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동시간이 가장 긴 나라는 어디일까?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인 통계치가 몇 가지 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런 것들은 부정적인 것들이 많습니다. 노동시간도 그런 것 중 하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업무환경은 근무시간이 지나치게 깁니다. 세계에서 가장 일을 많이 하는 나라였습니다. 지금도 그럴까요? 이젠 좀 변하지 않았을까요? 출처 : https://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5/04/21/these-countries-have-the-most-annual-working-hours-infographic-3/ 2013년 OECD 자료로 작성된 통계자료입니다. OECD가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나라 중에서 1년간 노동시간이 가장 긴 나라는 멕시코입니다. 우리나라는 그 다음으로 2등입니다. 세계 1등은 아니니 그.. 2015. 5. 5.
노조의 임금상승 기여와 노조조직율 다른 곳보다 더 많은 월급을 주는 회사는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 회사는 왜 더 많은 임금을 지급할까요? 작은 회사라면 경영자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만, 규모가 커지고, 다양한 주주가 관여하게 되면 기업은 자연스럽게 효율성을 추구하게 되고 직원들의 임금을 맘대로 올려줄 수가 없게 됩니다. 어떤 외부적 요인이 강제적으로 개입해야만 변화할 수 있는 구조가 됩니다. 그런 요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노조의 존재입니다. 노조가 있는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평균적으로 임금이 더 높습니다. 그렇다면 회사 내에 노조가 설립되어 정상적으로 운영된다면 그 회사 직원의 월급은 노조가 존재하지 않았을 때보다 얼마나 더 상승할까요? 이에 대한 최근의 답은 최대 12%라고 발표되었습니다. 출처 #1 .. 2015. 1. 18.
나라 별 학생들이 숙제하는 시간 학교 다닐 때는 숙제가 참 하기 싫었습니다. 다들 마찬가지였을 겁니다. 요즘에는 옛날보다 숙제 분량이 많이 줄어든 것 같습니다. 더 다양한 활동을 권장한다는 측면에서는 나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봅니다. 그럼 다른 나라 학생들은 어떠할까요? 얼마나 많은 시간을 숙제하는데 보낼까요? 이것을 비교할 수 있는 자료가 있어 가져와 봅니다. 출처 : https://www.oecd-ilibrary.org/education/does-homework-perpetuate-inequities-in-education_5jxrhqhtx2xt-en 이 그림은 여러 나라 학생들이 숙제하는데 들어가는 시간이 일주일에 얼마나 되는지를 조사한 겁니다. 그런데 나라 별로 표시가 네모, 마름모, 세모 세 가지씩 있습니다. 마름모는 그 나.. 2014. 12. 31.
여러 나라들의 세대별 대학졸업자 비율 우리나라의 높은 교육열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도 공식적인 자리에서 한국의 교육을 좋게 평가한 적이 수차례 있을 정도입니다. 그런데 정작 우리 스스로는 우리나라의 교육에 대해 큰 불신을 갖고 있는 것도 역시 사실입니다. 우리나라의 대학진학율을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그러니 당연히 대학을 졸업한 사람도 세계 최고 수준일 겁니다. 그럼 우리나라는 예전부터 그랬을까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출처 : https://www.economist.com/graphic-detail/2014/07/02/more-educated 위 그래프는 여러 나라들의 세대별 대졸자 비율을 표시한 그래프입니다. 맨 위에 우리나라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를 자세히 보면 이렇습니다. 25~34세 인구의 약 65%는 대학을 .. 2014. 7. 9.
경제위기 후 국가별 가처분 소득의 변화 월급이 통장에 스쳐간다고들 합니다. 돈이 들어와봤자 여기저기서 "퍼가요~~"를 외치니 월급을 받아도 정작 쓸 돈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실제로 당장 소비할 수 있는 돈, 즉 가처분 소득이 얼마나 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중요합니다. 2008년 경제위기로 많은 나라들이 고생했고, 가처분 소득은 당연히 줄어들거나 아니면 성장세가 둔화될 수밖에 없을 겁니다. 그럼 어떤 나라들이 어떻게 영향을 받았는지를 비교해 보면 좋겠지요. 출처 : 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4/06/daily-chart-13 2007~2011년 사이에 나라별 가처분 소득의 변화량을 표시한 그림입니다. 맨 위에 있는 폴란드를 보면 이런 이야기가 됩니다. 폴란드의 상위 10%의 부자들은 2.. 2014. 6. 21.
부모가 재산이 있어야 하는 이유 어버이날입니다. 부모님과 가족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보내는 좋은 날입니다. 가족이라는 게 가장 가깝지만, 그래서 더 어려운 관계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가족은 그 의미가 조금은 애매합니다. 전통적인 가족의 이미지가 여전히 남아있지만 가족과 함께 무엇을 하는 것이 참 힘듭니다. 일단 함께 할 절대적인 시간조차 너무 부족하게 살고 있죠. 문득, 기억난 오래전 뉴스 하나 소개해 드립니다. 출처 : [SBS] [포커스] "한국만 부모 돈 없으면 자녀가 외면" 출처 : [경향] 동방불효지국?… 부모 ‘돈’ 없으면 자식 발길 뚝 2007년 12월에 보도된 내용입니다. 기사의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이렇습니다. 숭실대 정재기 교수의 최근 연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자녀와 따로 사는 60대 이상.. 2014. 5. 8.
우리나라 교사의 연봉은 높은 편일까? 선생님은 제법 괜찮은 일자리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교대의 경쟁률이나, 중매시장에서 교사의 인기 등을 고려해보면 그렇습니다. 일자리로서 교사는 대단히 안정적이긴 합니다. 그러나 최근 실제 학교 현장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보면 그 일자리가 결코 쉬운 일로는 여겨지지 않습니다. 그럼 다른 나라들은 어떨까요? OECD국가들 기준으로 각 나라에서 대졸자 평균연봉과 비교했을 때 그 나라 교사의 연봉은 과연 얼마나 높을까요? 선생님이라는 업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한 나라별 차이를 간접적으로나마 비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출처 : https://qz.com/196866/no-american-teachers-arent-overpaid-at-least-among-wealthy-countries/ [번역] 위 그래.. 2014. 4. 21.
우리나라 자살 문제의 핵심은 노인빈곤 우리나라가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자살률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입니다. 그만큼 살기 힘든 사회이라는 뜻입니다. 흔히들 그러죠. 돈 많으면 가장 살기 좋은 곳이 대한민국이라고. 그 의미는 돈이 없으면 정말로 살기 힘든 험난한 곳이 바로 대한민국인라는 뜻이기도 할 겁니다. 우리나라 자살률과 자살자수의 연도별 추이 위 그림만 봐도 우리나라의 자살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83년도에 전체 자살자수가 8,700명 정도였지만 2009년에는 무려 3만 명이 넘어가고 있습니다. 이 정도면 당연히 OECD 1위를 기록할 만 합니다. 어찌되었든, 자살자 수와 자살률이 증가했습니다. 도대체 어떤 사람들이 자살을 더 많이 하게 되었을까요? 2000년대 이후 자료만 보.. 2014. 4.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