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더 많은 일을 해야 하는가? 정부는 한 나라의 전반적인 사항을 관리하는 일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영토 안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에 정부가 신경쓸 수도 없고 그래서도 안됩니다. 그렇다면 어디까지 정부가 개입해서 일을 해야 할까요? 그 경계를 명확하게 긋는 일은 참 어려운 일입니다. 그 경계는 나라에 따라 다르겠지만 시대에 따라서도 달라집니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 청년들은 정부의 역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고 합니다. 출처 : https://mobile.twitter.com/OECD_Social/status/1437413432530178052 위 그래프는 2020년 기준 18-29세 청년들 중에서 "경제적, 사회적 웰빙을 위해 정부가 더 많은 일을 해야 한다"고 답한 비율을 주요 국가 별로 나열한 그림입니다. 우선, OECD 국가.. 2021. 10. 1. 반도체 생산의 중심은 동아시아 요즘 반도체가 부족하다는 말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습니다. 어느 누구도 예측하지 못한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여러 복합적인 사정으로 그래픽 카드는 물건을 구할 수도 없는 상태이고, 자동차 생산도 큰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게다가 앞으로도 이 문제가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많습니다. 현재 이 문제가 심각하게 된 중요한 배경에는 반도체 생산이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도 지적해야 합니다. 반도체 중에서도 특히 최첨단의 제품은 TSMC와 삼성전자 두 개의 기업에만 생산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심각한 과점 상태입니다. 생산을 빠르게 늘릴 수 없으니 반도체 부족이 해결되는 데에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런 반도체 생산 집중이 앞으로도 유지될까요? 아니면 생산지역이 다각화될까요? 이에 대한.. 2021. 8. 20. 미국 청년들의 성관계 빈도 감소 결혼과 출산이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은 새삼스럽지도 않습니다. 우리나라가 유독 그 정도가 강력하긴 하지만 다른 나라들도 다들 비슷한 상황이고, 출산이 줄어드는 문제를 걱정하는 것은 미국도 마찬가지입니다. 이것의 연장선에서 최근 성관계의 빈도가 줄어들고 있다는 자료가 있어 소개합니다. 출처 : https://www.washingtonpost.com/business/2019/03/29/share-americans-not-having-sex-has-reached-record-high/ 1989-2018년 기간의 자료입니다. 미국인들의 성관계 빈도를 물어본 결과입니다. 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19%에서 23%로 증가했습니다. 반면, 일주일에 1회 이상인 집단은 감소했습니다. 종합하면 적어도 미국인들의 성관계 빈도는.. 2021. 8. 16. 한국에서 인기가 없는 락 음악 K-Pop이 세계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K-Pop의 사례가 대단히 중요한 이유는 이것이 주류로 부상했다는 점입니다. 세상에는 참으로 다양한 음악이 있지만 그것들 중 세계적인 대중성을 확보하여 주류의 위치로 올라간 사례는 매우 적습니다. 그런 점에서 K-Pop은 놀라운 성취를 이루었습니다. 사실 현대 대중음악은 미국 대중음악의 연장선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K-Pop 역시 미국에서 탄생한 힙합과 랩 음악의 영향을 크게 받았습니다. 그런 점에서 현대 대중음악의 장르라는 것은 미국 대중음악으로부터 발전한 것들이 대부분이고 그래서 음악적 취향의 세계적인 동질화 현상은 어느 정도 당연한 것입니다. 이런 배경으로 비틀즈, 퀸, 마이클 잭슨과 같이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스타가 등장할 수 있었습니다. 한국 역.. 2021. 8. 13. 관광 산업이 중요한 나라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산업 분야는 단연 관광입니다. 항공 산업 역시 큰 충격을 받았지만 여객이 아닌 화물 쪽은 오히려 더 나아지기도 했으니 관광 산업이 받은 충격에 비할 바가 못됩니다. 그렇기에 관광 산업의 비중이 높은 나라들은 코로나 사태에 더 큰 타격을 받았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어떤 나라들이 그러할까요? 출처 : https://www.oecd.org/cfe/tourism/oecd-tourism-trends-and-policies-20767773.htm 위 그래프는 2020년 기준으로 총 GDP 중에서 관광 산업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라 별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2018년 기준의 데이터에 바탕한 자료이니 코로나의 영향은 반영되지 않은 것입니다. 1위는 단연 스페인입니다. 유일하.. 2021. 8. 8. 더욱 심화된 미국의 약물 남용 문제 미국에서 마약성 약물의 남용으로 인한 문제가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는 내용을 언급한 바가 있습니다. 그런데 2020년에는 이 수치를 한참 뛰어넘어 버렸다는 통계치가 발표되었습니다. 2017년에 작성한 글에서 연간 사망자 수가 6만 명을 넘는 매우 심각한 사회문제라고 했는데, 이번에 발표된 수치는 무려 9만 명을 넘었습니다. 이 수치가 진짜 사실인지조차 믿기 힘들 정도입니다. 출처 : https://www.nytimes.com/interactive/2021/07/14/upshot/drug-overdose-deaths.html 출처 : https://www.economist.com/graphic-detail/2021/07/15/a-record-number-of-americans-died-from-drug-ov.. 2021. 7. 23. 실업률은 중요한 수치일까? 실업률이란 수치는 오랫동안 중요한 경제 지표 중 하나로 여겨졌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이에 대한 언급이 크게 줄었습니다. 뉴스에서 실업률을 다루는 경우는 요즘엔 통 보지 못한 듯 합니다. 장기화하고 있는 코로나 팬데믹 사태는 수많은 일자리를 없애버렸습니다. 그럼 실업률이 크게 높아졌을 겁니다. 그럼에도 실업률이란 통계 수치는 스쳐가듯이 언급될 뿐 예전처럼 큰 의미를 두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 일단, 비교적 최근 국가별 실업률 비교를 확인해 봅시다. 출처 : https://mobile.twitter.com/OECD_Social/status/1412699163670818819 위 그래프는 주요 나라들의 실업률 수치를 비교한 것입니다. 초록색 막대는 2021년 5월 기준이고, 노란색 점은 2020년 2월 기.. 2021. 7. 8. R&D 투자에 열심인 두 나라, 한국과 이스라엘 우리나라는 R&D를 참 열심히 하는 나라입니다. 예전부터 많이 했던 이야기 중 하나로 이런 것이 있었습니다. 우리나라는 가진 지하자원이 없으니 사람이 자원이란 그런 류의 말들 말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우리나라는 기술개발에 큰 투자를 해왔고 어느 정도 성과를 낸 지금에도 더 강화되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우리가 여전히 선진국에 비해 많이 모자란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절대적인 수치로 보자면 맞는 말이긴 합니다. 하지만 GDP 대비로 보면 우리나라의 R&D 투자는 예전부터 세계 최고 수준이었습니다.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많이 투자하고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economist.com/graphic-detail/2021/06/22/even-before-covid-19-the-world-wa.. 2021. 6. 27. 이전 1 2 3 4 5 6 7 ··· 93 다음