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료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나라는? 먹고 사는 것은 가장 중요한 문제입니다. 그리고 이제는 단순히 먹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무엇을 먹는가가 더 중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유기농이니, 무농약이니, 친환경이니 하는 마케팅용 단어들이 난무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농사를 지을 때 비료를 안 쓸 수가 없습니다. 비료는 정말로 엄청난 효과를 갖고 있습니다. 그걸 돈주고 사서 시간투자하고 인건비 들여가며 뿌리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는 법입니다. 비료는 이렇게 생산성을 크게 높여주지만 장기적으로는 토양에 그렇게 좋지는 않다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사용량의 균형을 찾아야 합니다. 그러면 지금 우리는 비료를 얼마나 사용하고 있을까요? 그리고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곳은 어디일까요? 출처 : http://blogs.wsj.com/.. 2015. 3. 24. 기자들을 감옥에 가두는 나라들 표현의 자유는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가치입니다. 하지만 어떤 나라들은 언론을 통제하려고 노력합니다. 심한 경우 기자들을 체포하고 감옥에 가두기도 합니다. 매우 어리석은 짓입니다만, 이런 일은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습니다. 그럼 어느 나라에서 얼마나 많은 기자를 감옥에 가두고 있을까요? 출처: http://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5/03/16/a-third-of-all-journalists-jailed-globally-are-being-held-in-china-and-iran-infographic 위 자료에 의하면 2014년 12월 기준으로 감옥에 갇혀 있는 모든 기자는 221명입니다. 221명의 기자들이 전세계 여러 나라의 감옥에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2015. 3. 18. 전세계 인구가 100명이라면 통계 자료들은 무미건조한 숫자들만 나열되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래서 대중성도 떨어지고 실제로 중요한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는데 실패합니다. 그래서 똑같은 자료라도 이것을 보다 더 친숙한 느낌으로 전달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그런 것들 중 비교적 흔히 쓰는 방법이 실제 사람으로 바꿔서 설명하는 방법입니다. 50%의 사람이 이렇습니다라고 말하는 것보다는 10명 중 다섯 사람은 이러합니다라고 표현하는 겁니다. 이런 방법으로 전세계 사람들을 표현하는 것이 "전세계 인구가 100명이라면" 하는 식으로 말하곤 합니다. 이런 방식은 비교적 오래된 것이라 친숙하기도 합니다. 전세계 사람이 100명이라면 이러이러한 것은 몇 명이나 될까하는 자료는 많이 있습니다만, 새롭게 정리된 것이 있어 .. 2015. 1. 10. 장기이식 많이 하는 나라 장기이식 수술은 참 대단한 기술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태어날 때 공평하게 똑같은 신체를 갖고 태어납니다. 누군 심장 두 개 갖고 태어나는 게 아니죠. 심장은 누구나 한 개씩 갖고 있습니다. 심지어 박지성마저도 말이죠. 그런데 장기이식 수술은 이 제한을 깨버렸습니다. 어떤 사람은 운이 좋다면(?) 한 개 이상의 삼장을 가질 수도 있게 된 것입니다. 장기이식을 받으려면 장기를 기부하는 사람이 있어야만 합니다. 자기가 아무리 급하다고 해도 남의 것을 함부로 빼앗을 수는 없는 일이죠. 그래서 장기이식이 많이 일어난다는 것은 결국 장기를 기부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과 거의 같은 말이 될 겁니다. 그렇다면 어떤 나라에서 장기이식을 많이 할까요? 출처 : http://www.economist.com/blogs/grap.. 2015. 1. 2. 나라 별 학생들이 숙제하는 시간 학교 다닐 때는 숙제가 참 하기 싫었습니다. 다들 마찬가지였을 겁니다. 요즘에는 옛날보다 숙제 분량이 많이 줄어든 것 같습니다. 더 다양한 활동을 권장한다는 측면에서는 나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봅니다. 그럼 다른 나라 학생들은 어떠할까요? 얼마나 많은 시간을 숙제하는데 보낼까요? 이것을 비교할 수 있는 자료가 있어 가져와 봅니다. 출처 : https://www.oecd-ilibrary.org/education/does-homework-perpetuate-inequities-in-education_5jxrhqhtx2xt-en 이 그림은 여러 나라 학생들이 숙제하는데 들어가는 시간이 일주일에 얼마나 되는지를 조사한 겁니다. 그런데 나라 별로 표시가 네모, 마름모, 세모 세 가지씩 있습니다. 마름모는 그 나.. 2014. 12. 31. 더 많은 원자로를 원하는 중국 원자력발전, 거대한 논란을 유발하는 주제입니다. 후쿠시마의 재앙을 모든 사람들이 목격한 이상, 과거처럼 원자력발전을 강력하게 밀어부치는 것은 위험한 일로 여겨질 뿐만 아니라 매우 어려운 일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강원도에 새로운 원자력발전소를 짓겠다는 계획은 주민들과 큰 마찰을 빚고 있기도 합니다. 대재앙의 당사자인 일본은 당연히 원자력발전에 대한 계획을 재검토 했습니다. 그리고 다른 여러 나라들 역시 원자력발전에 대한 위험성의 수준을 이전보다 적극적으로 인정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세계적 경향을 무시하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중국입니다. 출처 : http://www.wsj.com/articles/china-moves-to-keep-nuclear-work-local-1418669373 위 그림.. 2014. 12. 19. 강한 군대를 보유한 상위 35개국 많은 나라들이 국방에 큰 신경을 쓴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강력한 군대가 필요한 나라들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물론 우리나라는 국방에 매우매우 많은 신경을 써야 하는 나라이긴 합니다만, 세상에는 아예 스스로 군대를 없애버린 나라도 있습니다. 국경을 감시하는 소규모 인력을 제외하면 사실 상 군대가 필요없는 나라도 제법 많습니다. 그래서 사실 군사력에 많은 투자를 하는 나라들은 알고보면 다들 그들만의 리그입니다. 그래서 상위 35개 국가의 군사력 순위를 보여주는 자료가 있어 소개해 봅니다. 출처 : http://www.businessinsider.com/the-worlds-most-powerful-militaries-2014-12 매우 크기가 큰 그림입니다. 클릭해서 확대해서 봐야 합니다. 위 자료는 군사력.. 2014. 12. 13. 저유가의 희비 요즘 주유소의 휘발유 가격이 제법 많이 내려갔습니다.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이런 상황이 오리라곤 생각도 못했습니다. 이렇게 휘발유 가격이 내려가게 된 가장 큰 이유는 국제유가가 많이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정말 많이 떨어졌습니다. 갑작스럽게 폭락에 가까울 만큼 내려간 유가는 꼭 좋기만 한 것만은 아닙니다. 언제나 그렇듯, 급격한 변화는 위기를 동반하기 마련입니다. 낮은 국제유가의 상황과 그것으로 인해 여러 나라들의 손익 계산이 분주합니다. 이에 대한 자료 몇 가지를 모아 봅니다. 출처#1 : http://www.economist.com/news/international/21627642-america-and-its-friends-benefit-falling-oil-prices-its-most-striden.. 2014. 12. 12.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