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국가들은 서로를 어떻게 생각할까? 유럽에서는 여러 나라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 그래서 서로가 서로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조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 유형의 조사를 아시아 국가들에게 하면 재미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그런 조사가 있습니다. 출처 : http://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5/09/daily-chart-14 클릭해서 원래 크기로 보세요. 왼쪽은 해당 국가 사람들이 일본, 중국, 인도, 한국에 대해 어느 정도 호감을 갖고 있는지를 조사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맨 위에 있는 말레이시아 사람들은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80%가 넘습니다. 80%가 넘는 말레이시아 사람들이 일본을 좋아한다고 답한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60%정도 되는군요. .. 2015. 9. 21. 중국으로 수출하는 비중이 높은 나라 어제 중국의 원자재 소비 비중이 얼마나 대단한지를 소개했습니다. 그리고 이어서 자국 경제의 중국 의존도가 높은 나라들들 소개해 봅니다. 이 자료를 소개하는 이유는 의외의 나라가 하나 들어 있어서 그렇습니다. 저만 몰랐던 것일 수도 있겠지요. 출처 : http://www.economist.com/news/briefing/21662581-stockmarket-turmoil-china-need-not-spell-economic-doom-it-does-raise-questions-far 위 지도는 중국으로 수출하는 비중이 높은 나라들을 색깔 별로 구분해 놓은 그림입니다. 보는 방법은 이렇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은 연두색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연두색은 0~10%를 뜻합니다. 이는 미국이 다른 나라로 수출하는 전.. 2015. 9. 1. 중국의 원자재 소비 비중 중국이 세계 경제에서 중요한 한 축이 된 것은 이미 오래 전입니다. 그리고 그 규모와 영향력은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중국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짐작하는 여러 가지 지표들이 있습니다만 그중에서도 실제로 중국에서 소비되고 있는 원자재의 실제 양을 살펴보는 것도 매우 유용합니다. 출처 : http://www.wsj.com/articles/china-remains-a-key-commodities-player-despite-waning-appetites-1440534872 클릭해서 큰 그림으로 보세요. 위 그림은 여러 원자재들이 중국에서 얼마나 소비되고 있는지를 나타낸 그림입니다. 가장 비중이 높은 알루미늄을 봅시다. 중국이 전세계 알루미늄의 54%를 소비합니다. 대부분은 이를 가공하여 새로운 제품.. 2015. 8. 31. 중국 증시 폭락의 충격 최근 중국 주식시장이 크게 하락했습니다. 하락했다는 정도가 아니라 엄청난 폭락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연쇄적으로 그 효과가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을 고려하면 파급효과는 엄청날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번 중국 증시 폭락이 어느 정도 규모였을까요? 과거 경험했던 사건들과 비교하면 그 충격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5/08/daily-chart-9 왼쪽에는 2015년 중국 주가지수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림만 봐도 엄청난 변동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이 불과 몇 달 사이에 벌어졌습니다. 오른쪽에는 이 중국의 변동이 과거 거대한 사건과 비교하면 어느 정도 충격인지를 그 손실을 기준으.. 2015. 8. 27. 라틴 아메리카에서의 여권 신장 양성 평등은 지극히 당연한 말이지만 생각보다 그 변화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과거의 문화적 전통이 여전히 발목을 잡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최근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서의 변화가 크다고 합니다. 출처 : http://www.economist.com/news/americas/21661800-latin-american-women-are-making-great-strides-culture-not-keeping-up-wonder-women-and 3개의 그래프가 있습니다. 왼쪽부터 살펴봅시다. 이것은 남녀의 노동시장 참여율을 나타냅니다. 가정주부로 집에 있으면 노동시장에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분류됩니다. 반면 더 많은 여성이 자신의 직업을 갖고 커리어를 키워가면 노동시장에 참여한 것으로 계.. 2015. 8. 24. 전 세계 GDP를 한눈에 파악하기 숫자만 나열된 복잡한 자료들을 쉽게 빠르게 이해할 수 있는 정보 전달 방법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인포그래픽이라고 부르기도 하지요. 세계 여러 나라들의 GDP와 그 구성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자료가 있어 소개해 봅니다. 출처 : http://www.visualcapitalist.com/the-world-economy-in-one-visualization/ 클릭해서 원래 크기로 보세요. 위 그림은 세계 전체의 GDP 중 해당 국가가 차지하는 혹은 기여하는 비율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크기 별로 그린 그림입니다. 게다가 원형으로 만들어 지구처럼 보이도록 했습니다. 이런 디자인 센스는 정말 대단합니다. 한눈에 봐도 미국의 GDP가 엄청남을 알 수 있습니다. 전 세계의 1/4를 미국이 책.. 2015. 8. 20. 한국 소비자들의 체감경기는 절망적 소비자 신뢰지수라는 값이 있습니다. 이것은 앞으로 경기전망에 대한 개인들의 심리를 조사하여 평가하는 수치입니다. 스스로 생각하기에 앞으로 경기가 좋아지거나 자신의 소득이 증가할 것 같다면 앞으로 소비를 늘릴 것입니다. 이것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소비자 신뢰지수입니다. 한마디로 개인들의 체감경기를 알아보는 것입니다. 객관적인 지표를 보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심리상태를 반영하는 주관적인 지표에 대한 신뢰는 의문시될 수 있겠습니다만, 경제라는 것이 기본적으로 심리게임인 측면이 존재하는 이상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한다면 실제로 그것이 실현될 가능성도 높습니다. 아무튼 이런 소비자 신뢰지수를 조사했더니 우리나라가 가장 나쁘게 평가되었습니다. 출처 : http://blogs.wsj.com/economics/.. 2015. 8. 11. 세계 GDP 성장에서 가장 비중이 큰 세 나라 어떤 방식이든 새롭게 부가가치가 만들어지면 GDP가 커집니다. 그러므로 GDP는 가장 기본적인 거시지표가 됩니다. 보통은 한 나라를 단위로 GDP를 계산하는데 그것을 전세계로 확대시키면 어떻게 될까요? 그리고 거기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나라들은 어디일까요? 출처 : http://www.economist.com/news/economic-and-financial-indicators/21654018-world-gdp 최근 몇 년간의 세계 GDP 상승율을 표시한 자료입니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는 상승하는 정도가 작아지는 추세입니다. 그 이후까지 함께 보아도 크게 보면 하향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계 경제가 안좋다는 사실은 간단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제 세계 GDP 성장에서 어떤 나라들이 많은.. 2015. 8. 9.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