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 소프트 파워 국가 순위 영향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소프트 파워라고 불리는 것입니다. 문화적인 측면에서 더 큰 영향력을 지닌 나라가 더 큰 소프트 파워를 갖고 있다고 보는 관점입니다. 이런 소프트 파워의 측면에서 세계 1위 나라는 어디일까요? 출처 : http://www.economist.com/news/britain/21657655-oxbridge-one-direction-and-premier-league-bolster-britains-power-persuade-softly-does-it 1위는 영국입니다. 게다가 꼴찌가 중국입니다. 원 기사도 이 점을 대단히 놀라운 것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요즘 어떤 국가 랭킹 차트가 영국이 1등이고 중국이 꼴찌인 차트가 있겠느냐고 반문하고 있을 정도입니.. 2015. 7. 21.
산모 사망율이 높아지는 이상한 선진국 출산하다가 산모가 사망하는 경우를 요즘은 찾아보기 힘듭니다. 예전에는 소설이나 드라마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재일 정도로 개연성(?)이 높은 사건이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런 일은 극히 예외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의료기술이 나날이 발전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문명이 발전함에 따라 산모 사망율이 감소하는 추세는 당연한 일입니다. 선진국이든 후진국이든 말이죠. 그런데 이 흐름을 역행하는 이상한 나라가 하나 있습니다. 그것도 선진국에서 말이죠. 출처 : https://www.economist.com/united-states/2015/07/16/exceptionally-deadly 1990년과 2013년의 산모 사망율을 나타낸 그림입니다. 출산 10만 건 당 산모가 사망하는 수를 나타낸 것입니다. 시간.. 2015. 7. 19.
중국의 한 자녀 정책 폐지의 기대 효과 중국은 오랫동안 한 자녀 정책을 유지했습니다. 결혼한 부부는 한 명의 자녀만 낳을 수 있는 규제입니다. 국가가 이런 것까지 결정한다는 것 자체가 비정상적인 것처럼 여겨지긴 하지만, 그래도 중국의 엄청난 인구를 감안하면 어쩔 수 없는 것으로 인식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던 중국이 최근 이 정책을 완화하기 시작했습니다. 희망하는 부부에게는 두 명의 자녀를 낳을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입니다. 중국이 한 자녀 정책을 포기하게 된 이유는 우리나라 만큼이나 낮은 출산율 때문입니다. 그럼 이제 중국의 인구는 다시 증가할까요? 출처 : http://www.economist.com/news/china/21657416-china-has-relaxed-its-one-child-policy-yet-parents-are-not-r.. 2015. 7. 15.
장관 중 여성의 비율이 높은 나라 사회적으로 남녀가 평등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말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유리천장이라는 말이 의미를 갖는 것이 사실이기도 합니다. 특히나 고위직으로 가면 갈수록 여성의 비율이 여전히 크게 떨어집니다. 일반적인 사기업보다는 그나마 불평등이 적은 공직에서는 어떨까요? 출처 : http://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5/07/07/the-oecd-countries-with-the-most-female-government-ministers-infographic 2015년 현재 기준, OECD 국가 중에서 장관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을 조사한 결과입니다. 여성 장관의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핀란드입니다. 62.5%로 여성 장관이 더 많습니다. 그 다음은 스웨덴, 프랑스, .. 2015. 7. 9.
극심한 중국의 대기 오염 중국의 대기 상태가 심각한 상태라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여기에 황사까지 겹치면 베이징같은 대도시의 대기는 실제로 사람의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습니다. 오래전 영국의 스모그 사태로 대기 오염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를 경험해 본 적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합니다. 그럼 중국의 대기오염은 얼마나 심각할까요? 다른 나라들의 상황과 비교해 봅시다. 출처 : https://www.wsj.com/articles/BL-IRTB-29815 세계 여러 나라들의 대기오염 상태를 조사한 자료입니다. 오후 2시 30분에 공기 1m3 당 포함된 오염물질의 평균적인 양을 측정한 것입니다. 단위는 마이크로그램입니다. 결론은 간단합니다. 중국의 대기 상태가 압도적으로 나쁩니다. 그 다음 순위인 인도보다 두 .. 2015. 7. 8.
외국으로 유학생을 많이 보내는 나라들 얼마 전, 미국에 유학온 수많은 학생들 중 어느 나라 출신이 가장 많은가에 대한 자료를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그 자료는 미국을 중심으로 유학생의 수를 계산한 것입니다. 그럼 유학온 나라말고 유학보낸 나라를 기준으로 가장 많은 유학생을 외국으로 보내는 나라는 어디일까요? 출처 : http://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5/07/02/these-countries-have-the-most-students-studying-abroad-infographic 역시 예상대로 중국이 1위입니다.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니 유학생도 가장 많습니다. 그 다음은 당연하게 인도입니다. 역시 인구 수가 가장 중요합니다. 문제는 바로 그 다음이죠. 바로 우리나라입니다. 우리나라 인구는 5.. 2015. 7. 7.
인구밀도와 교통사고 사망자의 수 교통사고는 인간이 자동차를 포기하지 않는 한 없앨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그 확률은 낮출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꾸준히 그 확률을 낮추려고 노력했습니다. 더 안전한 자동차, 엄격한 교통법규, 안전을 중시 여기는 시민의식 등 더 안전한 교통환경을 만드려는 노력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과거보다 지금이 훨씬 더 안전해졌습니다. 그런데 교통사고 사망자와 관련이 있는 요인 중 하나가 인구밀도입니다. 사람들이 많이 모여살아서 인구밀도가 높은 곳은 당연히 교통사고 사망자도 더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정반대입니다. 출처 : http://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5/07/daily-chart-1 가로축은 제곱킬로미터 당 인구수를 나타냅니다. 인구밀.. 2015. 7. 5.
세계 여러 나라들의 수출 수입 흐름 우리나라는 수출로 먹고 살아야 한다고 학교에서 배웠습니다. 단순히 배운 정도가 아니라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었죠. 그래서 그런지 수출만이 경제 성장의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사실 그것은 전혀 사실이 아닙니다. 수출을 하도 강조해서 그런지 우리나라는 수출에서 만큼은 최상위권 국가가 되었습니다. 유럽의 선진국들보다 우리나라가 더 많이 수출합니다. 그래서 이젠 우리나라가 그런 나라들보다 더 경제력이 강한 나라가 되었나요? 출처 : http://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5/06/global-trade-graphics 왼쪽의 파란색 막대 그래프가 수출을 나타내고 오른쪽 주황색 그래프가 수입을 나타냅니다. 양쪽 끝에 있는 동그라미는 해당 국가의.. 2015. 6.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