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은퇴가 사라진 시대 정년이라는 용어는 이제 점점 더 구시대의 유물로 바뀌고 있습니다. 평생고용이라는 말이 사라진 것처럼 말입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은퇴가 존재하지 않는 시대가 되고 있습니다. 다음 직장과 직업이 있을 뿐 일을 그만두는 상태는 도래하지 않습니다. 투잡은 기본이고, 지금의 업이 언제까지 이 세상에서 유효할 것인지도 파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10년 쯤 후에 지금 일하고 있는 기업이 그때에도 존재하고 있을지 혹은 아예 직종 자체가 사라지지 않을지 아무도 장담할 수 없는 시대입니다. 그러니 자연스럽게 다음을 고민할 수밖에 없고 은퇴라는 것은 큰 한방을 성공시킨 극소수의 사람들에게만 해당하는 꿈같은 이야기가 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그렇게 되어가고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forbes.com/site.. 2016. 6. 19.
악화되는 지역 불평등의 문제 경제적 불평등이 최근의 핵심 이슈로 부상하다보니 이와 관련한 이런저런 통계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런 것들 중에서 오늘은 지역 불평등에 대한 자료를 소개해 봅니다. 지역 불평등이란 한 나라 안에서 지역 별로 경제적 격차가 커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러니까 우리나라로 치면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만 경제적으로 잘 나가고 지방의 외진 지역들은 점점 더 나빠진다면 그것은 지역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지방 자치제가 운영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지역 불평등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OECD 국가들을 중심으로 이 지역 불평등에 대한 간단한 자료를 소개해 봅니다. 출처 : https://www.oecd.org/newsroom/regional-inequalities-worsening-.. 2016. 6. 17.
너무 빠른 우리나라 고령화 속도 우리나라가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는 사실이야 이젠 기본 상식입니다. 그런데 그 속도가 빨라도 너무 빠른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너무 낮은 출산율이 문제입니다. 지금 살고 있는 사람들은 수명이 길어져 고령층이 되는데 새로 태어나는 사람은 너무 적으니 고령 인구의 비율이 증가하는 속도가 너무 빨라지고 있습니다. OECD 자료를 통해 여러 나라를 비교해 보면 그 무서움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위 그래프에는 세계 여러 나라들의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 나와 있습니다. 이 수치가 의미하는 바는 65세 이상의 인구가 15~64세 인구의 몇 %에 해당하는지 그 비율을 나타낸 것입니다. 맨 위에 있는 멕시코를 보면 10%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멕시코에서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15~64세 인.. 2016. 6. 4.
여성 기업 임원의 비율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 당연한 세상에서 아직도 여전히 그렇지 못한 분야들이 많습니다. 대체로 민간 영역이 더 보수적인데, 왜냐하면 공적 영역에서는 법이나 규정의 제약을 더 강력하게 받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여성들의 진출이 가장 더딘 곳으로서 기업 임원들이 있습니다. 민간 부문에서 가장 높은 지위에 속하는 집단입니다. 기업 임원들 중 여성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고 합니다. 출처 : https://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6/05/19/the-countries-with-the-most-women-in-the-boardroom-infographic/ 몇몇 나라를 골라 기업 고위 임원 중 여성의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를 조사한 결과입니다. 쉽게 예상할 수 있듯이, 여성의 사.. 2016. 5. 25.
여성 교사와 여성 교장선생님의 비율 우리나라에서 교사라는 직종은 특히 여성이 많습니다. 초등학교는 남자선생님을 찾기가 쉽지 않을 정도로 말입니다. 이처럼 교사라는 특정한 직종에 여성이 특히 많이 몰려 있는 현상이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경우는 아닙니다. 비슷한 나라들이 몇몇 더 있습니다. 그럼 어떤 나라들이 그럴까요? 출처 : https://www.ft.com/content/3cc7f9c0-613a-3362-ae3c-29eaddcf87bc 2013년 기준, 여성 교사의 비율을 나타낸 그림입니다. 우리나라가 세번째로 높은 곳에 있습니다. 대략 70%에 육박하는 수준입니다. Secondary Schools을 기준으로 했다고 하는데, 이게 나라마다 교육제도가 제각각이라서 약간 애매한 측면이 있습니다만, 보통 3차교육기관을 고등학교 졸업한 이후 가는.. 2016. 5. 7.
태양광 발전을 많이 하는 나라들 에너지 문제는 인류가 해결해야 할 최우선 과제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에 해당합니다. 요즘 추세는 전기의 형태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온갖 방법을 모두 고려하게 됩니다. 그 중에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그나마 가장 좋은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지금 시점에서 태양에너지 활용이 경제적으로 그렇게 뛰어나다고 평가하긴 어렵지만 그래도 친환경적인 속성까지 고려하면 태양에너지의 활용은 적극적으로 권장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럼 어느 나라가 태양으로부터 많은 전기를 생산하고 있을까요? 출처 : https://www.technologyreview.com/s/601053/solar-is-a-booming-business-but-its-still-not-generating-m.. 2016. 3. 25.
젊은이들이 많은 나라들 전세계적으로 현재 가장 중요한 사회적 문제나 변화를 꼽으라고 한다면 아마도 고령화와 실업, 이 두 가지가 선택될 겁니다. 웬만한 나라들이 모두 이 문제들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고령자의 인구비율이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청년들의 수가 크게 감소합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년들은 일자리를 얻지도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어찌보면 다소 모순적인 것처럼 들릴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어떤 나라들은 젊은이가 많아서 문제이기도 합니다. 정확히 말합시다. 단순히 젊은이가 많아서가 아니라 일자리를 얻지 못한 젊은이들이 너무 많아서 문제인 나라들이죠. 출처 : https://www.nytimes.com/2016/03/06/sunday-review/the-world-has-a-problem-too-many-you.. 2016. 3. 21.
가장 가치있는 여권과 쓸모 없는 여권 여권은 원래 다른 나라를 방문하기 위한 서류입니다만 신분증을 대신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여권은 매우 중요합니다. 잃어버리면 곤란해지죠. 그런데 모든 여권이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닙니다. 어떤 나라의 여권은 그것 하나만으로도 더 많은 나라를 방문할 수 있는 반면, 어떤 나라의 여권은 그렇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도 랭킹을 매길 수 있겠지요. 예, 이런 방식으로 어느 나라의 여권이 가장 좋은지, 반대로 어느 나라의 여권이 가장 쓸모 없는지 구분한 자료가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economist.com/blogs/gulliver/2016/03/walk-right 2015년 기준으로 가장 좋은 여권은 독일 여권입니다. 독일 여권 하나만으로 무려 175개 나라를 방문할 수 있습니다. 이 정도면.. 2016. 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