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에 대한 투자와 중국의 투자 중국이 가장 중요한 단일한 경제권으로 부상한지는 한참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제 중국은 새로운 단계로 진입을 앞두고 있는 중요한 변화의 시기입니다. 단순히 싸게 만들어서 많이 파는 단계를 지나 기술을 선도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는 그런 단계입니다. 경제가 발전하면 당연히 거쳐가야 하는 것이죠. 이 과도기를 어떻게 넘기는가에 따라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가 큰 영향을 받게 됩니다. 중국이 바로 이 단계에 접어들었음을 보여주는 간단한 자료가 있어 소개해 봅니다. 출처 : https://www.project-syndicate.org/commentary/china-g20-summit-investment-framework-by-justin-yifu-lin-2016-08 PC에서는 클릭하면 큰.. 2016. 8. 6.
서울의 공기 질은 위험수준 최근 미세먼지가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몇 년 전만 하더라도 미세먼지라는 단어는 듣기 힘든 용어였습니다만, 이젠 일기예보와 함께 등장하는 생활 필수 단어가 되었습니다. 그만큼 최근 우리나라 공기가 나빠졌다는 뜻입니다. 그것의 원인이 중국이든 한국이든 그건 그 다음 문제입니다. 일단 당장 우리가 숨쉬고 있는 공기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부터 파악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세계 여러 도시들의 공기 오염 정도를 측정 비교한 자료가 있어 소개해 봅니다. 결론적으로 서울은 공기가 가장 나쁜 도시였습니다. 출처 : http://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6/08/daily-chart PC에서는 클릭하면 큰 그림으로 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 자료는 이산화질소 농.. 2016. 8. 4.
웬만한 나라보다 더 거대한 소셜 네트워크 소셜 네트워크, 간단히 SNS라고 부르는 사이트들의 규모가 어마어마하게 성장했습니다. 거대한 규모에 비례해서 그들의 영향력도 함께 커지고 있습니다. 이제 웬만한 나라들보다 웹사이트의 규모가 더 거대한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그럼 이 거대 SNS의 규모는 어느 정도나 될까요? 출처 : https://www.weforum.org/agenda/2016/04/facebook-is-bigger-than-the-worlds-largest-country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MAU 기준입니다. 그러니까 한달에 한번이라도 로그인한 사람을 기준으로 사용자 숫자를 추산한 자료입니다. 회색 막대가 국가를 나타내고, 색상이 입혀진 막대가 SNS들입니다. 가장 많은 사용자를 확보한 사이트는 단연 페이스북입니다. MAU가 무려 14.. 2016. 7. 30.
트럼프의 대통령 당선은 경제적 재앙 이제 공식적으로 도널드 트럼프와 힐러리 클린턴 모두 미국 양당의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었습니다. 본격적인 게임의 시작입니다. 하지만 갈수록 클린턴에 대한 이미지가 더 나아지지 않고 있고, 샌더스를 강하게 지지하는 사람들이 아직도 클린턴의 발목을 잡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이러다가 정말로 브렉시트와 비슷한 결과가 나오지 않을지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만약 트럼프가 대통령이 된다면 감당하기 힘든 변화가 시작될 겁니다. 문제는 그 변화의 방향이 더 나아지는 것이 아니라 갈등을 부추기는 양상이 될 것이라는 점입니다. 가뜩이나 어려운 세계경제를 더 힘들게 만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어떤 경제 전문가 그룹은 트럼프의 대통령 당선을 큰 경제적 위기라고 주장합니다. 이렇게 말입니다. 2016년 8월 시점을 기준으로 예.. 2016. 7. 28.
일본, 한국, 그리고 중국의 경제성장 한국, 일본, 중국 이 동아시아 세 나라는 참 여러 모로 다르면서도 비슷합니다. 경제 성장의 과정 역시도 비슷비슷한 경로를 거치고 있습니다. 일본과 한국은 엄청난 고도 성장을 경험했고, 이어 거품이 터지면서 고통스러운 경제위기도 겪었습니다. 그렇다면 중국의 경제도 그렇게 될까요? 미래는 아무도 알 수 없는 것이긴 하지만, 어쨌든 이 세 나라는 참 비슷한 경제성장의 경로를 밟아 왔습니다. 이렇게 말입니다. 출처 : https://www.project-syndicate.org/commentary/how-slow-will-china-go-by-lee-jong-wha-2016-07 클릭해서 큰 그림으로 보세요. 가로축은 시간입니다. 1950년부터 2015년까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세로축은 국민 1인당 GDP입니.. 2016. 7. 21.
세계 여러 나라에서 트럼프의 인기도 미국 대선은 힐러리 클린턴과 도널드 트럼프의 양자 대결로 압축되었습니다. 하지만 힐러리의 승리를 예측하는 곳들이 대부분입니다. 선거에서는 누가 이길 것인가가 가장 중요한 문제이긴 합니다만, 이번에는 다소 다른 양상도 보입니다. 왜냐하면 트럼프라는 사람은 앞으로 이런 사람이 또 대통령 선거 유력후보로 나올 수 있을까 의심스러울 만큼 특이한 인물이기 때문입니다. 그의 이상한 발언과 편견 가득한 주장을 보면 그가 유력 후보라는 것이 믿기지 않습니다. 그 과정이야 어찌되었든 그는 미국 공화당의 대선후보입니다. 그렇다면 다른 나라 사람들은 트럼프라는 인물에 대해 어떤 평가를 하고 있을까요? 아마 대체로 부정적인 평가일테지만 얼마나 부정적일까요? 출처 : https://www.forbes.com/sites/nial.. 2016. 7. 13.
은퇴가 사라진 시대 정년이라는 용어는 이제 점점 더 구시대의 유물로 바뀌고 있습니다. 평생고용이라는 말이 사라진 것처럼 말입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은퇴가 존재하지 않는 시대가 되고 있습니다. 다음 직장과 직업이 있을 뿐 일을 그만두는 상태는 도래하지 않습니다. 투잡은 기본이고, 지금의 업이 언제까지 이 세상에서 유효할 것인지도 파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10년 쯤 후에 지금 일하고 있는 기업이 그때에도 존재하고 있을지 혹은 아예 직종 자체가 사라지지 않을지 아무도 장담할 수 없는 시대입니다. 그러니 자연스럽게 다음을 고민할 수밖에 없고 은퇴라는 것은 큰 한방을 성공시킨 극소수의 사람들에게만 해당하는 꿈같은 이야기가 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그렇게 되어가고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forbes.com/site.. 2016. 6. 19.
중국을 능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인도의 인구 현재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는 중국입니다. 하지만 중국은 빠른 경제성장의 결과로 이제는 예전처럼 높은 출산력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얼마 전 한 자녀 정책을 포기하기도 했지만 그 결과가 반영될 시기는 한참 후입니다. 그러니 중국의 인구 증가 속도는 점점 더 느려질 것입니다. 그러나 인도는 그렇지 않습니다. 인도의 경제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아직 중국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는 앞으로 인도의 발전 가능성이 더 많이 남아 있다는 뜻이고, 현재의 인구 증가 속도도 당분간 줄어들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합니다. 그럼 인도가 중국의 인구를 추월하는 날은 언제쯤 올까요? 출처 : https://www.weforum.org/agenda/2016/06/when-will-india-have-more.. 2016. 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