. 아시아 국가들의 높은 미국 의존도 자원도 없는 우리나라는 수출만이 살 길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믿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노력한 결과 우리나라 경제의 무역의존도는 너무 높아졌습니다. 덕분에 내수는 언제나 수출증대를 위해 뒷전으로 밀려났죠. 그리고 지금 우리가 그 결과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수출지향적 경제성장은 비단 우리나라만 그런 것이 아닙니다. 아시아 국가의 일반적인 경향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그런데 이것에 문제가 있다는 월스트리스 저널의 보도가 있었습니다. [영문] http://online.wsj.com/news/articles/SB10001424052702304163604579527483006022494 [국문] http://kr.wsj.com/posts/2014/04/28/%EC%95%84%EC%8B%9C%EC%95%.. 2014. 5. 3.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