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라별 자산격차와 소득격차 경제적 불평등이 현 시대의 가장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비단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동일합니다. 하지만 경제적 불평등이라고 하면 지나치게 포괄적인 느낌이 듭니다. 그래서 보다 더 엄밀하게 문제의 핵심을 지적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흔히 언급하는 것이 바로 자산과 소득의 차이입니다. 이에 대한 국가별 통계가 새로 나온 것이 있어 간단히 소개해 봅니다. 출처 : https://twitter.com/OECD/status/1211259066506342400 OECD 여러 나라에서 재산(wealth)와 소득(income)의 상위 10%가 전체 중 얼마나 차지하고 있는지를 나열한 그래프입니다. 왼쪽 붉은 색 그래프가 재산이고 오른쪽 파란색이 소득입니다. 이 그래프가 보여주는 것.. 2020. 1. 6.
나라별 가계소득 불평등 심화 경향 경제적 양극화에 대한 이야기는 여러 번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오랜만에 다시 이 주제입니다. 여러 나라들의 가계소득을 중심으로 불평등 심화 경향을 보여주는 자료입니다. 많은 정보가 들어있는 인터랙티브 자료입니다. 출처 : https://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6/04/daily-chart-17 위 그래프에는 여러 나라들이 등장합니다. 2005년 구매력기준으로 환산된 금액을 따집니다. 위에 나타난 금액은 가처분 가계소득입니다. 가처분 가계소득이 1980년부터 2015년까지 어떻게 변했는지를 10분위 단위로 구분해서 보여줍니다. 그리고 청록색 선은 99%, 즉 상위 1%의 사람들의 소득변화를 보여줍니다. 그리고 소득(income), 성장률(growth), 불.. 2016. 5. 4.
우리나라 정보격차는 비교적 적은 편 요즘같은 시대에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다면 삶의 질이 크게 낮아질 것입니다. 그래서 정보와 인터넷에 대한 접근과 이용에 대한 격차를 줄이기 위해 많은 나라들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 문제를 정보격차라고 합니다. 정보격차는 보통 경제적 격차, 교육, 연령과 많은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우리나라는 정보격차가 다른 나라에 비해서는 그다지 심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어떻게 이용하는지에 대한 질적인 문제가 아니라 적어도 보급의 문제만 따진다면 확실히 그러합니다. 출처 : https://www.pewglobal.org/2016/02/22/internet-access-growing-worldwide-but-remains-higher-in-advanced-economies/ 글자가 빽빽히 들어있어 보기에.. 2016. 4. 21.
의료비로 고생하는 미국인의 비율 미국의 의료시스템 문제는 비교적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것을 고치는 것은 보통 어려운 문제가 아닙니다. 엄청난 혁신까지는 아니라고 판단되는 "오바마케어"조차 그 난리를 치른 것을 보면 저 분야의 변화가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사정이야 어찌되었든 미국의 의료비는 매우 비싼 편입니다. 그래서 의료비 문제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럼 얼마나 많은 미국인들이 이 의료비로 고생하고 있을까요? 출처 : https://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6/01/08/over-a-quarter-of-americans-have-trouble-paying-their-medical-bills-infographic/ 위 그림에 나와있는 여러 가지 % 숫.. 2016. 1. 12.
삶의 질 측정과 나라 별 차이 누구나 더 나은 삶을 살기를 원합니다. 그런데 더 나은 삶이라는 것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는 각자 원하는 것이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어떤 사람은 더 많은 여가 시간을 원할 수도 있고, 또 어떤 사람은 더 많은 재산을 원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또 어떤 사람은 가정의 화목을 원할 수도 있겠지요. 그런데 지금 간절하게 원한다는 것은 반대로 보면 지금 그것이 전혀 만족스럽지 않다는 의미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지금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 만족스럽지 않은 것과 만족스러운 것은 어떤 것일까요? 그리고 이것이 나라 별로 어떻게 다를까요? 출처 : https://www.pewresearch.org/fact-tank/2015/10/29/measuring-the-good-life-around-the-world.. 2015. 12. 29.
남편보다 더 많이 버는 아내들 맞벌이 부부의 증가는 최근 큰 흐름 중 하나입니다. 부부 중 하나의 수입만으로는 가계의 운영이 쉽지 않은 시대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거기에 여성들이 커리어가 중요하게 여겨지는 경향과 맞물려 맞벌이 부부의 증가는 당연하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당연히 확률적으로 남편보다 아내의 소득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럼 그런 부부는 전체 부부 중 얼마나 될까요? 적어도 미국은 이렇다고 합니다. 출처 : https://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5/11/19/what-percentage-of-us-wives-earn-more-than-their-husbands-infographic/ 1987년부터 2013년까지 미국에서 전체 부부 중 남편보다 아내의 수입이 더 높은 .. 2015. 11. 30.
대학을 졸업해도 인종별 소득격차는 그대로 경제적 양극화는 어느 나라에서나 중요한 문제입니다만, 미국은 다른 나라들에 비해 인종의 문제가 중요 변수로 하나 더 추가됩니다. 그래서 단순히 경제 양극화뿐만 아니라 인종 별 양극화의 문제도 중요합니다. 경제적 양극화 문제에서 일반적으로 고등교육의 수준이 중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대졸자 이상의 교육수준과 그 미만의 교육수준이 소득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인종 별로 구분해서 보면 이것도 사실이 아닐 수 있다고 합니다. 출처 : http://www.nytimes.com/2015/08/17/business/racial-wealth-gap-persists-despite-degree-study-says.html 위 그래프에서 주황색 막대는 대졸자를 청록색 막대는 대학을 졸업하지 못한 사람.. 2015. 9. 25.
아직도 인터넷을 쓰지 못하는 사람들 우리나라에서 인터넷은 마치 공기와 같은 지극히 당연한 존재입니다만 전세계적 규모로 보자면 인터넷은 여전히 최첨단의 기술이라서 아직도 접해보지 못한 사람들이 더 많습니다. 실제로 인터넷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은 전세계 인구의 40% 정도에 불과합니다. 저개발국가에는 인터넷 확산이 더 필요하다는 점은 당연히 중요한 말입니다만, 시야를 조금 바꿔서 이미 충분히 인터넷이 보급되어 있는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을 쓰지 않는 사람들은 얼마나 될까요? 미국의 상황을 봅시다. 출처 : http://www.pewresearch.org/fact-tank/2015/07/28/15-of-americans-dont-use-the-internet-who-are-they/ 2015년 미국에서 인터넷을 쓰지 않는 사람들을 조사한 결.. 2015.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