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라별 광통신망 보급 현황 인터넷 속도만 따진다면,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점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나라들에 비하면 저렴하면서도 속도는 매우 빠릅니다. "Warning......"이라는 곳이 강력하게 버티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만, 어쨌든 물리적으로는 그렇습니다. 그럼 광통신망은 어떨까요? 속도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광통신망이 얼마나 많이 깔려 있는지는 그 정도를 비교해 보는 것입니다. 현재 세계 여러 나라들의 광통신망 보급은 이 정도라고 합니다. 2015년 기준, 인터넷을 매달 돈내고 쓰고 있는 사람들 기준으로 봤을 때, 일본이 세계 1등입니다. 72.6% 인터넷 이용자가 광통신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이 우리나라입니다. 69.4%입니다. 큰 차이는 아닙니다. 이렇게 일본과 한국이 최상위권을 형성하고.. 2016. 6. 28.
쓰레기를 많이 버리는 나라 쓰레기는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인류가 풍요로운 물질문명을 향유할 수 있는 것은 엄청난 양의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하지만 갈수록 쓰레기를 처리하는 비용이 커지고 있습니다. 단순히 물리적인 비용의 증가뿐만 아니라 쓰레기를 둘러싼 지자체들간의 갈등을 조정하는 비용이 훨씬 더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어쨌든 쓰레기를 줄이는 것이 버리는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한 일입니다. 그러니 많이 버리지 않는 것이 최선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나라가 쓰레기를 적게 버리고 있을까요? 위 그래프는 OECD 여러 나라 국민 한명이 1년간 얼마나 많은 양의 쓰레기를 배출하는지를 kg 단위로 나타낸 것입니다. 청록색 막대는 1995년도의 자료이고, 쓰레기통 마크로 표시된 것이 2013년.. 2016. 6. 24.
약값을 많이 쓰는 나라 지난 번에 항생제를 많이 사용하는 나라들을 소개했습니다. 다행히도 우리나라의 항생제 사용이 심각한 수준은 아니었습니다. 그렇다면 항생제를 포함한 모든 약물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나라들은 어디일까요?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는 어느 정도 될까요? 위 그래프는 국민 일인당 약값으로 지출하는 비용을 미국 달러로 환산한 값입니다. 물론 구매력 기준으로 환산된 값입니다. 초록색은 처방된 약을 구입하는데 쓴 돈이고, 주황색은 의사의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약을 사는데 들어간 돈입니다. 그냥 파란색으로만 표시된 나라들은 이것을 따로 구분하여 통계를 내지 않나 봅니다. 확실히 한 나라가 독보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바로 미국입니다. 그 다음 국가인 일본과 큰 차이를 벌이면서 압도적인 1위입니다. 미국인 한명이 1년에.. 2016. 6. 23.
악화되는 지역 불평등의 문제 경제적 불평등이 최근의 핵심 이슈로 부상하다보니 이와 관련한 이런저런 통계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런 것들 중에서 오늘은 지역 불평등에 대한 자료를 소개해 봅니다. 지역 불평등이란 한 나라 안에서 지역 별로 경제적 격차가 커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러니까 우리나라로 치면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만 경제적으로 잘 나가고 지방의 외진 지역들은 점점 더 나빠진다면 그것은 지역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지방 자치제가 운영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지역 불평등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OECD 국가들을 중심으로 이 지역 불평등에 대한 간단한 자료를 소개해 봅니다. 출처 : https://www.oecd.org/newsroom/regional-inequalities-worsening-.. 2016. 6. 17.
너무 빠른 우리나라 고령화 속도 우리나라가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는 사실이야 이젠 기본 상식입니다. 그런데 그 속도가 빨라도 너무 빠른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너무 낮은 출산율이 문제입니다. 지금 살고 있는 사람들은 수명이 길어져 고령층이 되는데 새로 태어나는 사람은 너무 적으니 고령 인구의 비율이 증가하는 속도가 너무 빨라지고 있습니다. OECD 자료를 통해 여러 나라를 비교해 보면 그 무서움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위 그래프에는 세계 여러 나라들의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 나와 있습니다. 이 수치가 의미하는 바는 65세 이상의 인구가 15~64세 인구의 몇 %에 해당하는지 그 비율을 나타낸 것입니다. 맨 위에 있는 멕시코를 보면 10%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멕시코에서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15~64세 인.. 2016. 6. 4.
여성 기업 임원의 비율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 당연한 세상에서 아직도 여전히 그렇지 못한 분야들이 많습니다. 대체로 민간 영역이 더 보수적인데, 왜냐하면 공적 영역에서는 법이나 규정의 제약을 더 강력하게 받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여성들의 진출이 가장 더딘 곳으로서 기업 임원들이 있습니다. 민간 부문에서 가장 높은 지위에 속하는 집단입니다. 기업 임원들 중 여성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고 합니다. 출처 : https://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6/05/19/the-countries-with-the-most-women-in-the-boardroom-infographic/ 몇몇 나라를 골라 기업 고위 임원 중 여성의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를 조사한 결과입니다. 쉽게 예상할 수 있듯이, 여성의 사.. 2016. 5. 25.
나라별 자아 정체성을 결정하는 기준 소속감과 정체성은 사람이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가는데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입니다. 자신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것 중에서 무엇이 가장 중요한지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체로 국적이 가장 기본적인 정체성의 기준이 되곤 합니다. 축구 한일전이 벌어지면 이 점을 다들 선명하게 각성하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런 정체성의 기준이 다른 나라들은 어떠할까요? 세계 여러 나라들의 비교한 자료가 있어 소개해 봅니다. 출처 : https://www.globescan.com/news-and-analysis/press-releases/press-releases-2016/383-global-citizenship-a-growing-sentiment-among-citizens-of-emerging-econom.. 2016. 5. 1.
우리나라 정보격차는 비교적 적은 편 요즘같은 시대에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다면 삶의 질이 크게 낮아질 것입니다. 그래서 정보와 인터넷에 대한 접근과 이용에 대한 격차를 줄이기 위해 많은 나라들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 문제를 정보격차라고 합니다. 정보격차는 보통 경제적 격차, 교육, 연령과 많은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우리나라는 정보격차가 다른 나라에 비해서는 그다지 심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어떻게 이용하는지에 대한 질적인 문제가 아니라 적어도 보급의 문제만 따진다면 확실히 그러합니다. 출처 : https://www.pewglobal.org/2016/02/22/internet-access-growing-worldwide-but-remains-higher-in-advanced-economies/ 글자가 빽빽히 들어있어 보기에.. 2016.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