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달러는 언제부터 세계 기축 통화가 되었을까? 각 나라마다 고유한 화폐를 발행합니다. 화폐를 발행하는 권리야말로 해당 국가의 가장 강력한 권리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다양한 모든 화폐의 가치가 모두 똑같은 것은 아닙니다. 적어도 아직까지는 미국 달러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화폐임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그럼 언제부터 미국 달러가 이런 지위를 얻게 되었을까요? 출처 : https://www.economist.com/finance-and-economics/2015/10/03/taking-a-pounding 역사 시간에 배운 기억을 돌이켜보면 과거 가장 강력했던 자본주의 국가는 단연 영국이었습니다. "해가 지지않는 나라"라는 표현을 들어온 기억이 있을 겁니다. 그게 바로 영국이었죠. 그러니 그 시절 가장 중요하고 안정적인 표준 화폐는 영국의 파운.. 2016. 1. 14.
비만에 대한 국가 별 자기 인식 새해에 하는 다짐에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다이어트입니다. 저도 마찬가지이긴 합니다. 그만큼 현대 사회에서 몸을 관리하고 비만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은 중요해졌습니다. 비만에 대해서는 자기 인식이 매우 중요합니다. 객관적으로 몸무게가 어느 정도인가가 아니라 스스로를 어느 정도 비만의 상태로 인식하는지가 다이어트의 동기부여를 위해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이런 비만에 대한 자기인식은 나라 별로 어떨까요? 이에 대해 아주 인상적인 자료를 하나 소개합니다. 출처 : https://www.economist.com/graphic-detail/2016/01/06/the-weight-of-the-world 클릭해서 크게 보시면 좋습니다. 위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실제 비만한 사람들의 비율입니다. 오른쪽 아래에 있.. 2016. 1. 10.
수소폭탄 실험을 한 나라들 며칠 전 북한 또 큰 것을 하나 터뜨렸습니다. 그들은 수소폭탄이라고 주장합니다만, 아직 확실히 확인된 것으로 보이진 않습니다. 하지만 이전에 여러 차례 시행된 핵실험으로 북한이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기정사실로 인정됩니다. 여기에 수소폭탄까지 사실로 확인된다면 참으로 무서운 일입니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어느 나라들이 수소폭탄 실험에 성공했을까요? 수소폭탄이 실제로 사용된 적은 없지만 그래도 실험에 성공했다는 것은 그것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과 거의 같은 의미일테니 수소폭탄을 보유한 나라라고봐도 무방할 것입니다. 출처 : https://www.washingtonpost.com/news/worldviews/wp/2016/01/06/map-the-countries-believed-to-have-teste.. 2016. 1. 9.
인구를 기준으로 그린 세계지도 세계지도는 매우 익숙하실 겁니다. 면적이 넓은 러시아, 캐나다, 미국, 중국 같은 나라들이 있습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미국의 한 주보다도 작은 나라입니다. 하지만 인구밀도는 대단히 높습니다. 그렇다면 땅 넓이가 아니라 인구를 기준으로 세계지도를 그리면 어떻게 될까요? 중국과 인도가 가장 큰 나라로 나오는 것이 당연하겠지만 그밖에 다른 나라들은 어떨까요? 출처 : http://www.vox.com/2015/1/27/7918377/population-cartogram 매우 큰 그림입니다. 클릭해서 원본 크기로 보셔야 합니다. 그래도 크니 이리저리 잘 움직이면서 살펴보세요. 누구나 예상할 수 있듯이, 중국과 인도가 어마어마하게 나왔습니다. 뭐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반면, 아메리카, 아프리카, 유럽의 나라들은.. 2016. 1. 5.
2016년 리우 올림픽 메달 순위 전망 올해 2016년은 올림픽이 열리는 해입니다. 이번에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올림픽이 개최됩니다. 줄여서 리우 올림픽이라고 합시다. 이번 올림픽에서 어느 나라가 몇 개의 메달을 획득할지에 대한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단순 예측일 뿐이지만 일단은 이렇다고 합니다. 출처 : https://web.archive.org/web/20160201155407/http://www.theworldin.com/article/10456 금메달이 더 많은 나라가 더 높은 순위를 차지하는 방식입니다. 우리나라도 보통 이런 방식으로 순위를 집계합니다. 역시 1등은 미국입니다. 금메달 40개로 압도적입니다. 금 34개로 중국이 2등, 금 26개로 러시아가 3등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그 다음 독일까지, 이렇게 4개 나라가 최상.. 2016. 1. 4.
2016년의 국가부채 새해가 시작되었습니다. 저는 그다지 큰 의미를 두지 않습니다만, 많은 사람들이 12월 31일과 1월 1일의 변화가 날짜가 바뀌는 다른 경우와는 크게 다르다고 생각하니 저도 보조를 맞추는 정도로만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가 바뀌는 하루의 차이가 얼마나 클지는 몰라도 이전에 하던 것은 계속해야 하고, 하기로 약속했던 것도 계속 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해야만 하는 것중에 하나가 바로 빚 갚는 것입니다. 해가 바뀐다고 빚이 초기화되면 얼마나 좋을까요? 하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런데 국가의 경우는 다릅니다. 국가의 빚은 개인의 빚과 달라서 배를 째는 것도 상황에 따라 필요한 것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런 상황을 흔히 디폴트라고 부릅니다. 그럼 올해 디폴트의 위기가 높은 나라들은 어디일까요.. 2016. 1. 2.
전 세계 국가들의 빚 부채가 참 문제입니다. 가계부채도 그렇고, 국가부채도 그렇습니다. 개인이나 가계에서 빚을 지는 것은 보통 부정적으로 여겨집니다. 그러나 국가 단위에서는 그렇진 않습니다. 적절하게 관리된다면 빚을 내는 것은 제법 괜찮은 정책수단입니다. 바로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죠. "적절하게 관리된다면" 이게 문제입니다. 과연 어느 정도의 빚이 적절한지, 어떻게 계획을 세우고 실행해야 잘 관리되는 것인지 모호한 측면이 있습니다. 아무튼 현재 전 세계 많은 나라들이 큰 빚을 지고 있습니다. 그럼 어느 나라가 얼마나 많은 빚을 지고 있는지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그림이 있어 소개합니다. 출처 : https://www.visualcapitalist.com/60-trillion-of-world-debt-in-one-visuali.. 2015. 12. 17.
중국인 관광객이 돈을 많이 쓰는 나라 우리나라가 관광으로 유명한 나라는 아닙니다만 그래도 우리나라 관광산업을 먹여살리는 분들은 중국 관광객들입니다. 이분들이 한국에 와서 쇼핑해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감사할 따름이죠. 어떻게 보면, 우리나라가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깝다는 점이 정말 유리한 장점입니다. 그럼 중국 관광객들은 어느 나라에서 돈을 가장 많이 쓸까요? 출처 : https://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5/12/09/the-worlds-highest-spending-holidaymakers-infographic/ 중국 관광객이 가장 돈을 많이 쓰는 나라는 중국입니다만, 이건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니 넘어갑시다. 중국 관광객이 돈을 가장 많이 쓰는 곳은 미국입니다. 2014년에 무려 1,108억 달러.. 2015. 1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