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사람이 SNS에 불평하는 이유 우리나라 소비자들이 다른 나라에 비해 까탈스럽다는 것이 대체적인 인식입니다. 그래서 여러 외국 기업들이 한국에서 제대로 자리잡지 못하고 포기하는 일이 종종 벌어집니다. 한국 소비자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거지요. 이와 관련해서 한국의 소비자들은 SNS에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는 비율이 매우 높다는 자료가 나왔습니다. 출처 :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747015 우리나라 사람이 상품에 대한 불만을 주변에 소문내거나 SNS에 올리는 비율이 매우 높습니다. 특히 미국이나 일본에 비하면 엄청나게 높은 비율입니다. 왜 그럴까요? 사실 SNS에 올리는 것도 대단히 피곤한 일입니다. 시간을 내서 글을 써야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려면.. 2014. 5. 21.
아시아 국가들의 높은 미국 의존도 자원도 없는 우리나라는 수출만이 살 길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믿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노력한 결과 우리나라 경제의 무역의존도는 너무 높아졌습니다. 덕분에 내수는 언제나 수출증대를 위해 뒷전으로 밀려났죠. 그리고 지금 우리가 그 결과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수출지향적 경제성장은 비단 우리나라만 그런 것이 아닙니다. 아시아 국가의 일반적인 경향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그런데 이것에 문제가 있다는 월스트리스 저널의 보도가 있었습니다. [영문] http://online.wsj.com/news/articles/SB10001424052702304163604579527483006022494 [국문] http://kr.wsj.com/posts/2014/04/28/%EC%95%84%EC%8B%9C%EC%95%.. 2014. 5. 3.
과학연구를 많이 하는 나라 과학연구는 정말로 경쟁이 치열한 분야입니다. 남들보다 하루라도 늦으면 그냥 끝입니다. 그런 스트레스 속에서 열심히 연구하시는 분들 참 대단합니다. 우리나라도 과학연구에 대해서 많은 발전이 있었습니다. 누가 과학연구를 많이 하고 있는지 측정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출판된 논문 개수를 세어보면 됩니다. 위 자료는 2011년에 나온 겁니다. 나라별로 출판된 과학논문의 개수를 원의 크기로 표시한 겁니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순위 별로 나열하면 이렇습니다. 1. 미국 310,206 2. 중국 142,645 3. 영국 90,018 4. 독일 82,550 5. 일본 68,308 6. 프랑스 57,751 7. 캐나다 49,947 8. 이탈리아 47,403 9. 스페인 43,300 10. 인도 39,385 11. 한국 .. 2014. 3. 30.
무기를 수출하는 나라와 수입하는 나라 무기 거래는 악마의 거래임이 틀림없긴 합니다. 그것은 사람을 살상하는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물건이니까요. 아무리 그것이 나쁘다고 해도 현실적으로 돈되는 물건인 이상 거래를 피할 수가 없습니다. 파는 놈과 필요한 놈이 있는데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오히려 그것이 이상할 겁니다. 출처 : http://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4/03/daily-chart-13 이 자료는 무기를 수출하는 나라의 순위와 무기를 수입하는 나라의 순위를 나열하고 각 나라의 수출입 국가를 표시한 자료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은 무기수출의 29%를 차지하고 있고, 미국의 무기수출 중 10%가 호주, 10%를 우리나라가 사들이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 자료를 통해 다음의 것들을 알 수 있.. 2014. 3. 28.
국가별 이공계 대졸자의 비율 청년들의 취직문제가 심각한 상태이고 앞으로 나아질 기미도 보이지 않습니다. 이런 와중에 대기업들은 이공계 인력을 더 많이 뽑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실 문과 계열은 경영학을 중심으로 한 몇몇 학과를 제외하고는 취업시장에서 인기가 높지 않은 것도 사실입니다. 이제는 더욱 그렇게 될 것 같습니다. 그럼 대학 졸업자 중 이공계열 졸업자는 그 비율이 얼마나 될까요? 이 자료를 국가별로 정리했습니다. 제가 한 게 아니라 OECD가 했죠. 출처 : http://www.oecd-ilibrary.org/sites/sti_scoreboard-2009-en/05/01/index.html [현재 이용불가] 대학에서 이공계열 졸업자 비율 국가간 비교 (2006년 기준, 중국만 2007) 2006년 우리나라 대졸자 중 이공계의 비.. 2014. 3. 26.
[매직그래프] 10시간 일해서 벌 수 있는 돈 우리나라 최저임금은 무척 낮은 편입니다. 이에 대한 비판은 수도 없이 많기에 여기서 따질 필요는 없습니다. 이 글에서 말씀드리고자 하는 것은 최저임금 이야기가 아니라 최저임금 문제를 지적한 어떤 자료의 문제를 지적하는 것입니다. 바로 이것이죠. 출처 : http://www.vop.co.kr/templates/infographic/10_120424_ori.jpg 이 자료는 민중의 소리라는 제가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언론사에서 만든 인포그래픽입니다. 원 출처 주소만 봐도 알 수 있듯이 2012년 04월 24일에 만든 것입니다. 제법 시간이 지났지만 최저임금 자체는 그다지 변하지 않았으니 국가별 상대적 차이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의 문제는 그래프의 높이가 잘못되었다는 겁니다. 우리나라가.. 2014. 3. 2.
우주개발 비용 경쟁 얼마 전 우리나라도 드디어 로켓을 발사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순수 우리 기술은 아니었습니다만, 이제부터 진짜 치열한 경쟁이 될 겁니다. 그럼 다른 나라들은 우주개발에 얼마나 많은 돈을 투자할까요? 그에 대한 자료가 있습니다. 출처 : http://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4/02/daily-chart-11 위 그림을 읽는 법은 이렇습니다. 지도에서 초록색으로 표시된 나라는 2003년에는 우주개발에 돈을 쓰지 않다가 그 이후에 우주개발에 뛰어든 나라들입니다. 2013년에 쓴 돈을 백만달러 단위로 표시했습니다. 새롭게 우주개발에 뛰어든 나라가 매우 많습니다.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밑에 있는 막대 그래프는 국가별로 2003과 2013년에 우주개발에.. 2014. 2. 26.
여러 나라의 결혼과 이혼율 우리나라에서 결혼은 점점 더 하기 힘든 이벤트로 바뀌고 있습니다.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는 이른바 '3포 세대'로 많이 알려져 있죠. 게다가 결혼을 했다 하더라도 이혼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럼 다른 나라들은 어떨까요? 출처 : 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4/02/daily-chart-10 두 개의 그래프가 있습니다. 일단 첫번째부터 보면, 가로축은 결혼유지 기간, 세로축은 1,000명당 이혼수입니다. 우리나라의 결혼유지 기간은 약 14년 정도이고 천명당 이혼은 약 2.5가 약간 안되는 수준입니다. 이혼이 적고 결혼유지 기간이 긴 이탈리아가 매우 인상적입니다. 그런데 이 첫번째 그래프에서 주의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저것이 평균값이라는 .. 2014.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