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

도시별 인터넷 요금 비교

by @푸근 2014. 11. 1.

우리나라의 인터넷 인프라가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인터넷 사용인구도 많고 속도도 빠릅니다. 얼마전 이제 기가 인터넷도 적극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게다가 비용도 저렴한 편입니다. 통신요금이 전반적으로 저렴하다고 보기 어렵지만 적어도 유선 인터넷 요금 저렴한 것이 사실이긴 합니다.

 

그럼 다른 나라들은 인터넷 사용 요금이 얼마나 될까요? 여러 도시별로 조사한 자료가 있어 소개해 봅니다.

 

출처 : http://www.nytimes.com/2014/10/31/upshot/why-the-us-has-fallen-behind-in-internet-speed-and-affordability.html

상세자료 : https://data.opentechinstitute.org/dataset/2014-cost-of-connectivity

 

 

25mbps속도의 인터넷 라인을 한달 동안 사용할 때 지불하는 요금을 도시별로 조사한 자료입니다. 목록에 있는 도시 중 가장 저렴한 곳은 런던으로 24달러입니다. 서울이 28달러로 2등입니다. 멕시코에서 인터넷은 정말 비싼 서비스인가 봅니다. 무려 110달러에 이릅니다. 그리고 사실 25mbps는 우리나라 기준에서 절대 빠른 속도라고 볼 수도 없다는 점도 지적해야 합니다.

 

 

위 자료는 뉴욕타임즈 기사에 실린 것입니다. 이것보다 훨씬 상세한 자료는 "상세자료"라고 적힌 곳에 엑셀파일로 있습니다. 아무튼, 위 뉴욕타임즈 기사의 핵심 내용은 왜 미국에서 인터넷 비용은 이렇게 비싸냐하는 질문입니다. 이 문제에 대해 팀우(Tim Wu) 교수가 간단히 정리해 버립니다. 독점시장이기 때문이다라는 겁니다. 실제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기업이 하나 혹은 둘밖에 없으니 가격이 비싸지는 것이 당연하다는 설명입니다.

 

우리나라의 인터넷 보급과 품질이 높아진 가장 근본적인 이유 중 하나는 국토가 작고 사람들이 한곳에 모여산다는 점입니다. 그러니 장비보급이 효율적입니다. 미국처럼 드넓은 나라에 망까는 일은 정말 많은 비용이 듭니다. 우리나라에서 인터넷 회선을 판매하는 회사는 지역에 따라 대체로 2~4곳 정도입니다만 다들 쓸만 합니다. 그러나 미국은 여러 기업이 있기는 하지만, 자기 지역에서 쓸만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를 고르는 문제는 아마 대부분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경우가 많을 겁니다. 이런 조건에서는 가격이 저렴해질 이유가 없죠.

 

아무튼 결론은 저도 기가 인터넷 쓰고 싶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