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

설문조사는 질문이 매우 중요합니다.

by @푸근 2014. 11. 30.

정상적인 설문조사라면 결과와 함께 질문문항도 모두 공개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질문 문항의 내용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그 내용이 다소 어렵거나 전문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면 문제는 더욱 심각해집니다. 바로 이런 경우처럼 말이죠.

 

 

 

위 그림은 어떤 내용에 대해 질문형식만 바꾸었을 뿐인데 그것에 대한 찬반이 전혀 다르게 나타난 사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자세히 살펴봅시다.

 

첫번째 질문을 번역하자면 이렇습니다. "인터넷은 규제와 검열이 없는 열린 공간으로 남아있어야 합니까?" 그리고 이 당연히 이 질문에 61% 사람들이 그렇다라고 대답했습니다.

 

두번째 질문은 이렇습니다. "어떤 웹사이트나 부가기능이나 더 빠른 속도를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들이 돈을 받도록 허용되어야 합니까?" 이 질문엔 무려 81% 사람들이 그렇다고 대답했습니다.

 

이 두 가지 질문의 결과는 완전 정반대이지만 사실 이 두 가지 질문은 같은 것을 물어보고 있습니다. 그건 바로 망중립성(net neutrality)입니다. 언듯 생각해보면 두 가지 질문이 전혀 다른 것 같지만 두번째 질문처럼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들이 돈을 추가로 걷을 수 있을 권한이 생기면 바로 첫번째 질문에서 물어보는 그 열린 공간이 깨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질문은 사실 상 같은 것입니다.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라는 말은 대다수 사람들에게 익숙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집에서 인터넷을 쓰기 위해 매달 돈을 지불하는 그 업체들을 말합니다. 이런 업체들은 우리같은 최종 사용자에게 돈을 받지만 그들이 돈을 더 받고 싶어하는 곳이 있습니다. 그런 경우 중에서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유튜브처럼 높은 트래픽을 발생하는 업체들입니다. KT와 유튜브 사이의 갈등은 그나마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KT가 유튜브로부터 직접 돈을 받는 것인 현실적으로 어렵지만 그런 것이 가능하기만 하다면 인터넷 공간은 차별적인 공간으로 변질될 겁니다.

 

이처럼 이해하기 다소 어려운 현실적인 문제들이 있습니다. 이런 것들에 대한 조사를 할 때 질문 내용을 어떻게 구성하는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여기에 정답은 없습니다. 다만 그 내용을 공개하지 않는다면 그건 확실히 신뢰할 수 없는 조사라는 의미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