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라별 가계소득 불평등 심화 경향 경제적 양극화에 대한 이야기는 여러 번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오랜만에 다시 이 주제입니다. 여러 나라들의 가계소득을 중심으로 불평등 심화 경향을 보여주는 자료입니다. 많은 정보가 들어있는 인터랙티브 자료입니다. 출처 : https://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6/04/daily-chart-17 위 그래프에는 여러 나라들이 등장합니다. 2005년 구매력기준으로 환산된 금액을 따집니다. 위에 나타난 금액은 가처분 가계소득입니다. 가처분 가계소득이 1980년부터 2015년까지 어떻게 변했는지를 10분위 단위로 구분해서 보여줍니다. 그리고 청록색 선은 99%, 즉 상위 1%의 사람들의 소득변화를 보여줍니다. 그리고 소득(income), 성장률(growth), 불.. 2016. 5. 4.
우리나라의 육류 소비량 육류는 중요합니다. 고기는 언제나 진리고, 고기가 우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합니다. 아무튼 고기는 그런 존재입니다. 가난해서 먹고살기 힘든 시절은 이제 지나갔습니다. 어느 정도 경제적 여유가 있으니 가끔은 고기를 먹고 살 수 있습니다. 그럼 우리나라 사람들은 충분히 많은 고기를 먹고 있을까요? 우리나라가 경제력을 대충 전세계 10위권 안팎으로 본다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먹는 고기의 양도 그 정도는 되어야 합니다. 그럼 우리나라 사람들은 얼마나 고기를 먹고 있을까요? 그리고 다른 나라들은 어떨까요? 출처 : https://data.oecd.org/agroutput/meat-consumption.htm 위 그래프는 OECD국가들의 국민 1인당 년간 고기 소비량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고기는 소고기,.. 2016. 4. 9.
인도와 중국의 비만 증가 경제가 성장하면 사람들의 영양상태가 호전되고, 더 나아가 과잉 섭취하게 됩니다. 그러면 사람들이 비만이 됩니다. 따라서 선진국일수록 비만인 사람이 더 많은 것은 당연한 결과입니다. 그러므로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는 나라에서는 비만 인구도 빠르게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는 대표적인 나라는 바로 중국과 인도이므로 이 두 나라에서 비만 인구가 증가할 것은 당연합니다. 문제는 얼마나 빠르게 늘어나는가입니다. 또한 이 두 나라는 인구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두 나라입니다. 그러므로 이 문제는 더욱 중요해질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wsj.com/articles/BL-IRTB-31795 위 그래프는 인도, 중국, 미국 세 나라의 비만 인구 변화를 보여.. 2016. 4. 7.
태양광 발전을 많이 하는 나라들 에너지 문제는 인류가 해결해야 할 최우선 과제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에 해당합니다. 요즘 추세는 전기의 형태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온갖 방법을 모두 고려하게 됩니다. 그 중에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그나마 가장 좋은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지금 시점에서 태양에너지 활용이 경제적으로 그렇게 뛰어나다고 평가하긴 어렵지만 그래도 친환경적인 속성까지 고려하면 태양에너지의 활용은 적극적으로 권장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럼 어느 나라가 태양으로부터 많은 전기를 생산하고 있을까요? 출처 : https://www.technologyreview.com/s/601053/solar-is-a-booming-business-but-its-still-not-generating-m.. 2016. 3. 25.
줄어들고 있는 세계 산림 면적 숲과 나무가 사람에게 얼마나 중요한 존재인지 따로 설명하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식목일이라는 날을 따로 만들어서 나무를 더 많이 심으려고 노력하는 것만 보아도 숲과 나무의 가치는 어마어마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입니다. 더 많은 개발이 이루어짐으로써 울창했던 숲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전세계적 차원에서 보자면 이 과정은 점점 더 빨리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과거에 경제적으로 힘들었던 나라들이 선진국들이 했던 것처럼 산업을 발전시키겠다고 하는 것은 그 자체로 비난하기 어렵습니다. 사실 그동안 자연을 훼손함으로써 얻은 이익은 대부분 선진국의 몫이었으니, 이제와서 그 경로를 따르지 말라고 하는 것은 참 부당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가 참 쉽지 않습니다. 아무튼, 전세계적으로 숲.. 2016. 3. 24.
젊은이들이 많은 나라들 전세계적으로 현재 가장 중요한 사회적 문제나 변화를 꼽으라고 한다면 아마도 고령화와 실업, 이 두 가지가 선택될 겁니다. 웬만한 나라들이 모두 이 문제들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고령자의 인구비율이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청년들의 수가 크게 감소합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년들은 일자리를 얻지도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어찌보면 다소 모순적인 것처럼 들릴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어떤 나라들은 젊은이가 많아서 문제이기도 합니다. 정확히 말합시다. 단순히 젊은이가 많아서가 아니라 일자리를 얻지 못한 젊은이들이 너무 많아서 문제인 나라들이죠. 출처 : https://www.nytimes.com/2016/03/06/sunday-review/the-world-has-a-problem-too-many-you.. 2016. 3. 21.
모국을 떠나 외국에서 사는 사람이 많은 나라들 자신이 태어난 나라를 떠나 다른 나라에서 살아간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아무리 좋게 평가하더라도 타국에서는 누구나 이방인일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세계가 복잡하게 연결되고 이동이 이전보다는 간단해지면서 새로운 기회를 찾아 과감하게 자신의 고국을 떠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렇다면 어느 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고국을 떠나 다른 나라에서 사는 사람들이 많을까요? 출처 : https://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6/01/15/the-countries-with-the-most-native-born-people-living-abroad-infographic/ 2014년 기준, OECD의 자료를 기초로 만들어진 그림입니다. 1위는 아일.. 2016. 3. 12.
넓은 배타적 경제수역을 확보한 나라들 자국의 영토라고 하면 흔히 육지만으로 생각하지만 바다도 땅만큼 중요한 영토입니다.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더 넓은 바다를 차지하기 위한 노력은 가끔 심각한 갈등으로 발전하기도 합니다. 중국과 일본이 최근 조그만 섬을 두고 벌이고 있는 갈등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그 조그만 섬 하나 때문에 엄청난 영역의 바다가 왔다갔다 합니다. 그럼 어느 나라가 더 많은 바다를 확보하고 있을까요? 출처 : https://www.economist.com/graphic-detail/2016/01/13/drops-in-the-ocean-frances-marine-territories 위 그림에는 각 나라별로 두개의 원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위에 표시된 원의 크기는 그 나라의 육지 면적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아래에 있는 파란.. 2016.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