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극화와 행복은 반비례 관계 빈부격차가 더 심해지는 양극화 현상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획기적인 변화가 없다면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임을 누구나 쉽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 양극화가 심해지는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은 이미 차고 넘칠만큼 많이 지적되었습니다. 그런 지적 중 하나로 행복의 문제가 있습니다. 경제 양극화가 높은 나라일수록 국민들의 행복감이 더 낮다는 주장입니다. 출처 : https://hbr.org/2016/01/income-inequality-makes-whole-countries-less-happy 위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양극화 정도를 나타냅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상위 1%의 소득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 값이 20%라면 상위 1% 사람들이 그 나라 전체 소득의 20%를 가져간다는 의미입니다. 세로축은 .. 2016. 2. 27.
불평등이 사람들을 불행하게 만듭니다. 불평등이 심화되면 여러 사회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그런데 이런 불평등이 사회구성원 개개인의 감정에도 직접적인 관계를 갖고 있다고 합니다. 경제적 불평등이 심한 나라일수록 그 나라 사람들의 행복감은 감소하는 반비례 관계가 나타났습니다. 출처 : https://hbr.org/2016/01/income-inequality-makes-whole-countries-less-happy 위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경제적 불평등을 나타냅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상위 1%의 소득이 전체 소득 중 얼마나 차지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그러니 오른쪽으로 갈수록 상위 1%가 더 많은 소득을 올리고 있는 불평등이 심한 나라들입니다. 세로축은 삶의 질입니다. 웰빙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반비례 관계에 있임을 알 수 있습니.. 2016. 1. 16.
국민이 행복한 나라 행복에 대한 지표는 자주 발표됩니다. 국민들한테 당신은 행복하냐고 직접 물어보는 거죠. 그럴 때마다 가장 행복한 나라로 꼽히는 곳이 바로 부탄입니다. 그러나 저 결과를 보고 "우와! 부탄가서 살고 싶다." 이런 생각이 들지는 않을 겁니다. 스스로 느끼는 행복도 중요하지만 풍요로운 삶을 구성하는 다른 물질적 기반도 무척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이 두 가지 요소를 결합시켜 나라별로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 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4/07/daily-chart-18 위 그래프에서 세로축이 바로 스스로 느끼는 행복감입니다. 당신을 얼마나 행복하냐고 묻는거죠. 가로축은 Human Development Index(이하 HDI)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것.. 2014. 7. 30.
별일 없이 산다 - 장기하 (2009) 세상을 살다보면 언제나 좋은 관계만을 유지하면서 살 수는 없습니다. 꼭 직접적인 갈등관계까지는 아니더라도 괜히 보기 싫은 사람도 있는 법이고, 마주치기 싫은 사람도 있는 법이고, 잘 나간다는 소식을 들으면 화나는 사람도 있는 법입니다. 그게 나쁜 건 아닙니다. 사람 사는 게 다 그런 거죠. 중요한 건 그런 불편한 관계를 일상적으로 적절하게 관리하고 조절하는 방법일 겁니다. 감정대로 세게 나갔다가 낭패를 볼 수도 있는 것이고, 조용하게 가만히 있는 것이 이기는 때도 있습니다. 갈등관계에 있든, 경쟁관계에 있든 혹은 그냥 무시하는 관계든 간에 가장 멋진 승리는 바로 내가 너의 바램대로 살고 있지는 않다는 걸 보여주는 겁니다. 그것도 대놓고 드러내는 게 아니라 자연스럽게 알도록 하는 것이죠. 너는 내가 제대로.. 2014. 4. 6.
문제가 있습니까? 걱정하지 마세요 살다보면 이런 저런 문제로 고민하기 마련이죠. 고민하나 없이 사는 사람은 없습니다. 하지만 바로 여기 모든 문제의 해결책이 있습니다. 인생에 문제가 있든 없든 우리는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구체적인 문제로 고민하고 있으시다구요? 그래도 걱정할 필요없습니다. 움직이든 움직이지 않든 우리는 언제나 해답을 갖고 있습니다. 바로 WD40과 덕테입이죠! 해결책이 두 가지나 되서 복잡하시다구요? 그것도 걱정하지 마세요. 그런 분들을 위해 이런 물건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이제 모두 해결되었겠죠? 우리 모두 긍정적으로 삽시다. 행복해서 웃는 게 아니라 웃어서 행복한 거라잖아요. 때론 단순한 것이 정답일 수 있습니다. 2014.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