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0년 동안 세계인의 키는 커졌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더 높은 키를 원합니다. 성장기에 더 많이 자라길 원합니다. 그리고 사회에서도 키가 더 큰 사람들을 선호하는 경향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실제로 사람들의 키는 커졌습니다. 전세계 모든 지구인이 그러했습니다. 지난 100년 사이에 사람들 키가 얼마나 커졌는지를 국가별로 조사한 자료가 있습니다. 출처 : http://www.ft.com/cms/s/0/64d6dbc0-5275-11e6-9664-e0bdc13c3bef.html 1914년과 2014년의 평균키를 비교한 자료입니다. 이 그림은 18세 이상의 성인 남자 자료입니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나라는 100년 간 키의 성장율이 가장 컸던 5개의 나라를 의미하고 파란색 동그라미는 반대로 키의 성장이 가장 낮은 5개 나라를 나타냅니다. 일단 2014년.. 2016. 7. 27. 일본, 한국, 그리고 중국의 경제성장 한국, 일본, 중국 이 동아시아 세 나라는 참 여러 모로 다르면서도 비슷합니다. 경제 성장의 과정 역시도 비슷비슷한 경로를 거치고 있습니다. 일본과 한국은 엄청난 고도 성장을 경험했고, 이어 거품이 터지면서 고통스러운 경제위기도 겪었습니다. 그렇다면 중국의 경제도 그렇게 될까요? 미래는 아무도 알 수 없는 것이긴 하지만, 어쨌든 이 세 나라는 참 비슷한 경제성장의 경로를 밟아 왔습니다. 이렇게 말입니다. 출처 : https://www.project-syndicate.org/commentary/how-slow-will-china-go-by-lee-jong-wha-2016-07 클릭해서 큰 그림으로 보세요. 가로축은 시간입니다. 1950년부터 2015년까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세로축은 국민 1인당 GDP입니.. 2016. 7. 21. 여러 나라들의 임시직 비율 취업난은 전세계적인 문제입니다. 다들 일자리 부족으로 고생하고 있고, 그나마 있는 일자리들도 대부분 비정규직이거나 임시직뿐입니다. 그럼 세계 여러 나라에서 임시직은 얼마나 차지하고 있을까요? 출처 : https://read.oecd-ilibrary.org/employment/oecd-employment-outlook-2016_empl_outlook-2016-en#page41 클릭해서 큰 그림으로 보세요. 위 그래프는 2015년 기준, 15-64세 취업자 중 임시직에 종사하는 사람의 비율을 나타낸 것입니다. 취업한 사람 중에서 따진 것이니 실업자는 전혀 포함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합니다. 가장 임시직의 비율의 높은 나라는 칠레입니다. 약 30%의 취업자가 임시직입니다. 이 정도면 직업 안정성이 심각하게 위협.. 2016. 7. 19. 세계 여러 나라에서 트럼프의 인기도 미국 대선은 힐러리 클린턴과 도널드 트럼프의 양자 대결로 압축되었습니다. 하지만 힐러리의 승리를 예측하는 곳들이 대부분입니다. 선거에서는 누가 이길 것인가가 가장 중요한 문제이긴 합니다만, 이번에는 다소 다른 양상도 보입니다. 왜냐하면 트럼프라는 사람은 앞으로 이런 사람이 또 대통령 선거 유력후보로 나올 수 있을까 의심스러울 만큼 특이한 인물이기 때문입니다. 그의 이상한 발언과 편견 가득한 주장을 보면 그가 유력 후보라는 것이 믿기지 않습니다. 그 과정이야 어찌되었든 그는 미국 공화당의 대선후보입니다. 그렇다면 다른 나라 사람들은 트럼프라는 인물에 대해 어떤 평가를 하고 있을까요? 아마 대체로 부정적인 평가일테지만 얼마나 부정적일까요? 출처 : https://www.forbes.com/sites/nial.. 2016. 7. 13. 나라별 혼외자의 비율 결혼하고 자식을 낳는 것이 오랫동안 당연한 것처럼 여겨졌습니다. 그러다보니, 결혼하지 않은 커플 사이에서 출생한 자식은 마치 이 세상에 있어서는 안될 존재처럼 부정되기도 했습니다. 홍모씨처럼 호부호형을 못하던 시절도 있었으니까요. 하지만 출산율 저하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되고, 결혼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개인주의의 확산이 커지면서 현실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위 그래프는 OECD 여러 나라들의 혼외자 비율을 표시한 그림입니다. 초록색 막대 그래프가 2014년의 상황을 나타내고, 주황색 점이 1995년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일단 현재를 먼저 봅시다. 2014년 기준 혼외자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칠레입니다. 태어나는 아기의 71%가 혼외자입니다. 그러니까 출산과 결혼이 아예 분리된 것과 마찬가지입.. 2016. 7. 6. 나라별 광통신망 보급 현황 인터넷 속도만 따진다면,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점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나라들에 비하면 저렴하면서도 속도는 매우 빠릅니다. "Warning......"이라는 곳이 강력하게 버티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만, 어쨌든 물리적으로는 그렇습니다. 그럼 광통신망은 어떨까요? 속도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광통신망이 얼마나 많이 깔려 있는지는 그 정도를 비교해 보는 것입니다. 현재 세계 여러 나라들의 광통신망 보급은 이 정도라고 합니다. 2015년 기준, 인터넷을 매달 돈내고 쓰고 있는 사람들 기준으로 봤을 때, 일본이 세계 1등입니다. 72.6% 인터넷 이용자가 광통신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이 우리나라입니다. 69.4%입니다. 큰 차이는 아닙니다. 이렇게 일본과 한국이 최상위권을 형성하고.. 2016. 6. 28. 쓰레기를 많이 버리는 나라 쓰레기는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인류가 풍요로운 물질문명을 향유할 수 있는 것은 엄청난 양의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하지만 갈수록 쓰레기를 처리하는 비용이 커지고 있습니다. 단순히 물리적인 비용의 증가뿐만 아니라 쓰레기를 둘러싼 지자체들간의 갈등을 조정하는 비용이 훨씬 더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어쨌든 쓰레기를 줄이는 것이 버리는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한 일입니다. 그러니 많이 버리지 않는 것이 최선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나라가 쓰레기를 적게 버리고 있을까요? 위 그래프는 OECD 여러 나라 국민 한명이 1년간 얼마나 많은 양의 쓰레기를 배출하는지를 kg 단위로 나타낸 것입니다. 청록색 막대는 1995년도의 자료이고, 쓰레기통 마크로 표시된 것이 2013년.. 2016. 6. 24. 약값을 많이 쓰는 나라 지난 번에 항생제를 많이 사용하는 나라들을 소개했습니다. 다행히도 우리나라의 항생제 사용이 심각한 수준은 아니었습니다. 그렇다면 항생제를 포함한 모든 약물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나라들은 어디일까요?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는 어느 정도 될까요? 위 그래프는 국민 일인당 약값으로 지출하는 비용을 미국 달러로 환산한 값입니다. 물론 구매력 기준으로 환산된 값입니다. 초록색은 처방된 약을 구입하는데 쓴 돈이고, 주황색은 의사의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약을 사는데 들어간 돈입니다. 그냥 파란색으로만 표시된 나라들은 이것을 따로 구분하여 통계를 내지 않나 봅니다. 확실히 한 나라가 독보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바로 미국입니다. 그 다음 국가인 일본과 큰 차이를 벌이면서 압도적인 1위입니다. 미국인 한명이 1년에.. 2016. 6. 23. 이전 1 ··· 4 5 6 7 8 9 10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